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이직의도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5-44)

IV. 연구결과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이직의도

연구 대상자들의 특성에 따른 이직의도를 분석한 결과 <표 3>과 같다. 학력, 근무부서는 이직의도와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들 중 연속형 변수인 연령, 총 임상경력과 이직 의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피어슨의 상관계수(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를 확인한 결과 이직의도는 나이(r=0.33,

p

<0.01)에서 중등도의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총 임상경력(r=0.25,

p=

0.002)에서 약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 다.

<표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이직의도

(N=147)

Variables Categories n

이직의도

Mean±SD t

p

학력 전문대졸 27 42.81±5.55 0.171 0.865 학사 이상 120 42.60±5.98

근무 부서 병동 69 42.91±5.78 0.529 0.598 특수부서 및 기타 78 42.40±6.01

1개의 이상값(outlier) 삭제

중환자실, 수술실, 응급실, 외래, 기타(마취회복실)

4. 전문성, 소진, 간호업무환경, 일과 삶의 균형과 이직의도의 관계

본 연구의 종속변수인 이직의도와 연구변수인 전문성, 소진, 간호업무환경, 일 과 삶의 균형의 단순 상관관계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 <표 4>와 같다. 이직의도와 소진은 유의한 중등도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0.407,

p

<0.01). 일과 삶의 균형 은 유의한 중등도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고(r=-0.515,

p

<0.01), 간호업무환경은 유 의한 중등도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r=-0.400,

p

<0.01), 전문성은 유의한 차이 를 보이지 않았다(r=-0.069,

p

=0.405).

<표 4> 연구변수와 이직의도의 관계

(N=147)

Variables 전문성 소진 간호업무환경 일과 삶의 균형

소진 -0.397

(p<0.01)

간호업무환경 0.273

(p<0.01)

-0.263 (p<0.01)

일과 삶의 균형 0.240

(p<0.01)

-0.623 (p<0.01)

0.268 (p<0.01)

이직의도 -0.069

(p=0.405)

0.407 (p<0.01)

-0.400 (p<0.01)

-0.515 (p<0.01)

1개의 이상값(outlier) 삭제

5.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검증하기 위한 다중회귀분석 전, 회귀분석 조건을 만족하는지 검증하기 위하여 정규성, 이상값(outlier), 안정성 평가 (Cook’s distance), 잔차의 독립성과 다중공선성을 확인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유의하였던 연령과 총 임상경력은 높은 상관관계 (r=0.838)로 다중공선성에 문제가 있어 연령을 제외하였다. 먼저 잔차의 정규성을 확인하기 위한 잔차의 Histogram과 잔차의 정규확률 그래프(Normal probability plot) 그리고 잔차의 등분산성(Homoscedasticity) 검증을 위한 그래프 결과를 만족 하였다<부록 1>. 이상값 분석 결과 값에서 ±3 안에 포함되지 않는 1개의 케이스 가 발생하였다. 이상값을 포함할 경우 다중회귀분석은 안정된 모형을 제공하지 못하기 때문에 이상값을 제거한 후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1개의 데이터를 삭제 한 후 147명을 대상으로 다시 회귀분석 조건을 검증한 결과, 이들 데이터 들은 모두 ±3안에 포함되어 이상값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향력 분석을 Cook’s distance통계량으로 확인한 결과 0.000-0.074로 기준치인 1.0미만으로 나타나 회 귀모형에 영향을 미치는 특이값이 없음을 확인하였으며, 개체간의 독립성(자기상 관)을 나타내는 Durbin- Watson 결과는 2.071로 2에 가까워 개체간에 독립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설명 변수들 간의 다중공선성을 진단하기 위 해 분산팽창인자(VIF)와 공차한계(tolerance)를 확인 하였다. VIF값은 1.148-1.666 로 10보다 작았으며, 공차한계는 0.600-0.871로 0.1이상~1.0이하로 공선성의 문제 가 없음을 확인하였다<표 5>.

