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결론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49-80)

참고문헌

강기노. 중소병원 간호사의 이직의도 영향 요인. 간호행정학회지.

2012;18(2):155-165.

강인순. 임상간호사의 이직요인에 관한연구. 간호행정학회지. 2002;8(3):403-410.

고해진, 김정희. 간호사의 간호업무환경, 직무착근도와 이직의도 간의 관계. 간호 행정학회지. 2016;22(3):279-291.

권성복, 지성애, 백경선 등. 간호사가 지각한 질적간호에 대한 내용분석. 대한간 호학회지. 2001;31(3):380-390.

김경미, 김숙영, 황혜남, 황혜민, 김효은, 임은선. 재활병원 간호사의 직무착근도, 간호업무환경, 간호전문직관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재활간호학회지.

2019;22(2):134-141.

김남희. 간호사의 간호업무환경, 직무착근도 및 재직의도와의 관계.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2018;8(11):349-358.

김문석, 최후남, 김영미. 임상간호사의 이직의도 및 이직에 관한연구. 산업개발연 구. 1994;3(1):189-231.

김문자, 이지원, 박정숙. 중소병원 간호사의 병상규모별 간호업무환경과 직무배태 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2017;18(1):222-230.

김미란, 서문경애. 병원간호사의 소진, 직무만족,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의 관계. 한 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2013;22(2):93-101.

김미정. 교대근무간호사의 일과 삶의 균형과 조직몰입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경기: 아주대학교 대학원; 2020.

김세향, 이미애. 간호사의 이직의도, 감정노동, 의사소통능력 간의 관계. 간호행정 학회지. 2014;20(3):332-341.

김순옥. 신규간호사의 전환충격, 간호근무환경, 극복력이 재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경기: 가천대학교 대학원; 2019.

김영숙.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소진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석사학위논문].

서울: 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2011.

김우성, 허은정. 베이비붐세대, X세대, Y세대 소비자들의 소비관련 가치관과 라 이프스타일의 비교. 소비문화연구. 2007;10(4):31-53.

김정운, 박정열.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여 가학연구. 2008;5(3):53-69.

문숙자. 간호사의 이직의도에 관한 구조 모형[박사학위논문]. 서울: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0.

박미라, 방설영, 제남주. 간호사의 이직의도, 눈치, 직무스트레스가 조직사회화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융복합연구. 2020;18(1):159-168.

백희정, Kim-Godwin, Yeoun Soo. 간호의 전문직업성 척도 개발을 위한 Hall의 전 문직업성 척도 번역 및 동등성 비교. 간호행정학회지. 2007;13(4):509-515.

병원간호사회. 병원간호인력 배치현황 실태조사. 2019.

사현아. 간호사의 일-생활 균형과 직무만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석사학위 논문]. 서울: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9.

서울연구원. 월간 서울 동향 리포트. 서울연구데이터서비스. 2019.

손영미, 박정열. 남녀의 일과 삶의 균형에 영향을 미치는 인과변인과 결과변인의 차이연구-기혼직장인을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 2014;19(2):161-190.

안영숙. 간호사의 역할 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조직 몰입, 소진을 매개로)[석사학위논문]. 서울: 경희대학교 공공대학원; 2012.

어용숙, 김미숙, 박유진. 임상간호사의 이직의도 영향요인 : 전문직업성,소진, 조 직몰입 변수를 중심으로. 심리행동연구. 2015;7(1):1-13.

엄성혜. 밀레니얼 세대의 일과 삶의 균형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직원몰입의 매개효과와 조직지원인식 조절효과 중심으로[석사학위논문]. 서울: 중앙대학교 글 로벌인적자원개발대학원; 2019.

윤금숙, 김숙영.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이 간호사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간호 행정학회지. 2010;16(4):506-516.

윤은자, 권영미, 전미순, 안정화. 간호사의 이직의도 영향요인. 한국콘텐츠학회논 문지. 2016;16(1):94-106.

윤은자, 김희정. 간호사의 이직의도 도구 개발. 대한간호학회지.

2013;43(2):256-266.

이경미, 김수현. 간호사의 전문성에 대한 개념분석. 융합정보논문지.

2019;9(9):94-107.

이미숙. 임상간호사가 인식한 간호관리자의 코칭리더십이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 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이서영, 서순림. 신규간호사의 간호근무환경과 현실충격과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 지 및 자기효능감의 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2017;18(4):317-324.

이세영, 오은진, 성경미. 초보간호사의 이직의도 경험. 동서간호학연구지.

2013;19(2):168-176.

이소담. 유치원 교사의 일-삶 균형, 주관적 경력성공, 교수몰입도의 경향 및 관계 [석사학위논문].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7.

이소정. 간호사의 이직의도와 전문직업성, 팔로워십 및 성격강점의 구조모형[박사 학위논문]. 서울: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5.

