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 건강노화

WHO에서는 건강노화(healthy ageing)를 ‘노인의 웰빙을 가능하게 하는 기능적 능력을 개발하고 보존하는 과정’으로 정의하였다(WHO, 2015, p. 28). 건강노화는 노인건강 자체를 바라보는 새로운 관점이며 노인에 대한 건강 정책의 목표가 된다.

일반 성인과 달리 노인에게 질병 유무를 놓고 이분법적으로 건강상태 를 구분하거나 병리학적 관점에서 건강을 정의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

노인의 경우 일반 성인과 달리 질병은 치료되었으나 신체적 역량과 기능 감소로 독립생활이 불가능한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이 같은 맥락에서 건 강노화(healthy ageing)는 노인건강 정책 혹은 사업의 틀로서 중요한 의 미를 갖는다.

WHO는 건강노화의 기전으로 기능적 능력(functional ability)과 환 경과의 상호작용을 제시하였다. 여기서 기능적 능력은 어떤 사람이 존재 하고 가치를 두는 모든 것을 가능하게 하는 건강 관련 속성을 말한다. 각 개인의 내적 역량(intrinsic capacity)은 당연히 신체적, 정신적 역량을 포함하는 것이다.

노인이 가치 있는 삶을 누리고 활동하는 것은 개인의 기능적 능력만으 로 결정되는 것은 아니며 환경도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신체적 활동에

노인건강에 대한 관점과 지역사회 보건복지 서비스

<<

2

36 고령사회 진입에 따른 노인건강 현황과 보건의료・복지 서비스 제공 모형

제한이 있어도 이동을 도와줄 기구 혹은 대중교통이 있으면 그렇지 못한 상황에 처해 있는 노인과 달리 원하는 대로 이동할 수 있기 때문이다.

노인들은 중년기 이후 노화 과정을 거치면서 내적 역량과 기능적 능력 이 어떤 궤적을 그리게 되는데, 이를 크게 3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 다. [그림 2-2-1]에서 A는 중년기 이후 신체적 역량을 최대한 유지하는 경우, B는 특정 시점에서 갑자기 역량이 떨어졌다가 회복하는 경우, C 는 신체적 역량이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그림 2-2-1〕 노화의 궤적 도식도

<신체적 기능 노화의 세 가지 궤적>

<기능적 능력과 내적 역량의 노화 궤적>

자료: WHO. (2015). World Report on Ageing and Health. pp. 31-32.

2. 노쇠의 개념, 측정과 중재 가. 노쇠의 개념

노인에게 건강노화를 성취하기 위해서 일반 성인과 달리 중점적으로

제2장 노인건강에 대한 관점과 지역사회 보건복지 서비스 37

관리되어야 할 신체적, 정신적 변화로는 ‘노쇠(frailty)’가 있다. 노인건강 관련 연구나 문헌에서 ‘노쇠’가 등장한 것은 1980년대 이후이다.

노쇠는 ‘노인이 내적, 외적인 스트레스에 취약한 경우이며, 반복적인 입원 치료 등이 필요한 정도로 악화될 가능성이 높은 상태’로 정의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노쇠는 장애와 달리 회복이 가능한 상태를 가리키고 예 방, 치료 및 관리에 필요한 중재가 가용하다(Cesari, 2012, pp. 3-6).

노쇠 증후군의 병태생리를 살펴보면 노쇠는 다양한 원인이 작용하여 신체의 여러 기관이 잘 조절되지 못하여 항상성(homeostasis)이 깨지고 생리적 역량이 감소하는 것이다. 이를 자세히 살펴보면 가능한 기전은 만 성적 염증과 면역 반응이 활성화되는 것으로 근골격계, 내분비계, 심혈관 계 등을 통해 다양한 증상이 발현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장애나 질병 악화, 사망 등에 취약한 상태가 된다(그림 2-2-2).

〔그림 2-2-2〕 노쇠의 경로

자료: Chen, X., Mao, G., & Leng, S. X. (2014). Frailty syndrome: an overview. Clinical interventions in aging, 9, p. 436.

노쇠 과정을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영양 섭취가 줄어들고 체중이 감소 하면서 근무력증 및 신체대사 감소로 이어진다. 이 같은 과정이 반복되면

38 고령사회 진입에 따른 노인건강 현황과 보건의료・복지 서비스 제공 모형

서 신체 활동과 걷는 속도가 감소하는 등의 노쇠 현상이 나타나고 장애와 낙상 발생 등으로 이어지게 된다(그림 2-2-3). Fried et al.(2001, pp.

M146-M156)은 노쇠는 장애와 동반 질환과는 다른 별도의 증후군이면서, 일부는 장애와 동반 질환과 겹쳐서 나타날 수 있다고 하였다(그림 2-2-4).

〔그림 2-2-3〕 노쇠의 생리학적 과정

자료: Xue, Q. L. (2011). The frailty syndrome: definition and natural history. Clinics in geriatric medicine, 27(1).

〔그림 2-2-4〕 노쇠, 장애, 동반 질환의 벤다이어그램

자료: Fried, L. P., Tangen, C. M., Walston, J. Newman, A. B., Hirsch, C., Gottdiener, J.et al. (2001). Frailty in older adults: evidence for a phenotype, Journal of Gerontology: Medical Sciences, 56A(3), p. M151.

제2장 노인건강에 대한 관점과 지역사회 보건복지 서비스 39

Fried 등(2001, pp. M146-M156)은 노쇠를 특정 병태생리적 과정에 서 다양한 증상을 보이게 되는 일종의 의학적 신드롬(medical syn-drome)으로 보았다. 그는 이를 노쇠 표현형(FP: frailty phenotype)이 라고 하였으며 1) 허약, 2) 느린 신체적 반응, 3) 낮은 신체 활동, 4) 소진:

지구력 부족, 5) 체중 감소를 구성 요소로 제시하였다.

노쇠를 의학적 증후군으로 바라보는 입장에서 노쇠 표현형(FP: frailty phenotype) 외에 지표를 사용하는 학자도 있다. Rockwood 등은 노쇠 를 ‘장애의 특성이나 수와 무관하게 사망과 시설입소를 예측하는 연령 관 련 결핍 요소가 축적된 것’으로 정의하였으며, 이를 frailty index(FI)로 제시하였다(Bergman, 2007, p. 735). Frailty index(FI)에서는 인지 상 태, 감정 상태, 동기 부여, 의사소통, 운동과 균형 능력, 실금 여부, ADL, 영양, 사회적 자원, 동반 질환 등을 통해 노쇠를 측정하고 있다.

한편 노쇠에 대해 의학적 증후군이 아닌 다른 측면에서 접근하는 흐름 도 있다. 위험 요인(risk factor approach) 접근에서는 다양한 기전과 생리가 작용하는 것이며, 몇 개의 증상만이 아닌 수많은 결핍이 축적된 것으로 본다. 따라서 노인 증후군(geriatric syndrome)은 다양한 영역 의 손상이 축적된 영향으로 나타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