<표 5> 다중회귀분석 실시를 위한 가정 조건 검증

표준화 잔차 Cook’s distance

Durbin-

Watson VIF Tolerance

이직의도 -2.769-1.914 0.000-0.074 2.071 1.148-1.666 0.600-0.87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유의하였던 총 임상경력을 통 제하고 소진, 간호업무환경, 일과 삶의 균형이 이직의도와 관련이 있는지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표 6>과 같다. 총 임상경력을 Model 1에 먼저 투입 하였고, Model 2에는 주요 연구변수 중 상관관계 분석에서 유의하지 않았던 전문 성을 제외한 소진, 간호업무환경, 일과 삶의 균형을 투입하였다. 먼저 총 임상경 력을 투입한 Model 1의 회귀모형은 유의하였다(F=9.64,

p=

0.002).

주요 변수인 소진, 간호업무환경, 일과 삶의 균형을 추가 투입하여 형성된 Model 2의 회귀모형 역시 유의하였다(F=19.43,

p

<0.001). 이모형은 이직의도의 35.4%(R2=0.354)를 설명하였고, Model 1에 비해 설명력이 29.1%가 유의하게 증가 하였다(R2변화량=0.291, F변화량=21.34,

p

<0.001). 예측변수들 중 최종적으로 이직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간호업무환경(t=-3.18,

p=

0.002), 일과 삶의 균형 (t=-4.36,

p

<0.001)이 나타났다. 간호업무환경과 일과 삶의 균형의 점수가 높을수 록 이직의도가 낮아지는 음의 관계를 보였다. 이직의도에 일과 삶의 균형(β

=-.379)가 가장 큰 예측요인으로 나타났고, 간호업무환경(β=-.238)이 다음으로 유 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순 분석을 통해 이직의도와 관련이 있음 을 보였던 소진은 다중회귀분석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표 6>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N=147)

변수

Model 1 Model 2

B SE β t p B SE β t p

상수 39.95 0.99 52.82 4.53

총 임상경력 0.74 0.24 .250 3.11 0.002 0.30 0.21 .102 1.41 0.161

소진 0.04 0.03 .093 1.07 0.285

간호업무환경 -0.12 0.04 -.238 -3.18 0.002

일과 삶의 균형 -0.07 0.02 -.379 -4.36 <0.001

R2 = 0.062, 수정된 R2 = 0.056 F = 9.64 (p=0.002)

R2 = 0.354, 수정된 R2 = 0.335 R2 change = 0.291, F = 19.43 (p <0.001), F change = 21.34 (p < 0.001)

1개의 이상값(outlier) 삭제

이직의도의 3개 하부척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추가로 분석하기 위해 3개 하부척도를 각각 종속변수로 하여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표 7-1, 7-2, 7-3>.

직무만족 요인을 종속변수로 하고, 총 임상경력을 먼저 투입한 Model 1의 회 귀모형은 유의하였다(F=19.74,

p

< 0.001). 주요 변수인 소진, 간호업무환경, 일과 삶의 균형을 추가 투입하여 형성된 Model 2의 회귀모형 역시 유의하였다 (F=24.98,

p

<0.001). 이 모형은 직무만족의 41.3%(R2=0.413)를 설명하였고, Model 1 에 비해 설명력 29.0%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R2 change=0.29, F change=23.65,

p<

0.001). 예측변수들 중 최종적으로 직무만족 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총 임상경력(t=2.92,

p

=0.004), 간호업무환경(t=-3.19,

p=

0.002), 일과 삶의 균형(t=-4.67,

p

<0.00)으로 나타났다. 간호업무환경, 일과 삶의 균형은 점수가 높을수록 직무만 족 요인이 낮아지는 음의 관계를 보였고, 총 임상경력은 직무만족 요인과 양의 관계를 나타내었다. 직무만족 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는 총 임상경력(β

=.201), 간호업무환경(β=-.227), 일과 삶의 균형(β=-.387)순 이었다.

