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농촌중심지의 개념과 정책

2 농촌중심지 개념 및 사업 현황

Jeonbuk Institute

11

-1. 농촌중심지 개념 및 정책

1) 농촌중심지 개념

□ 이론적 개념

◦ 중심지 이론은 1933년 독일의 크리스탈러(Christaller)가 독일의 남부 지역에 위치한 도시를 실증 분석한 결과를 기반으로 발전시킨 도시 분포와 계층체계에 관한 이론으로부터 출발함

◦ 크리스탈러가 정의한 ΄중심지(central palce)΄란 ΄΄배후지역에 대해 각종 재화와 서비스를 제공하고 지역간 교환의 편의를 도모해주는 장소΄΄임

­크리스탈러에 따르면 중심지 기능이란 배후 지역에 재화와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 능으로 이러한 기능을 갖춘 공간을 중심지라고 하며, 그 중심지로부터 재화와 서 비스를 제공받는 지역을 배후지라고 정의함(네이버 지식백과)

◦ 전통적으로 자기 지역에 재화와 서비스 등 중심기능을 공급하고 남은 잉여분을 배후지역(hinterland)에 제공하는 장소를 의미하기도 함

◦ 중심기능의 1차 충족 및 잉여분의 제공 측면에서 살펴볼 때 중심기능 은 중심성, 최소요구치, 중심기능의 도달범위 등으로 설명됨

­중심성은(centrality) : 일정 중심 지점이 지니는 의미의 과잉분이며, 중심지 외부 에 거주하는 배후지역이 중심지에 이끌리는 견인력을 의미

­최소요구치(임계치) : 이윤 이 발생할 수 있는 최소한 의 수요로, 중심지 기능의 차이에 따라 최소 요구치의 규모가 다르게 나타남

­재화나 서비스 등 중심기능 의 도달범위 : 중심지로부

터 멀어질수록 교통비와 구입가격이 증가하여 수요가 ΄0΄이 되는 지점을 의미함

­중심지 계층과 포섭원리 : 배후지역에서 요구하는 재화 또는 서비스는 매우 다양

11

-하여 각각의 재화와 서비스는 각기 다른 최소 요구치와 재화의 도달범위를 지니 고 있으며, 중심지의 기능과 특성에 따라 중심지의 범위가 다르게 나타남

◦ 중심지 이론은 특정 공간에서 중심지의 입지와 분포, 배후기역간의 기 라관계 등과 같은 공간구조를 설명하는데 적합하며, 중심성의 크기에 따라 계층적 구조가 다르게 나타남

­중심성이 큰 기능을 지닌 중심지는 고차(higher order) 중심지가 되며, 중심성이 작은 중심지는 저차(lower order) 중심지로 분류

◦ 일반적인 중심지 이론은 공간의 계층적 구조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어 서비스 전달 등 특별한 정책적 목적을 지니고 추진되는 사업에 적용 시키기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농촌중심지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고 찰함

◦ 농촌중심지의 이론적 개념에 대한 선행연구는 주로 농촌중심지의 정 의, 기능, 유형 등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으며, 초기에는 행정구역 단 위와 인구규모를 중심으로 논의가 이루어지다가 최근들어 중심지와 배후지역을 고려한 생활서비스 등과 같은 기능적 측면이 강조되고 있음

­홍영기(1977), 최양부‧정철모(1984) 등은 농촌중심지체계를 행정구역과 인구규모 를 중심으로 구분하여 제시함

­이동훈(2000)은 모든 사람이 동일 수준으로 이용할 시설이 있는 지역으로 주요 기능은 3차 서비스 산업을 적절하게 공급하는 것이며, 농촌정주생활권에서 배후 농촌지역을 가지며 중심역할을 하는 공간을 소도읍이라고 정의함

