•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도덕・사회과 교과의 내용과 성격

남북한 중등학교는 대체로 유사한 교과목을 두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 나, 그 중에서 가장 차이를 보이고 있는 것은 도덕・사회과 교과이다.

남한은 지리, 역사, 정치・사회문화 영역을 통합한 교과목인 사회 과목 하 나만을 두고 있으나. 북한은 지리 , 력사 등의 분과형 구조의 교과목을 두 고, 남한의 일반사회 영역에 해당하는 정치・경제・사회문화 과목은 별도로 두지 않고 있다. 그 대신 김일성・김정일 관련 교과를 중심으로 정치사상교 양을 하고 있다. 이는 서로 다른 체제를 유지하고 있는 남북한의 현실을 그 대로 보여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 표 4> 남북한 중등학교 도덕・사회과 관련 교육과정

남 한 북 한

중학교 고등학교 고등중학교

교과 시수 % 교과 단위 % 교 과 시수 %

도덕 204 5.9 윤리 6 2.9

경애하는 수령 김일성대원수님

혁명활동 323 5.1

위대한 령도자 김정일원수님

혁명활동 210 3.3

현행 당정책 77 1.2

공산주의 도덕 185 2.9

사회 374 10.8

공통사

회 8

10.2

력사(조선력사, 세계력사) 298 4.7 국사 6

지리(조선지리, 세계지리) 320 5.0 선택 4~6

출처: 윤덕흥(98),「남북한 사회과 교육과정 비교」,『경상대민족통일논집』, 제14호

도덕・사회과는 다른 어떤 교과목보다도 사회와 국가의 시대적인 상황으로 부터 크게 영향을 받고, 현실과 밀접하게 관련되는 시사성을 띠는 교과이다.

따라서, 국가와 사회가 요구하는 내용과 가치를 가르치도록 요구받는 경우 가 많아 정치사회화를 위한 중요한 교과목이 되기도 한다.

남한의 도덕・사회과는 민주시민으로서의 자질을 육성하는 교과이다. 민주 시민이란 사회현상의 올바른 인식과 사회생활 영위에 필요한 지식과 기능을 습득하고 인권존중, 관용과 타협의 정신, 사회정의의 실현, 공동체 의식, 참 여와 책임의식과 같은 민주적 가치와 태도를 함양하고 개인적・사회적 문제 를 합리적으로 해결하는 능력을 지님으로써 궁극적으로는 개인, 국가, 사회, 인류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자질을 갖춘 사람을 말한다.

따라서, 도덕과에서는 지식보다는 가치・태도를 사람의 행동에 가장 직접 적 영향을 끼치는 정의적 영역으로 보고, 가장 강조되는 목표로 지적한다.32) 사회과에서도 삶의 터전인 국토에 대한 이해와 이를 바탕으로 한 우리 민족 의 역사적 활동에 대한 종합적인 파악, 현실에 대한 역사적 시각에서의 이 해, 민족적 정체성과 세계시민으로서의 가치 태도 등의 요소를 중시한다. 특 히, 중학교에서는 각 영역에서 중요시하는 지식을 과학적 절차에 의하여 발 견, 적용하고 개인적・사회적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길러 공동생활에 자 발적으로 참여하는 시민정신을 발휘하게 하고, 고등학교에는 사회현상을 종 합적으로 이해하고 비판적 사고와 합리적 의사결정 능력을 발휘하며 사회 공동의 문제해결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시민의식을 기르는데 그 목표를 두 고 있다.33) 또한 남한의 사회과는 통합적인 관점을 지향하고 있어 통합적인

32) 교육부 (1997 ),『고등학교 윤리과 교사용 지도서』, 서울: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 현행 교육과정에서의 윤리과 목표는 민족 공동체의 번영과 통일에 기여할 수 있는 윤리관을 형성하게 된다 라고 되어 있어 가치관과 신념의 변화와 더불 어 태도의 변화까지도 다룬다.

33 ) 윤덕흥(1998 ),「남북한 사회과 교육과정 비교」,『경상대민족통일논집』, 제14호 (pp . 24~25 )

인식 문제 해결을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반면, 북한의 교육과정에는 남한의 도덕・사회 교과와 같은 의미의 교과는 없다. 선행 연구에서도 나타나듯이 남한의 사회과와 같은 개념의 사회과가 북한에 없기 때문에 북한의 사회과 를 보는 입장은 연구자마다 다양하다.