<표 7-1> 이직의도의 하부척도-직무만족 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N=147)

변수

Model 1 Model 2

B SE β t p B SE β t p

상수 15.08 0.46 21.12 2.08

총 임상경력 0.49 0.11 .346 4.44 <0.001 0.29 0.10 .201 2.92 0.004

소진 0.02 0.02 .094 1.13 0.259

간호업무환경 -0.06 0.02 -.227 -3.19 0.002

일과 삶의 균형 -0.04 0.01 -.387 -4.67 <0.001

R2 = 0.120, 수정된 R2 = 0.114 F = 19.74 (p <0.001)

R2 = 0.413, 수정된 R2 = 0.397 R2 change = 0.29, F = 24.98 (p <0.001), F change = 23.65 (p < 0.001)

1개의 이상값(outlier) 삭제

업무수행 요인을 종속변수로 하고, 총 임상경력을 먼저 투입한 Model 1의 회 귀모형은 유의하였다(F=6.54,

p=

0.012). 주요 변수인 소진, 간호업무환경, 일과 삶 의 균형을 추가 투입하여 형성된 Model 2의 회귀모형 역시 유의하였다(F=10.23,

p

<0.001). 이 모형은 업무수행 요인의 22.4%(R2=0.224)를 설명하였다. 예측변수들 중 업무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간호업무환경(t=-2.98, p=0.003), 일과 삶의 균형(t=-2.95, p=0.004)으로 나타났다. 간호업무환경, 일과 삶의 균형은 점수가 높 아질수록 업무수행 요인이 낮아지는 음의 관계를 보였다. 업무수행 요인에 영향 을 미치는 정도는 간호업무환경(β=-.244), 일과 삶의 균형(β=-.282)순 이었다.

<표 7-2> 이직의도의 하부척도-업무수행 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N=147)

변수

Model 1 Model 2

B SE β t p B SE β t p

상수 12.30 0.32 16.45 1.58

총 임상경력 0.20 0.08 .208 2.56 0.012 0.07 0.07 .078 0.98 0.327

소진 0.01 0.01 .041 0.43 0.666

간호업무환경 -0.04 0.01 -.244 -2.98 0.003

일과 삶의 균형 -0.02 0.01 -.282 -2.95 0.004

R2 = 0.043, 수정된 R2 = 0.037 F = 6.54 (p=0.012)

R2 = 0.224, 수정된 R2 = 0.202 R2 change = 0.18, F = 10.23 (p <0.001), F change = 11.01 (p < 0.001)

1개의 이상값(outlier) 삭제

대인관계 요인을 종속변수로 하고, 근무 형태 및 총 임상경력을 투입한 Model 1의 회귀모형은 유의하지 않았고(F=0.31,

p

=0.576), 주요 변수인 소진, 간호업무환 경, 일과 삶의 균형을 추가 투입하여 형성된 Model 2의 회귀모형은 유의하였다 (F=6.73,

p

<0.001). 이 모형은 대인관계 요인의 15.9%(R2=0.159)를 설명하였다. 예 측변수들 중 대인관계 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일과 삶의 균형(t=-2.82,

p=

0.005)뿐 이었고 대인관계 요인과 음의 관계를 나타내었다.

<표 7-3> 이직의도의 하부척도-대인관계 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N=147)

변수

Model 1 Model 2

B SE β t p B SE β t p

상수 12.56 0.38 15.25 1.91

총 임상경력 0.05 0.09 .046 0.56 0.576 -0.06 0.09 -.053 -0.64 0.523

소진 0.01 0.01 .095 0.96 0.341

간호업무환경 -0.03 0.02 -.137 -1.61 0.110

일과 삶의 균형 -0.02 0.01 -.280 -2.82 0.005

R2 = 0.002, 수정된 R2 = -0.005 F = 0.31 (p =0.576)

R2 = 0.159, 수정된 R2 = 0.136 R2 change = 0.16, F = 6.73 (p <0.001), F change = 8.85 (p < 0.001)

1개의 이상값(outlier) 삭제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5-44)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