이영옥, 강지연. 국내 병원간호사 이직의도 관련요인에 대한 체계적 고찰 및 메 타분석. 한국성인간호학회지. 2018;30(1):1-17.

이영진, 서문경애. 간호단위별 간호근무환경이 간호사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융복합연구. 2016;14(6):355-362.

이은영, 강현숙. 임상간호사의 감정노동과 자아탄력성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인 적자원관리연구. 2020;27(3):1-11.

이재원, 오상진. 서비스업 종사자의 행복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직무스트레 스와 일과 삶의 균형의 다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대한경영학회지.

2019;32(10):1759-1781.

이전마. 간호실무의 전문성 평가도구 개발[박사학위논문]. 부산: 부산대학교 대학 원; 2015.

이정민. 간호ㆍ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 비교 연구 : 충청지역을 중심으로. 충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6;33(1):1-48.

장선주. 정신과 병동 간호사가 경험 한 환자의 폭력 행동과 소진과의 관계[석사 학위논문]. 서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4.

장인실, 이경숙. 비판적 사고와 간호근무환경이 간호사의 임상적 의사결정에 미 치는 영향. 디지털융복합연구. 2019;17(2):255-264.

전미경, 한수정. 간호사가 지각하는 근무환경, 직무만족도, 사회적 지지가 재직의 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19;19(5):532-541.

정미라, 정은. 임상간호사의 전문직 삶의 질, 생동성이 일과 삶의 균형에 미치는 영향. 한국웰니스학회지. 2019;14(3):11-20.

정미숙, 김현리, 이윤정. 한국 간호사의 일과 삶의 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2017;26(2):114-123.

정은, 정미라. 임상간호사의 일과 삶의 균형, 공감만족, 공감피로, 소진이 그릿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2020;21(3):438-446.

정이랑, 이태화. 육아휴직 후 복귀한 간호사의 양육스트레스와 동료지지가 일과 삶의 균형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지. 2020;26(4):331-339.

조남옥. 임상간호사의 전문성경험. 한국간호과학회. 2004;5:126-126.

조영경. 신규간호사의 이직의도와 이직에 관한 구조모형[박사학위논문]. 서울: 이 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조은희, 최모나, 김은영, 유일영, 이남주. 한국어판 간호근무환경 측정도구의 타당 도와 신뢰도. 대한간호학회지. 2011;41(3):325-332.

천순덕. 직무스트레스 요인이 상사-부하 교환관계와 직무만족, 조직몰입 및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박사학위논문]. 서울: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5.

최명이, 소향숙, 고은. 병원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 윤리적 딜레마 및 소진이 이 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기본간호학회지. 2019;26(1):42-51.

최복길. 보육교사의 일과 삶의 균형이 행복감,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석사학위 논문]. 서울: 총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최영실. 중소병원 간호사의 간호전문직관, 직무만족도 및 이직의도와의 관계 -"I"

시를 중심으로-.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014;15(5):2695-2702.

추현심. 임상간호사의 전문직업성과 영향요인[석사학위논문]. 서울: 한양대학교 행정대학원; 2001.

통계청. 인구총조사. 2020.

한상숙, 손인순, 김남은. 신규간호사의 이직의도 영향요인. 대한간호학회지.

2009;39(6):878-887.

함인희. 밀레니얼 세대와 소통하는법.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9;10:3-11.

허희정, 이수경. 중소병원 간호사의 언어폭력 경험 및 소진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2018;29(3):665-678.

황루. Y세대 직원의 일과 삶의 균형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석사학위논문]. 부 산: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0.

황춘호, 김성훈. 대기업 사무직 근로자의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직무만족 요인: 밀레니얼 세대의 특성을 중심으로. 대한경영학회지.

2019;32(12):2085-2105.

Aiken LH, Clarke SP, Sloane DM et al. Hospital Nurse Staffing and Patient Mortality, Nurse Burnout, and Job Dissatisfaction. JAMA. 2002;288(16):1987-1993.

Bakhamis L, Paul 3rd D, Smith H et al. Still an Epidemic: The Burnout Syndrome in Hospital Registered Nurses. The Health care manager.

2019;38(1):3-10.

Beauregard TA, Henry LC. Making the Link between Work-Life Balance Practices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Human Resource Management Review. 2009;19(1):9-22.

Boamah SA, Laschinger H. The influence of areas of worklife fit and work-life interference on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s among new graduate nurses.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2016;24:164-174.

Brockopp D, Schooler M, Welsh D et al. Sponsored Professional Seminars:

Enhancing Professionalism Among Baccalaureate Nursing Students.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2003;42(12):562–564.

Calhoun SK, Strasser PB. Generations at Work. AAOHN Journal.

2005;53(11):469-471.