◦ 농촌중심지에 대한 본격적인 논의가 시작된 시기는 지역행복생활권 정책이 도입된 후 지역생활권의 기능 분담에서 출발함

­송미령 등(2008)에 따르면, 농촌중심지는 주민들에게 필요한 기초적인 생활서비 스를 공급하는 거점으로서 기초생활권 정책에 관심을 집중해야 할 공간으로 분류 하여 거점지역으로서 역할을 부각함

◦ 농촌중심지에 대한 개념 및 공간적 범위는 농촌중심지활성화사업의 정책적 추진배경, 사업목적 등을 고려한 검토가 필요함

13

-□ 정책적 개념

◦ 박근혜 정부의 지역행복생활권 정책에서 출발한 농촌중심지에 대한 정책적 접근은 생활서비스 중심의 3계층을 구분함

­지역생활권을 중심도시~농어촌중심지~마을로 연계되는 3계층으로 기능 분담

­중심도시는 고차서비스를 담당하고, 농어촌중심지(읍면)는 복합서비스, 인근마을은 기초생활서비스 담당

자료 : 지역발전위원회, 2013

◦ 농촌중심지활성화사업이 추진될 시기에 농림축산식품부는 도농복합시 와 군 지역의 읍·면소재지 중에서 주민들에게 교육·문화·복지 등 일 상생활서비스의 공급 중심지 및 경제활동과 지역공동체활동의 거점역 할을 하는 곳으로 정의함(농림축산식품부, 2014)

◦ 농촌중심지활성화 사업의 실무를 총괄하고 있는 지역개발지원단은 도 농복합시와 군 지역의 읍면 소재지 중에서 주민들에게 상품 및 서비 스를 비롯한 행정‧금융‧교육‧문화‧복지 등 일상생활 서비스를 공급하는 지역으로 해당 중심지와 농촌지역의 경제활동 및 지역공동체활동의 거점 역할을 수행함(한국농어촌공사 지역개발지원단, 2017)

13

-◦ 농촌중심지의 정책적 개념은 1980년대 시작된 소도읍 가꾸기 사업부 터 최근 추진중인 농촌중심활성화사업의 변천에 따라 차이는 발생할 수 있지만 농식품에서 추진하는 사업의 성격과 본 연구의 목적을 고 려하여 농식품부에서 제시한 주민들에게 교육·문화·복지 등 일상생활 서비스를 공급하는 중심지 및 경제활동과 지역공동체활동의 거점역할 을 하는 곳으로 정의함

□ 농촌중심지의 기능 및 특징

◦ 중심지 이론에 따른 중심지의 공간적 범위는 최소 요구치와 재화의 도 달범위에 근거하여 설정되나 배후마을로 효율적인 서비스 전달을 목적 으로 추진되는 농촌중심지의 개념은 접근 방식이 달리할 필요가 있음

◦ 농촌중심지에서 멀리 떨어진 배후마을에서 일반적으로 요구되는 행 정, 금융, 상업, 교육, 문화, 복지 등의 기초생활서비스 기능이 집적 된 지역이 농촌중심지에 해당되며, 일반적으로 읍면 소재지에 서비스 기능이 집적된 2~3개의 행정리를 공간적 범위로 설정하는 것이 타당함

◦ 농촌중심지의 정책적 개념을 고려한 주요 기능은 중심기능, 거점기 능, 결절기능 등으로 요약할 수 있음

­중심기능은 주변 배후마을에 대한 서비스를 공급하는 중심지로 서비스를 전달하 는 거점으로서의 중심지 역할과 농촌공동체 활동의 중심지 역할을 수행하는 기능

­거점기능은 농촌중심지와 주변 배후지역의 통합적 발전을 견인하는 역할을 수행 하며, 최근에는 6차산업, 사회서비스업 등의 활성화 거점으로서의 역할 증대

­결절기능은 도시 ~ 읍면 소재지 ~ 배후지역 계층에서 도시지역과 배후지역을 연 결하는 가교역할을 수행하며, 최근에는 도농교류 결절기능 증대

◦ 농촌 중심지의 특징은 중심지 기능 강화를 위해 시설물들을 집적화시 켜 컴팩트한 공간구조를 만들어가고, 주변 배후마을과 프로그램 전달 및 공유 등을 통해 네트워크 체계를 구축하는 것임

