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논의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58-61)

III. 연구방법

Ⅴ. 논의

본 연구는 중‧고등학교 검도 선수의 지도자 친밀감이 운동몰입 및 학교 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지도자친밀감, 운동몰입, 학교생활적응에 대한 차이를 알아보고 중‧고등학교 검도 선수들이 지각하는 지도자 친밀감이 운동몰입 및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본 연구의 가설에 맞춰 검증을 실시하 였다. 이를 통해 도출한 결과를 토대로 논의한 바는 다음과 같다.

1.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지도자 친밀감의 차이

성별과 입상유무에 따른 지도자 친밀감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학년에 따른 차이에서는 행위적 친밀감에서 중학생보다 고등학생이 더 높 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남자와 여자선수 모두 운동을 전문적으로 하는 선수들로 두 집단 모두 평균 이상의 지도자자 친밀감을 보이고 있으며 선 수들은 대부분의 시간을 지도자와 함께 하기 때문에 정서적으로 행위적으 로 친밀감을 갖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고등학생이 더 높은 이유 는 중학생에 비해 지도자와의 생활한 경험은 물론 선수 생활의 경험이 더 많아 지도자의 성향을 빠르게 파악해 밀접한 관계를 형성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또한 지도자도 고등학교 선수들에게는 자율성과 책임감을 부여 하고 더 높은 수준의 커뮤니케이션을 하기 때문에 중학생보다 고등학생의 행위적 친밀감이 더 높다고 할 수 있다.

지도자의 지도기간에 따른 지도자 친밀감의 차이에서는 3년 이상보다 2 년-3년 미만에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지 지도자의 지도기간은 3년 이상의 경우 많은 부분에서 친밀감을 형성하고 편안한 단계까지 진행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선수들은 지도자가 많은 부분에서 선수

본인들에 대해 인지하고 있다고 판단하기 때문에 자율성에 대한 욕구가 더 많은 것으로 이해된다. 반면, 2년-3년의 경우 가장 높은 친밀감을 보 이는 이유는 친밀감이 가장 높은 수준으로 형성되는 시기라고 해석된다.

이는 지도자와의 지도기간이 지나며 형성되는 친밀감의 과정의 기간이기 때문에 지도자는 선수와의 친밀감에 대해 시간을 갖고 선수에게 맞는 정 서적이고 행위적인 친밀감 형성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야 할 것이다.

운동시간에 따른 지도자 친밀감의 차이에서는 4시간 이상보다 3시간-4 시간 미만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선수들이 4시간 이상은 훈련 에 대한 거부감을 갖고 있다고 해석되며 친밀감 형성에도 부정적인 것으 로 해석된다. 청소년기 선수들에게 가장 중요한 부분은 동기부여기 때문 에 하루 장시간 운동 할 때에는 선수들에게 계속해서 동기를 유발 할 수 있는 지도력으로 선수와의 친밀감을 형성해야 할 것이다.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운동몰입의 차이

성별, 학년, 지도기간, 입상유무에 따른 운동몰입에서는 차이가 없는 것 으로 나타났고 청소년기인 중학교 및 고등학교 검도선수들은 검도선수로 의 성장이 가장 큰 목적이기 때문에 성별, 학년, 지도기간, 입상유무에 따 라 운동몰입에 대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생각된다. 반면, 1일 운동시간에 따른 운동몰입에서는 4시간 이상보다 4시간 이하의 운동시간에 운동을 몰 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훈련의 시간과 선수들의 성적 향상은 비례 하지 않는다고 해석된다. 오히려 하루에 4시간-3시간 이하의 1일 운동시 간은 선수들이 학업을 마친 오후 운동과 저녁 운동에 제일 적합한 시간으 로 판단된다. 또한 청소년기에는 신체적 그리고 심리적인 성장하는 시기 이기 때문에 이에 맞는 훈련법과 훈련양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지도자 는 청소년기의 특성을 잘 고려한 훈련을 진행해 중‧고등학교 검도선수들의 운동몰입을 높여야 한다.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학교생활적응의 차이

성별에 따른 학교생활적응에서는 하위요인 학교생활흥미에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청소년기 학교생활에서 학업과 더불어 교우관계는 물론 신체활동과 같이 어울려 함 께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지도기간에 따른 학교생활적응에서는 1년-2년 미만보다 다른 지도기간 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도자의 지도기간이 길수록 청소년 검도선수들은 학교생활에 더 잘 적응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청소년 검도 선수들은 방과 후 지도자와 함께하는 시간이 많기 때문에 지도자의 역할이 크다고 할 수 있으며 지도자에 대해 적응하는 시기가 지나면 학교 에도 잘 적응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지도자는 운동에 대한 적응과 만족 외에도 학생들이 학교생활을 잘 적응하게 세심히 지도해야 한다.

1일 운동시간에 따른 학교생활적응에서도 4시간 이상 보다 4시간 이하 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학교생활에 잘 적응한다는 것은 학교 에 대한 흥미가 넘치고 수업시간과 이외 시간에도 교사 및 학생들과의 관계도 잘 형성되고 유지되어야 한다. 또한 학교생활에 필요한 학교 규범 을 잘 준수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학교생활에 잘 적응하기 위해서는 학생 선수들은 무리하게 운동을 많은 시간 할애하는 것보다 효율적인 운동을 적용해 적절한 시간을 소화해야 한다. 효율적인 운동을 통해 선수들은 학 교생활에도 할애할 수 있는 신체적‧심리적 여유도 생길 수 있다고 판단된 다. 더욱이 과거와 달리 학생선수의 학습권 보장을 위해 교육부와 문화체 육관광부에서 많은 관심과 시행을 적극적으로 하고 있는 만큼 학생선수 들에게 운동시간의 적절한 적용과 학교생활에 대한 적응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

입상유무에 따른 학교생활적응의 차이에서는 하위요인 학교규범준수에 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입상경험이 있는 경우에 더 높은 것으로 나 타났다. 이는 입상경험이 있는 선수들의 경우 팀에 잘 적응하고 운동 수

행 능력도 발전하여 비교적 좋은 성적을 낸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좋은 성적을 거두는 선수들은 운동에 대한 열정과 동기부여가 확실하고 자기관 리가 철저한 선수들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경험들과 습관들은 학교생 활로 이어져 학교생활에서도 더 잘 적응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58-61)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