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본 연구는 통합적 미술활동이 유아의 언어능력에 향상을 가져올 것이라 고 보았다.이를 위해 만 5세 유아들(실험집단 20명,비교집단 20명)을 대 상으로 실험집단에게는 통합적 미술활동을 실시하였고,비교집단에게는 별다른 처치가 없는 표현중심 미술활동을 실시하였을 때 유아들의 언어능 력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결과를 중심으로 연구문제에 대한 논의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통합적 미술활동을 경험한 실험집단은 특별한 처치를 하지 않은 비교집단과 언어이해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이 런 결과는 같은 기간 동안 통합적 미술활동의 경험이 유아의 언어이해력 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활동이라고 여겨지며,이러한 결과는 유 아들이 생각하고 그것을 이야기해봄으로써 풍부한 이해력을 가질 수 있게 된다는 Cliart와 Shaw(1998)의 연구를 뒷받침하고 있다.

둘째,통합적 미술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은 표현중심 미술활동을 실시 한 비교집단과 언어표현력에서 매우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이러한 결과는 통합적 미술활동을 하면서 미술작품을 통해 다른 친구의 표현을 보고, 듣고, 이해하고, 표현활동을 하는 과정에서 얻은 영향이며, Applebee(1978)와 Lucky(1990)가 주장한 언어력 표상활동이 유아의 지적

발달과 표현력이 증진된다는 연구와도 일치한다.또한 유아들은 언어 표 현의 기회가 생기면 그들이 획득한 언어지식을 통해 자기가 이해하는 수 준에서 나름대로 표현을 하게 되고,다른 유아보다 언어사용의 기회를 많 이 가져본 유아들일수록 언어적 기술면에서 수준이 높아지게 된다는 문형 순(1996)의 연구와도 일치한다.

셋째,언어능력에 있어서 성별간의 차이를 알아보았다.전체집단에서는 남자아이들과 여자아이들 모두 사전검사보다 사후검사 점수가 높아졌으 며,변화량은 남자아이들에 비해 여자아이들이 조금 더 높게 나왔다.이것 은 남자아이들보다 여자아이들의 언어능력이 발달하였다고 볼 수 있으나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이것을 보다 구체적으로 알아보기 위해 비교집 단과 실험집단에서 각 집단별 성별에 따른 언어능력의 차이를 비교해보았 다.그 결과 비교집단에서는 남자아이들과 여자아이들 모두 사전검사보다 사후검사 점수가 높아졌으며,변화량은 여자아이들이 남자아이들 보다 높 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실험집단 에서도 비교집단과 같이 사전과 사후 모두 남자아이들보다 여자아이들의 점수가 높았지만 변화량은 남자아이들이 여자아이들보다 높은 것으로 나 타났다.그러나 비교집단과 마찬가지로 성별에 유의미한 차이는 없는 것 으로 나타났다.이러한 결과는 유아들의 성별에 따라 언어능력에 차이를 보이지 않는 다는 주영희(1984)의 주장과도 일치하며 위의 결과들을 종합 해보면 언어능력은 잠재적인 교육과정 안에서 이루어지기 보단 구체적인 활동의 목적을 통해 이루어 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통합적 미술활동이 유아의 언어능력을 증진시킴을 알 수 있었으나,통합적 미술활동의 교육적인 가치를 더욱 확고히 하고자 다음과 같은 후속연구 및 제언을 한다.

첫째,본 연구자는 1주일에 3~4회 4주간 총 12회의 짧은 기간에 통합적 미술활동을 통한 유아의 언어능력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그러나 언어능력은 점진적으로 계속 발달하므로 오랜 시간이 필요하다.그러기 때문에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장기적으로 활동을 한 후속 연구가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둘째,본 연구의 결과에서 통합적 미술활동이 유아의 언어이해력,언어표 현력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으나,그 효과가 얼마나 지속적인가를 규명 하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에 위치한 S유치원 만 5세 40명을 대상으 로 얻은 연구 결과이므로 이를 일반화하기에는 무리가 있다.따라서 좀더 넣은 연령과 다양한 배경 등을 고려하여 보다 많은 유아를 대상으로 연구 가 이루어져야 한다.

마지막으로,통합적 미술활동을 현장에서 올바르게 하기 위해서는 교사 들을 위해 통합적 미술활동에 대한 인식과 다양한 정보,지식을 제공해 줄 수 있는 프로그램의 교육이 필요하다.

참고 문헌

고은님(1997).유아의 이야기 이해도와 이야기 구성력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교육부(1998).제 6차 유치원 교육과정 해설.서울:대한교과서 주식회사 교육부(2000).제 6차 유치원교육활동 자료집.서울:대한교과서 주식회사.

권진희(2000).NIE프로그램이 유아의 언어능력에 미치는 효과.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동영(1998).미술 중심에 초등학교 통합교육에 대한 연구.미술교육,8, 121-154.

