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노동서비스에 대한 만족도

문서에서 -요양병원 돌봄 인력을 중심으로- (페이지 66-71)

4. 연구결과 및 분석

4.4 노동서비스에 대한 만족도

본 연구의 이론체계에서 도입된 변수들의 관계는 상관관계분석을 통해 관찰 할 수 있다. 이는 설정된 가설의 검증결과를 예측할 수 있는 선행 자료가 된다 는 점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진다. 이러한 필요성에서 피어슨 상관계수 분석을 통해 먼저 변수들 간의 관계를 추출하였는데 그 결과는 <표 21>과 같다.

<표 21> 변수들간 상관관계 분석

변수 NS JS OC OI

노동서비스 만족(NS)

1.0000 ( 0) P=.

직무만족(JS)

.2582 (236) p=.000

1.0000 ( 0) P=.

조직몰입(OC)

.3365 (236) p=.000

.2519 (236) p=.000

1.0000 ( 0) P=.

노인인식 이미지(OI)

.0967 (236) p=.001

.1136 (236) p=.000

.2389 (236) p=.002

1.0000 ( 0) P=.

(상관계수/(자료 수)/유의도)

<표 2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 및 노인인식 이미지는 노 동서비스 만족에 정(+)의 상관을 보이고 있다. 조직몰입이 가장 높은 상관관계 를 보였으며, 그 다음은 직무만족이 높은 상관을 보였다. 그리고 노인 인식 이 미지는 상대적으로 약한 상관을 보였다.

4.4.1 노인인식 이미지와 노동서비스의 만족도

<가설Ⅰ>은 노동서비스 종사자의 노인인식 이미지 수준에 따라 노동서비스 만족에는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이다. 요양병원에 근무하는 노동서비스 종 사자의 노인인식 이미지는 단일변수로서 노인인식 이미지의 평균점수를 기준으 로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의 2개 집단으로 구성되어 있고, 노동서비스 만족은 독립적인 변수이므로 두 집단 간의 노동서비스 만족에 대한 차이는 t검증과 상 관관계분석에 의해 검증할 수 있다. t검증의 절차는Levene검증(통계산출표상의 F값에 따른 양측검증 값)결과를 판단하여 검증 값이 일반적인 유의수준인 0.05 보다 크면 통합분산추정량(pooled variance estimate)의 양측검증 P값으로 유의 적인 차이 여부를 결정하고, 0.05보다 작으면 보다 적절한 Welch검증 개별분산 추정량(separate variance estimate)의 양측검증 p값으로 유의적인 차이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노동서비스의 만족은 통합분산추정량의 값을 이용 하였다.

<표 22> 노인인식 이미지 수준에 따른 노동서비스의 만족도

종속변수 집단 표본

수 평균 표준

편차 표준

오차 F값 양측 검증

통합분산추정량 t값 자유도 양측검정 노동서비스

만족도 Ⅰ 126 3.8167 .719 .041

1.06 .521 -7.13 1085 .000***

Ⅱ 110 3.1271 .733 .039

***p<.001 주) 집단Ⅰ: 노인인식 이미지를 높게 지각한 집단

집단Ⅱ: 노인인식 이미지를 낮게 지각한 집단

<표 2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노동서비스에 대한 만족도에 있어서 요양병원 에 근무하고 있는 노동서비스 종사자 중 노인인식 이미지 수준이 높은 집단(집 단Ⅰ)의 평균값이 3.8167 나타나 노인인식 이미지를 낮게 지각한 집단(집단Ⅱ) 의 평균 값 3.1271보다 유의도 0.001수준에서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노인인식 이미지 수준이 높을수록 노동서비스의 만족수준 또한 높아진다는 것을 유추할 수 있다.

