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농축산물에 대한 수요의 가격 탄력성을 수집하기 위하여 농식품 수요 함수를 추정하였고, 이때 활용한 모형은 Deaton, A. and J. Muell-bauer(1980)에 의해 제안된 준이상적수요체계(Almost Ideal Demand System, 이하 AIDS로 약칭)이다.

수요함수 추정 모형은 소비자의 효용함수에 대한 가정을 두지 않고 수요함수의 형태를 설정하여 추정하는 방식과 특정형태의 효용함수를 설 정하고, 설정한 수요함수가 가질 수 있는 수요함수를 도출하는 방식으로

4) 몬테카를로(Monte Carlo) 기법은 분포에 대한 정보(평균, 분산, 분포의 형태 등)를 바

탕으로 난수를 이용하여 경험적인 분포를 형성하는 방법이다.

양분할 수 있다(권오상, 2015). 전자의 경우 상대적으로 단순한 형태의 수요함수 형태를 가질 수 있다는 이점이 있지만, 그러한 수요함수를 도 출 할 수 있는 효용함수가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는 단점이 함께 존재한 다. 후자의 경우 수요함수의 형태가 상대적으로 복잡하지만 경제이론을 충족하는 형태의 수요함수를 도출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활용할 모형 은 후자의 수요함수 중 하나인 선형 ADIS(LA-AIDS)모형이다.

우리나라에서 진행된 농식품 수요체계에 대한 연구의 다수는 LA-AIDS모형을 사용하고 있다(사공용·김태균, 1994; 이계임·최지현, 1999; 임청룡 외, 2014 등). 이 연구들은 농식품 수요에 대한 약분리성 (weak separability) 가정을 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 추정하고자 하는 수요함수의 경우에도 이 가정 필요하다. 이렇듯 많은 연구자들이 LA-AIDS 모형을 활용한 까닭은 상대적으로 추정작업이 용이하면서도 추정 파라미터에 대해 선형인 형태로 근사한 지출 비중 방정식 체계를 도출하며, 경제이론에 부합하는 수요함수 및 가격탄력성과 소득(지출액) 탄력성이 추정가능하기 때문이다(권오상, 2015).

LA-AIDS 모형은 Muellbauer(1975)의 PIGLOG 함수에 Stone(1954)에 서 제안된 바와 같이 함수의 일부분을 분석대상의 실질가격지수로 대체 하여 지출 방정식에 다음과 같은 형태를 부여한 모형이다. 이 모형은 수 요함수가 충족해야하는 가산성조건 집계조건, 대칭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분석 품목을 농산물, 축산물, 수산물, 가공식품, 외식서 비스로 총 5개 품목으로 구분하였으며, 가구 특성을 고려한 더미변수 및 분기 더미변수, 시간에 따라 농식품 수요체계가 변화하는 점을 고려하여 추세변수를 반영시켜 모형을 구축하였다. 이 모형은 아래 식 (13)과 같 이 간접효용함수의 형태를 먼저 설정하고,   에 아래 식(14)와 같은 형태를 부여한 것으로 정의된다.

  ln ln

 

      

 

(13)

ln  

ln 

lnln

이때   

  

 

(14)

식 (13)의 간접효용함수와 로이의 항등식을 통해 각 품목에 대한 비 중방정식을 얻을 수 있으며, ln를 실질가격지수로 대체한 뒤, 가구 특성 더미 변수, 분기별 더미변수 및 추세변수를 적용하면 다음과 같은 식의 LA-AIDS모형을 도출할 수 있다. 이때, 적용된 가구 특성 변수는 선행연구(권오상, 2015; 김동준 외, 2018; 김관수 외, 2018)에서 착안하여, 소득더미(저소득층, 중소득층)5) 및 가구 유형더미(근로자 가구), 분기별 더미(1분기, 2분기, 3분기)이며, 추세 변수로는 연도변수를 적용하였다.

  

ln ln   





이때 ln   

ln

  

    

 

(15)

5) 소득분위 1,2,3분위에 해당하는 가구를 저소득 가구, 4,5,6,7 분위에 해당하는 가구를 중소득가구, 8,9,10 분위에 해당하는 가구를 고소득 가구로 분류하고 더미변수를 부여 하였다.

이때, 식(15)에서 는 번째 품목에 대한 지출비중, 는 번째 품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