김민정(1995).이야기책 듣기가 유아의 어휘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김은미(1997).동화 만들기 활동경험이 유아의 언어표현력 및 창의성에 미 치는 영향.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정 외(1998).미술 교육학 원론.서울:예경

김화영(2001).이야기 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언어표현력과 언어이해력에 미치는 영향.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문세라(2004).통합적 미술 감상활동이 유아의 미술표현력과 창의성에 미 치는 영향.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문형순(1996).교사의 발문 유형이 유아의 창의성과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효과.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교육대학교 미술교육 연구회(1997).유아미술교육학.서울:학문사.

서정아(1998).글 없는 그림책에 대한 유아의 반응.이화여자대학교 대학 원 석사학위 논문.

성진숙(1994).듣기이해점검과제에 대한 아동들의 수행정도.이화여자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안경숙(1993).유아의 인지양식에 따른 언어표현의 차이.계명대학교 교육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안진아(2003).탐색·표현·감상의 통합적 미술활동이 만 5세유아의 정서지 능에 미치는 효과.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오미경(1995).그림이야기 활동이 유아의 언어능력과 그림 표현 능력에 미 치는 효과.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원선임(1999).동화책 읽어주기 접근법이 유아의 언어표현력 및 이해력에 미치는 영향.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윤정숙(2005).통합적 미술활동이 유아의 공간능력에 미치는 영향.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이경수(2006).탐색·표현·감상의 통합적 미술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 는 영향.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나영(2001).통합적 미술 감상활동시의 교사의 확산적 질문이 유아의 창 의성에 미치는 영향.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명자(1995).탐구적인 이야기 나누기 활동이 유아의 언어능력 발달에 미 치는 영향.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수연(2002).탐색·감상·표현의 통합적 미술 전략이 유아의 미적반응과 표현능력에 미치는 영향.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이영자·이정숙·유혜숙(1998).유치원 미술교육 현황조사.어린이교육,16, 69-106.

이영자·이기숙·이정욱(2000).유아교수 학습방법.서울:창지사.

이은영(2000).이야기 꾸미기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및 언어표현능력과의 관계 연구.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정욱(2003).미술교육과 수학교육의 통합적 접근이 유아의 기하도형 이 해에 미치는 영향.덕성여자대학교 논문집,32,101-117.

이정욱·임수진(2003).탐색·표현·감상의 통합적 유아미술교육.서울:정민 사.

이차숙·노명완(1997).유아 언어교육론.서울:양서원.

이화자(1987).유치원 미술활동 현황에 관한 연구.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임경애(2000).미술요소에 기술한 그림비평활동이 유아의 그림 표현에 미 치는 영향.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임수진(1998).미술비평활동이 유아의 미적반응 및 표현능력에 미치는 영 향.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장영애(1981).가정환경변인과 4~6세 아동의 언어능력과의 관계.연세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정미경(1999).미적 요소에 기초한 활동중심 통합 미술프로그램이 유아의 미술표현능력 및 미술 감상능력에 미치는 영향.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 논문.

정은주·정진(1996).유아 언어교육.서울:창지사.

조혜자(1987).이야기 구조에 따른 이해 추론 양상.이화여자대학교 대학 원 박사학위 논문.

주영희(1984).유아를 위한 언어교육.서울:교문사.

홍미숙(2001).통합적 미술 감상활동이 유아의 그림 표현 능력에 미치는 영향.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Applebee,A.N.(1978).

.Chicago,IL:TheUniversityofChicagoPress (ERIC DocumentReproductionServiceNo.ED 155707).

Barry(1977). : An

exploratory investigation.

Bloom,D.(1985).Reading as a socialprocess. 62(2), 134-142.

Bonitatibus,G.J.(1996).Finding New Meaning:Children'sRecognition ofInterpretiveAmbiguity in Text.

62,131-150.

Chomsky,N.(1965).Aspects of the Theory of syntax,Camdbridge.

MA:M.I.T.press.

Cliatt,M.J.P.,Shaw,J.M.(1988).The storytime exchange:was to enhanceit. ChildhoodEducation.64,pp.293-294.

Cole,E.(1995).Theeffectofaconginivelyorientedaestheticcurriculim ontheaestheticjudgementandresponseoffour,six,and

eightyearolds in an artmuseum program.

No.AAD8523952.

Davis,J.,& Gardner,H.(1994).

In B.Spodek(Ed.),Handbook ofresearch in early childhoodeducation(2nded.).New YorkMacmilian.

Dewey,J.(1934).Artasexperience.G.P.

Dobbs,S.M.(1992).

CA:TheGettyCenterfor Educationinthearts.

Douglas,N.& Schwartz,J.(1967).Increasing awarenessofartideaof

Douglas,N.& Schwartz,J.(1967).Increasing awarenessofartideaof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