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나. 진로성숙의 개념

새로운 검사 개발의 목적은 첫째, 진로성숙과 관련된 다양한 요인들을 총괄적으로 포함함으로써 다양한 진로지도의 목적에 적합하게 활용할 수 있게 하며, 둘째, 언어능력과 일반적 인지능력과의 상관의 정도가 상대적으로 낮으며, 셋째, 검사의 과정 자체가 진로발달을 촉진시키는 교육적 경험을 제공하는 것임.

이를 위하여 기존의 국내외 진로성숙도 검사 및 진로결정과 관련된 검 사들을 면밀히 검토하였으며, 이에 기초하여 검사의 하위 영역을 결정 하고 학생들의 일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상황으로 구성된 문항을 개 발하고자 하였음.

나. 진로성숙의 개념

진로성숙을 최초로 개념화한 Super3)는 진로성숙이란 탐색기에서 쇠퇴

3 Su per는 그의 진로유형 연구의 결과 인간의 진로발달이 성장기, 탐색기, 확립기, 유지기, 쇠 퇴기의 단계로 구분될 수 있으며 각 단계는 고유한 특징 및 과제를 갖는다고 보았다. 수퍼 의 대부분의 연구는 14세에서 24세에 이르는 탐색기에 관한 것이었으며, 특히 고등학생 및 대학생들이 교육 및 직업과 관련된 선택을 할 수 있는 능력이 성장하는가를 탐구하였다.

기에 이르는 직업발달의 연속선상에서 개인이 도달한 위치 라고 정의하 였으며(Super, 1955, Ohler & Levinson, 1994에서 재인용), 진로성숙이 일어나는 5가지 차원(①진로계획, ②직업탐색, ③의사결정, ④직업세계 에 대한 지식, ⑤선호하는 직업군에 대한 지식)에서의 상대적인 위치가 개인의 진로성숙 정도를 나타낸다고 보았음.

Crites는 Vernon의 지능의 위계구조 모델에 따라서 진로발달의 위계적 요소들을 제시하였으며, 진로성숙이란 진로선택의 과정에 나타나는 인 지적 정의적 특성의 동일 연령층에서의 상대적 위치로서, 보다 일관되 고 확실하며 현실적인 진로선택을 할 수 있는 능력으로 정의하였음 (Crites, 1978).

진로성숙의 문화적 차이를 강조한 Foud (1988)는 진로성숙이란 개인이 자신의 연령 수준에서 주어지는 진로관련 문제들에 대처할 수 있는 준 비도 라 하였음.

한편 Westbrook과 그의 동료들(Westbrook, Sandford, O'Neal, Horne, Fleener & Garren, 1985)은 진로성숙이란 구인은 서로 다른 여러 요소, 특성, 측면들의 총체로서, 이들은 상호 간에 공통점을 갖으며, 적절한 진로 결정을 내리는 과정과 관련성을 갖는다고 전제하고, ①진로결정,

②진로행동, ③진로 중요성, ④자신에 대한 지식, ⑤진로 문제, ⑥직업 가치에 대한 지식, ⑦선호 직업에 대한 지식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 하였음.

진로성숙은 진로발달 혹은 성인의 경우 진로적응이란 용어로 다양하게 일컬어지고 있으나, 공통된 의미는 한 개인이 발달 단계상에서 진로와

이러한 능력을 측정하고 설명하기 위한 구인으로서 그가 제시한 것이 진로성숙(career

관련하여 직면하는 문제들을 해결하고 대처해 나갈 수 있는 준비도라 는 데에 이견이 없는 듯함. 그러나 진로성숙검사의 하위 영역 속에 반 영된 준비 의 하위 요소에 대하여 일관된 합의가 없는 실정임.

베츠(Betz, 1988)는 진로성숙도 검사 및 논의들을 검토한 결과, 가장 심 각한 문제는 진로성숙 개념의 특성 및 정의에 대하여 연구자들간에 의 견일치를 보이고 있지 않은 점이라 하였음. 진로성숙이 인지적인 요소 와 태도의 요소로서 구성된다는 점에 대하여 거의 대부분의 연구자들 이 동의하지만, 이들에 대한 정의 및 상대적인 중요성에 대해서는 의견 차이가 심하다고 함. 또한 Westbrook(1983)도 진로성숙도에 대한 논의 및 검사에 대한 종합적 검토 결과, ①신뢰롭게 측정 가능한 진로성숙변 인의 숫자에 대하여 합의된 바가 없으며, ②진로계획과 진로결정이라는 용어를 제외하고는 검사마다 다른 하위 영역이름을 정하고 있고, ③각 검사마다 인지적, 정의적, 심동적 행동특징들을 측정하는 폭에 차이가 있음을 지적하였음.

이상과 같은 진로성숙에 대한 세부 개념 정의의 다양성은 진로성숙이 란 개념 자체가 순수하게 이론적인 구인이기라기보다는 진로지도 및 상담을 위한 검사개발과 더불어 논의가 진행된 것에 기인함. 검사 개발 자마다 진로교육의 주요한 목표를 다소 다르게 규정함으로서, 다양한 하위요소 규정이 나타났음.

대부분의 진로성숙검사에서 하위 영역을 크게 태도 와 능력 으로 구분 하였음. 그러나 베츠(1988)는 성숙도 검사의 차원을 밝히려는 요인분석 이나 군집분석 결과들을 종합할 때, 인지적 요소, 정의적 요소만이 아 니라 나아가 활발한 진로탐색과 같은 행동적 요소가 포함된다고 보았 음. 김봉환(1997)은 진로준비 행동에 기초한 대학생들의 유형분류에 관 한 연구에서 태도나 능력을 넘어선 준비행동에 주목할 것을 강조한 바 있음. 그러나 베츠와 김봉환이 공통적으로 상정하고 있는 것은 행동적

인 측면은 성숙의 결과이며 성숙 자체가 아니라고 보는 것임.

본 연구에서는 진로성숙이란 청소년들이 자기 주도적으로 진로를 탐색 하고 계획하기 위하여 필요한 정의적 태도 및 인지적 능력과 자신의 결정을 실행하는 정도 로 정의함. 기존의 검사들이 태도 및 능력만을 포함하는 경우와 달리, 자신의 결정을 실행하는 정도가 포함되는 것이 특징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