북한의 사회과 를 무엇으로 볼 것인가에 대한 견해는 다음과 같이 나타나고 있다.

김재형(1993)은 조선력사 와 지리 교과를 사회과로 보고, 김일성・김정일 관련 과목은 모두 도덕 교과의 범주에 넣고 있다.34)

강상철(1993)은 북한의 정치사상관련 내용분석 연구를 정치 사상교육의 핵 심으로 담고 있는 김일성・김정일 관련 과목을 모두 사회과로 보고 분석하 였다.35)

유균상 외(1997)는 김일성・김정일 관련 교과서 내용 중 사회과적 요소를 담고 있는 것을 분석하여 유사한 내용의 남한 교과서와 비교하였다.36)

윤덕홍(1998)은 북한의 사회과를 김일성・김정일 관련 과목이 대신할 수 있다고 보았다. 북한의 사회과 교육과정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들 과목의 성격과 학습내용을 통해 사회과 교육과정을 유추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 다.37)

김해성(1998)은 일반사회 영역의 사회과가 있는 대신 김일성 혁명력사, 현 행 당 정책, 역사 등과 같은 다른 과목과 통합해서 사회과 관련 내용을 다 34 ) 김재형(1993),「북한의 학교교육 및 사회과 교육과정의 특성」,『사회과교

육』(제26호), 사회과교육연구회

35 ) 강상철 (1993 ), 「북한의 중등 사회과 교육현황」, 『사회과 교육』 (제26호), 사 회과교육연구회

36 ) 유균상 외 (1997 ),「남북한 중등학교 도덕・사회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비교 분 석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37 ) 윤덕흥 (1998 ),「남북한 사회과 교육과정 비교」,『경상대민족통일론집』, 제14 집

루고 있기 때문에 김일성・김정일 관련 과목을 사회과로 보고 연구하였 다.38)

이상, 선행 연구자들의 남한과 북한의 도덕・사회과 비교 연구를 살펴보 았다. 도덕・사회과를 넓은 의미에서 공민영역과 지리, 역사영역으로 나누어 찾아본다면 관련 교과를 나름대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1986년, 1992년, 1996년 세차례에 걸쳐 변화된 북한 고등중학교 교육과정 편제를 보면 도 덕・사회과 관련 교과는 < 표 5> 에서 처럼 나타난다.

본 연구 대상인 도덕・사회 교과는 공산주의 도덕과 김일성 혁명활동과 혁 명력사, 김정일 혁명력사 등이다. 이들 교과는 사회주의 교육이론이 학교 교 육에서 추구하는 교육목표가 가장 잘 반영되어 있다. 즉, 학교는 혁명화의 본거지이며 문화혁명의 거점이기 때문에 학교는 교수교양사업을 통하여 사 상혁명, 문화혁명 수행에 이바지하며 나라나는 새 세대들을 공산주의적 인 간으로 키우며 민족간부를 양성하는데 그 사명을 두고 있다.39)

사회주의 교육에 관한 테제 에서 보면, 북한의 도덕・사회과 교육은 주체 사상에 입각한 사회주의 시민으로 간직하여야 할 가치관과 규범을 교양하는 데 중점을 주고 있다. 즉, 사회주의적 가치체계와 규범에 잘 다듬어진 공산 주의 인격을 가진 사회주의적 시민을 양성하는 것을 그 목표로 하고 있 다.40)

38 ) 김해성 (1998 ),「남북한 중등학교 사회과 교육내용 비교 연구 : 일반사회 영역을 중심으로」,『경상대민족통일 논집』, 제14호

39 ) 윤덕흥(1998 ),「남북한 사회과 교육과정 비교」,『경상대 민족통일론집』, 제14호

40) 김형찬(1990),『북한의 주체교육사상』, 한백사, (pp . 110~111)

< 표 5> 북한 중등학교 도덕・사회과 관련 교과목의 변천

연도 1956년 1968년 1983년 1986년 1992년 1996년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