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다면평가제도 내적 타당성 요인 정도에 대한 증대방안

Ⅳ. 다면평가제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2) 다면평가제도 내적 타당성 요인 정도에 대한 증대방안

(1) 제도의 수용성에 대한 개선

제도의 수용성을 조사한 설문문항에서 평가에 따른 제반사항 숙지정도는 긍정 적으로 조사되었으나 다면평가를 실시함에 있어 조직 내의 사전교육과 홍보, 평 가자들의 업무에 대한 직무분석 정도는 평균치가 각각 2.35, 2.32로 나타나 부정 적으로 조사되었으며 그 개선 방안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중앙인사위원회(2004:7)의 ‘다면평가 운영 요령’에 의하면 성과주의 행정문화의 정착과, 다면평가제의 목적과 활용 및 기대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교 육 실시가 필요하다. 또한, 중앙인사위원회(2006:5)는 ‘중앙정부의 다면평가 운영 실태 점검결과’에서도 대부분 기관에서 서면, 이메일, 집합교육 등으로 다면평가 실시목적 및 방법에 대한 사전교육을 대부분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최준호(2003:2)는 성과중심을 위한 다면평가제는 무엇보다 공무원들의 직무에 대한 평가가 직관적이고 공정하게 이루어진다는 전제하에 수행되어져야 한다고 지적하면서 이를 위해서는 공무원들의 직무수행평가를 위한 평가척도가 있어야 하는데 이것이 곧 직무분석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또한 직무분석과 관련해서는 선진외국에서 행하고 있는 다면평가의 기본배경은 철저한 직무분석이 바탕이 되 어 있기 때문에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지적하고 있다.

또한, 임두택(2004:32)은 직무란 직종 및 직위의 두 가지 요소로 구성되며 특정 직종의 특정 직위에 부여된 역할이 직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직무에 대해 서는 직무분석을 통해서 직무의 가치를 확인하게 된다고 정의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구체적인 개선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 내의 사전교육과 홍보를 위하여 직장교육 시간이나 공무원에 대한 직무교육시 다면평가에 대한 강좌개설을 통하여 성과주의 행정문화의 정착필요성, 다면평가제의 목적과 활용 및 기대효과 등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을 시켜야 한다.

둘째, 평가자들이 피평가자에 대한 직무분석을 잘 할 수 있는 개선방안으로는

평가자가 피평정가자의 업무와 관련된 업무에 종사한 경험이 없는 경우라면 피 평가자에 대한 직무분석을 다면평가시 짧은 시간 내에 실시 한다는 것은 참 힘 든 일이다. 따라서 이 부문도 BSC와 연계하여 추진하는 방안이 효과적일 것이다.

각 개인의 계발된 성과지표를 파악하게 되면 피평가자에 대한 직무분석은 쉽게 이루 지게 될 것이다.

(2) 평가방식의 신뢰성 및 평가자 구성의 합리성에 대한 개선

첫째, 평가방식의 신뢰성을 조사하는 하위 분석요소인 상급자․동료․부하평가 에 대한 객관성 정도에 대하여 그 평균치가 각각 2.62, 2.71, 2.79로 나타나 그 평 가가 주관적으로 나타났으며 그리고 상급자에 의한 평가가 동료, 부하에 의한 평 가보다 주관적으로 나타났다.

현행 평가위원 구성 비율은 직근상위계급이 50~60%, 동일계급공무원 20~

30%, 직근하위계급 10~20%로 구성되고 있는데, 평가자 구성 비율 개선에 대한 설문문항에서 평가위원의 구성 비율은 상급자 40%, 동료 30%, 부하 30%로 나타 나 상급자에 의한 평가위원 수 비율을 동료나, 부하에게 더 배정하도록 나타났다.

김순양(2003:4)은 평가의 신뢰성이 저하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평가자 구 성에 있어서 상급자, 동료, 하급자가 유사한 비율로 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이는 다면평가에 있어 〈표 4-2 〉에서 나타난 평가주체별 장․단점을 비교 분석하여 객관성을 높일 수 있도록 개선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본다.

〈표 4-2〉다면평가에 있어 평가주체별 장․단점 비교

구 분 장 점 단 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