15

-­읍면 소재지를 거점으로 하는 농촌 중심지에 문화, 복지, 의료 등 다양한 생활서 비스가 분산되는 형태를 지양하고, 관련 시설을 집적시켜 관련 서비스를 이용하 는 주체들의 편의성 제고 및 시설물의 유지관리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는 컴팩트 한 공간구조 형성

­중심지에 집적된 시설물의 기능과 프로그램들이 인접 배후마을에 효율적으로 공 급되어 배후마을과의 서비스 연계가 확대 될 수 있도록 서비스 전달체계 개편 등 중심지와 배후마을간 효율적 네트워크 체계 구축

2) 농촌중심지 정책 변화

□ 1970년대 : 도읍 가꾸기

◦ 농촌중심지와 관련된 정책은 1970년대 새마을 사업 일환으로 추진된 도읍가꾸기에서 출발했으며, 생활권의 거점 조성을 목표로 가로정비 및 상가정비 등 기초환경정비 위주의 사업을 추진함

­건설부는 1971년 한국과학기술원으로 하여금 “소도읍 도시계획기준 및 원단위”

에 관한 연구를 수행케 하고, 이를 토대로 1974년 “면급도시에 대한 도시계획 수립지침”을 마련하여 면소재지에 대한 도시계획수립이 가능케 되었으며, 이 때부 터 소도읍 개발과 관련된 연구가 시작1)

□ 1980년대 : 소도읍 가꾸기

◦ 1980년대에는 지역개발의 거점 조성과 준 도시로서의 기능 향상이라 는두 가지 정책목표 아래 읍면 소재지를 중심으로 소도읍 가꾸기를 추진했으며, 기초환경정비 사업 외에 생산유통시설을 포함하여 추진

­1960년대 이후부터 급속한 경제성장으로 나타난 인구와 산업의 과도한 도시집 중, 지역간 불균형 심화 등 도시화 문제가 대두되어 정주생활권 개념이 등장 하 였으며, 읍면 소재지 중 총 844개 지역에서 소도읍 가꾸기 사업을 추진

1) 충남연구원, 2014, 농촌중심지 육성 및 정비사업의 성과분석과 향후 추진전략 연구

15

-□ 1990년대 : 소도읍개발사업

◦ 1980년대 이후 면정주권개발사업, 농어촌지역종합개발, 도서종합개발 사업, 오지종합개발사업, 문화마을조성사업 등 농촌 지역을 중심으로 다양한 지역개발사업이 도입됨

◦ 1980년대 추진된 소도읍 가꾸기 사업은 1990년부터 소도읍개발사업 으로 명칭이 변경되어 읍면 소재지를 배후지역에 대한 행정‧경제‧사회‧

문화 중심지로 개발하고, 지역경제 활성화 및 주민복지 증대, 도농간 개발격차 완화 등을 목표로 환경정비, 생산유통시설, 도시기반시설 정 비 사업을 추진함

­읍면 소재지 533개 지역에서 소도읍개발사업을 추진하였으며, 농촌지역의 정주생 활권 기반을 확충하는데 주력

□ 2000년대 : 소도읍육성사업 → 거점면소재지 종합개발

◦ 2000년대에는 읍 지역을 지역의 거점 육성하고, 지역 특성화를 내용 으로 하는 소도읍 육성사업을 추진했으며, 도시 인프라 확충 외에 지 역특화산업 육성, 지역관광 활성화 사업 등을 추진함

◦ 2000년대에는 읍 지역을 지역의 거점 육성하고, 지역 특성화를 내용 으로 하는 소도읍 육성사업을 추진했으며, 도시 인프라 확충 외에 지 역특화산업 육성, 지역관광 활성화 사업 등을 추진함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