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노래를 활용한 스토리텔링 활동이 유아의 음악성에 미치는 영향

면서 단순하게 노래를 즐겨 부르는 활동에 초점을 두고 진행된다.하지만 본 연구의 경우에는 스토리텔링 접근으로 진행되어 노래의 가사를 통해 스토리 전개가 용이할 뿐 만 아니라 이를 동화로 개작하여 다시 들려주기가 가능하였다.또한 일반적인 노래 부 르기 활동으로 진행되는 것 보다는 노래를 동화로 다시 들려주고,다시 주제가 있는 노래의 스토리 전개 과정을 교사가 질문하고 유아는 노래로 답을 하는 과정을 통해 유 아의 언어 표현력이 신장되어졌음을 시사하는 것이다.즉,이야기를 반복해서 노래와 동화로 자주 듣게 되는 과정 속에서 유아들이 스토리의 내용을 기억하게 되었을 뿐 아 니라 다음에 오는 스토리의 내용을 예상하게 된 결과로 볼 수 있다.

실험집단 비교집단

〔그림 Ⅳ-5〕음악성에 대한 사전․사후 검사 결과

<표 Ⅳ-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유아의 음악성은 노래를 활용한 스토리텔링 활동 후, 집단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2.181,p<.05).즉,실험 처치 후의 음악표현성이 실험처치 전의 음악표현성보다 크게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 다.

또한 그림에서와 같이 사전검사에서는 실험집단(M=52.40, SD=11.63)과 비교집단 (M=52.06, SD=11.47)간에 차이가 거의 없으나, 사후검사에서는 실험집단(M=61.33, SD=7.72)이 비교집단(M=53.80,SD=10.92)보다 훨씬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노래를 활용한 스토리텔링 접근이 유아의 음악성을 증진시키는데 매 우 효과적임을 시사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1 .유아의 음감

노래를 활용한 스토리텔링 활동이 유아의 음악성의 하위요인인 음감에 미치는 영향 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처치 후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유아들을 대상으로 음감 검사를 수행하였다.실험집단과 비교집단 유아의 음감에 대한 사전․사후 검사 결과는 <표 Ⅳ -6>과 같다.

<표 Ⅳ-6> 음감에 대한 사전․사후 검사 결과

구분 M SD t p

사전

실험집단(N=15) 27.06 8.05

.050 .961 비교집단(N=15) 26.93 6.47

사후

실험집단(N=15) 32.33 3.86

2.196 .037* 비교집단(N=15) 27.46 7.66

*p<.05

실험집단 비교집단

〔그림 Ⅳ-6〕음감에 대한 사전․사후 검사 결과

<표 Ⅳ-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유아의 음감은 노래를 활용한 스토리텔링 활동 후, 집단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2.196,p<.05).즉,실험 처치 전 유아의 음감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실험처치 후에는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그림에서와 같이 사전검사에서는 실험집단(M=27.06, SD=8.05)과 비교집단 (M=26.93, SD=6.47)간에 .13의 미세한 차이를 보였으나, 사후검사에서는 실험집단 (M=32.33,SD=3.86)이 비교집단(M=27.46,SD=7.66)에 비해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노래를 활용한 스토리텔링 접근이 유아의 음감을 높이는데 매우 효과 적임을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2 .유아의 리듬감

노래를 활용한 스토리텔링 활동이 유아의 음악성의 하위요인인 리듬감에 미치는 영 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처치 후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유아들을 대상으로 리듬감 검 사를 수행하였다.실험집단과 비교집단 유아의 리듬감에 대한 사전․사후 검사 결과는

<표 Ⅳ-7>과 같다.

<표 Ⅳ-7>리듬감에 대한 사전․사후 검사 결과

구분 M SD t p

사전 실험집단(N=15) 25.33 4.87

.095 .925 비교집단(N=15) 25.13 6.53

사후 실험집단(N=15) 29.00 4.22

1.683 .104 비교집단(N=15) 26.33 4.45

실험집단 비교집단

〔그림 Ⅳ-7〕리듬감에 대한 사전․사후 검사 결과

<표 Ⅳ-7>과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리듬감은 비교집단(사전/M=25.13,SD=6.53;

사후/M=26.33, SD=4.45)의 유아들에 비해 실험집단(사전/M=25.33, SD=4.87; 사후 /M=29.00,SD=4.22)유아들의 평균점수(비교:1.20< 실험:3.67)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 다.그러나 통계적으로는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노래를 활용한 스토리텔링 접근이 음악성의 하위요인 중 유아의 리듬 감 증진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아님을 의미한다.

이를 종합하면,노래를 활용한 스토리텔링 활동은 유아의 음악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그리고 유아의 음악성을 하위요인별로 분석한 결과,리듬감보 다는 음감의 향상에 더 효과적인 활동임을 보여주었다.이는 노래를 활용한 스토리텔 링 활동이 일반적인 활동에서 차이가 있음을 의미한다.

즉,본 연구에서는 스토리텔링 접근과 노래 부르기 활동을 음악성과 통합하여 진행 함으로써 교사가 질문하면 유아는 이에 대한 답을 정확한 음과 정확한 리듬으로 답을 하도록 하였다.그 결과,음악적으로 접근한 스토리텔링 활동은 유아가 교사의 질문에 노래로 답을 하는 과정에서 음악성의 하위요인인 리듬감보다는 음감 신장에 더욱 효과 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선정된 노래들이 가르치고자 하는 내용을 분명하게 담겨 있어서 유아들의 이해 와 기억력을 높일 수 있었을 뿐 아니라 즐거운 멜로디가 음에 대한 유아들의 흥미와 관심을 유도하고 유지시킨 결과로 볼 수 있다.

Ⅴ.논의 및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