Griffeth RW, Hom PW, Gaertner S. A Meta-Analysis of Antecedents and Correlates of Employee Turnover: Update, Moderator Tests, and Research Implications for the Next Millennium. Journal of Managenment.

2000;26(3):463-488.

Gursoy D, Chi CGQ, Karadag E. Generational differences in work values and attitudes among frontline and service contact employees. International Journal of Hospitality Management. 2013;32(1):40-48.

Hall RH. Professionalization and Bureaucratization.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1968;33(1):92-104.

Hamming Oliver. Explaining burnout and the intention to leave the profession among health professionals – a cross-sectional study in a hospital setting in Switzerland. BMC Health Services Research. 2018;18(1):785.

Hampton GM. Relationship of professionalism, rewards, market orientation and job satisfaction among medical professionals: The case of Certified Nurse–

Midwives.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2004;57(9):1042-1053.

Howe N, Strauss W. The next 20 years: how customers and workforce attitudes will evolve. Harvard Business Review. 2007;85(7):41-52.

Irinyi T, Lampek K, Nemeth A et al. Discriminating low‐, medium‐ and high‐

burnout nurses: Role of organisational and patient‐related factors.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2019;27(7):1423-1430.

Iverson RD. Employee intent to stay : an empirical test of a revision of the Price and Mueller model.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Iowa.

1992.

Johnson SH. Preventing group burnout. Nursing Management. 1982;13(2):34.

Kester K. A multifaceted approach to tackling nurse turnover. Nursing Management. 2020;51(6):57-57.

Labrague LJ, De los Santos JAA. Predictors of nurses’ turnover intention at one and five years’ time. International Nursing Review. 2020; 67(2):191-198.

Lake ET, Friese CR. Variations in nursing practice environments: Relation to staffing and hospital characteristics. Nursing Research. 2006;55(1):1-9.

Lake ET, Riman KA, Sloane DM. Improved work environments and staffing lead to less missed nursing care: A panel study.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2020.

Lake ET. Development of the practice environment scale of the nursing work index. Research in Nursing & Health. 2002;25:176-188.

Lee AK, Stimpfel AW, Sloane DM et al. Changes in Patient and Nurse Outcomes Associated with Magnet Hospital Recognition. Med care. 2015;53(6):550-557.

Lyndon A. Burnout Among Health Professionals and Its Effect on Patient Safety.

Rockville, MD: 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 (US). 2016.

Mahendran AV, Panatic SA, Rajab A et al. The Influence of Work-life Balance on Burnout among Nurses. Indian Journal of Public Health Research &

Development . 2019;10(11):3338-3342.

Manojlovich M, Laschinger H. The Nursing Worklife Model: Extending and Refining a New Theory.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2007;15(1):256–263.

Maslach C, Jackson SE. The measurement of experienced burnout.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1981;2(2):99-113.

Mobley WH. Employee turnover, causes, consequences, and control.

Addison-Wesley. 1982.

Mullen K. Barriers to Work–Life Balance for Hospital Nurses. Workplace Health

& Safety. 2015;63(3):96-99.

O’Hara MA, Burke D, Ditomassi M et al. Assessment of Millennial Nurses' Job Satisfaction and Professional Practice Environment. The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9;49(9):411-417.

Palese A, Pantali G, Saiani L. The Management of a Multigenerational Nursing Team With Differing Qualifications. The Health care manager.

2006;25(2):173-193.

Potter P, Deshields T, Divanbeigi J et al. Compassion fatigue and burnout:

prevalence among oncology nurses. Clin J Oncol Nurs. 2010;14(5):56-62.

Sheahan P. Generation Y and Surviving: Thriving With Generation Y at Work.

Hardie Grant Books; 2005.

Smeltzer SC, Cantrell MA, Sharts-Hopko NC et al. Psychometric Analysis of the Work/Life Balance Self-Assessment Scale. Journal of Nursing Measurement.

2016;24(1):5-14.

Snizek WE. Hall's Professionalism Scale: An Empirical Reassessment.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1972;37(1):109-114.

Toffler A. Turnover. The Social Psychology of Organization. NY: WB Sanders Company. 1982.

Weingarten RM. Four Generations, One Workplace: A Gen X-Y Staff Nurse’s View of Team Building in the Emergency Department. Journal of emergency nursing. 2009;35(1):27-30.

Wohl R. The Generation of 1914. Cambridge, Mass: Harvard University Press, 1979. p. 203-209

Wong M, Gardiner E, Lang W, Coulon L. Generational differences in personality and motivation: do they exist and what are the implications for the workplace?

Journal of Managerial Psychology. 2008;23(8):878-890.

Working Families. New ways to work and the Working Mother’s association in the United. 2009. Available from https://workingfamilies.org.uk/about-us/our-history.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49-80)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