4.4.2 직무관련 태도와 노동서비스의 만족도

요양병원 노동서비스 종사자의 직무만족 수준과 노동서비스에 대한 환자만족 도와의 관계는 t검증과 상관관계분석에 의해 검증할 수 있다. 본 연구가 두 변 수간의 상관관계의 분석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므로 본 항은 상관관계분석으로 검증이 가능하나, 상관관계분석은 상관계수만을 나타낼 뿐 보다 상세한 데이터 를 제시하지 않기 때문에, 비교적 상세한 자료 값 분석을 하는 t검증과 상관관 계분석을 병행하여 검증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가설 Ⅱ>는 노동서비스 종사자의 직무관련태도에 따라 환자들이 느끼는 노동서비스의 질에 대한 만족에는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 이다.

요양병원 노동서비스 종사자의 직무만족은 단일변수로서 2개 집단으로 구성 되어 있고, 노동서비스 만족은 독립적인 변수이므로 두 집단간의 노동서비스

만족과의 관계는 t검증과 상관관계분석에 의해 검증할 수 있다. t검증의 절차는 Levene검증(통계산출표상의 F값에 따른 양측검증 값)결과를 판단하여 검증 값이 일반적인 유의수준인 0.05보다 크면 통합분산추정량(pooled variance estimate) 의 양측검증 P값으로 유의적인 차이 여부를 결정하고, 0.05보다 작으면 보다 적 절한 Welch검증 개별분산추정량(separate variance estimate)의 양측검증 p값으 로 유의적인 차이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67) 이에 따라 노동서비스의 만족은 통합분산추정량의 값을 이용하였다.

<표 23> 직무만족도에 따른 노동서비스의 만족도

종속변수 집단 표본

수 평균 표준

편차 표준

오차 F값 양측

검증

통합분산추정량

t값 자유도 양측

검정 노동서비스

만족도

Ⅰ 126 4.3425 .828 .035

1.06 .415 -3.88 1085 .000***

Ⅱ 110 4.1495 .803 .035

주) 집단Ⅰ: 직무만족을 높게 지각한 집단 ***p<.001 집단Ⅱ: 직무만족을 낮게 지각한 집단

<표 2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노동서비스에 대한 만족도에 있어서 요양병원 에 근무하고 있는 노동서비스 종사자 중 직무만족을 높게 지각한 집단(집단Ⅰ) 의 평균값이 4.3425로 나타나 직무만족을 낮게 지각한 집단(집단Ⅱ)보다 유의도 0.001수준에서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직무만족도가 낮은 노동서비스 종사자들 보다 직무만족도가 높은 노동서비스 종사자들이 환자의 노동서비스 만족수준을 높이는데 긍정적인 작용을 한다는 사실을 유추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결과는 본 연구의 <가설 Ⅰ-1>을 지지하고 있다.

조직몰입 수준에 따른 노동서비스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한 <가설 Ⅱ-2>를 검증하기 위한 통계도구의 측정과정과 분석절차는 <가설

Ⅱ-1>과 동일하다.

<표 24> 조직몰입 수준에 따른 노동서비스의 만족도

67) 김병수 외, SPSS를 이용한 통계자료분석, 박영사, 2005, pp. 183-185.

종속변수 집단 표본

수 평균 표준

편차 표준

오차 F값 양측

검증

통합분산추정량 t값 자유도 양측검정 노동서비스

만족도

Ⅰ 126 4.4387 .793 .035

1.05 .577 -7.38 1085 .000***

Ⅱ 110 4.0798 .813 .034

***p<.001 주) 집단Ⅰ: 조직몰입 수준을 높게 지각한 집단

집단Ⅱ: 조직몰입 수준을 낮게 지각한 집단

<표 2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노동서비스에 대한 만족도에 있어서 요양병원 에 근무하고 있는 노동서비스 종사자 중 조직몰입 수준을 높게 지각한 집단(집 단Ⅰ)의 평균값이 4.4387 나타나 조직몰입 수준을 낮게 지각한 집단(집단Ⅱ)의 평균 값 4.0798보다 유의도 0.001수준에서 높게 나타나 조직몰입수준이 높을수 록 노동서비스의 만족수준 또한 높아진다는 것을 유추할 수 있다.

문서에서 -요양병원 돌봄 인력을 중심으로- (페이지 66-71)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