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대상자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 하였다. 대상자 정신건강과 관련하여 일반적 특성 중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 낸 연령, 학년, 지각된 건강상태, 정신과 치료 경험 유무를 독립변수로 선택하였다.

그리고, 상관관계분석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보인 5가지 아동기 심리적 외상 경험, 외 상 후 스트레스, 2가지 대처 양상을 독립변수로 선택하였으며 종속변수는 정신건강으 로 위계적 회귀분석방법 통해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회귀분석 시행 전 다중회귀분석의 기본 가정을 확인하기 위하여 독립변수 및 종 속변수의 정규 P-P 도표와 산점도를 측정하였다. 정규 P-P 도표는 직선에 거의 근접 하여 정규분포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산점도 측정결과 잔차들의 선형성과 등분산성을 확인하였고 독립 변수들간의 다중공선성을 파악하기 위해 독립변수들 간의 상관관계 를 Pearson’s correlation으로 분석한 결과 상관계수의 절대값이 0.006에서 .706까 지 나타나 변수들 간의 독립성이 유지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태지수(condition index, CI)는 30.954로 30에 근접하였고, 분산팽창지수(Variance inflation factor, VIF)는 1.028~3.148로 10이하, 공차한계(tolerance)는 .318~.973로 0.1이상, Durbin-Watson 통계값은 1.379으로 2에 가까워 잔차 간 상관관계가 없었다. 이를 통해 최종 독립 변수간 다중 공선성에 문제가 없음을 확인하였고, 그 결과는 Table 9와 같다.

여대생의 정신건강 회귀 모형의 총 설명력은 54.3%(F=43.838, p<.001)으로 통계 적으로 유의미하였다(B1=25.3%, B2=29.0%). 회귀 분석 결과 지각된 건강상태(건강하 다 β=.150, p=.001, 보통 β=245, p<.001, 나쁘다 β=287, p<.001, 매우 나쁘다 β

=.195, p<.001), 정신과 치료 경험 유무(β=-.066, p=.034), 신체적 방임(β=.260, p<.001), 정서적 방임(β=-.147, p=.005),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β=.416, p<.001) 그리고 소극적 대처(β=.130, p<.001)가 정신건강에 유의한 영향 요인으로 나타났다.

즉, 정신과 치료 경험이 있고, 높은 수준의 아동기 신체적 방임과 정서적 방임을 경 험할수록,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이 높고 소극적 대처를 사용할수록 정신건강 수준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아졌다. 이 중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이 가장 영향력이 크고, 지각된 건강 상태(나쁘다), 신체적 방임, 지각된 건강 상태(보통, 매우 나쁘다, 건강 하다), 소극적 대처, 정신과 치료 경험 유무, 정서적 방임 순으로 영향력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변수를 고려할 때, 신체적 학대(β=-.021, p=.629), 정서적 학대(β=.040, p=.449), 성적 학대(β=.045, p=.240), 그리고 적극적 대처(β=-.037, p=.330)는 정 신건강 수준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9. Factors associated with the mental health status of the participants (N = 506)

Notes. CTQ, Childhood Trauma Questionnaire; PA, Physical Abuse; EA, Emotional Abuse; SA, Sexual Abuse; PN, Physical Neglect; EN, Emotional Neglect; IES, the Impact of Event Scale; WCC, The Ways of Coping Checklist; Active, Active coping; Passive, Passive coping

V. 논의

본 연구는 여대생을 대상으로 아동기 심리적 외상 경험,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 대처 방식 그리고 정신건강과의 관계를 확인하고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를 바탕으로 여대생의 아동기 심리적 외상, 외 상 후 스트레스, 대처 방식, 정신건강과의 관계와 영향 요인에 대해 다음과 같이 논 의해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