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2. 국내외 사례조사 48

2.3 기타 사례

가.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학과별 GUIDE’

http://library.snu.ac.kr/ResearchSupport?id=researchguide&fil e=BrowseDepartments&pCategoryID=BROWSE_DEPT&category=

BROWSE_DEP ARTMENTS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에서는 각 대학과 대학원의 학과별로 DDC를 기준으 로 데이터베이스, 저널, 관련사이트, 참고자료정보를 제공하는 ‘학과별 GUIDE’

를 서비스하고 있다.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학과별 GUIDE’의 메뉴구성은 다음과 같다.

메뉴명 제공정보

Subject(DDC) 분류번호에 기초하여 학과에 관련이 있는 링크를 오는 주제에 맞는 자료실의 위치정보를 제공

Reference Works 관내에서 열람이 가능한 참고도서, 기초교육자료, 지정도서의 위치정보와 링 크를 제공

Books 학과에 맞는 단행본의 위치정보와 주요 자료정보를 제공

Database 논문의 서명, 저자, 수록 학술지명 등의 서지정보를 제공하는 색인DB와 본문 을 검색가능

Journals 각 주제분야의 저널들의 정보와 링크를 제공함. 전자저널 및 인쇄저널을 모 두 확인가능

Related Sites 학회정보와 기타 관련기관을 소개 Browse Departments 다른 학과로 연결

<표 2-13>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학과별 GUIDE’의 메뉴구성

<그림 2-16>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학과별 GUIDE’ 웹페이지

나. 이화여자대학교 도서관 ‘주제가이드’

http://lib.ewha.ac.kr/subject/subjectMain

이화여자대학교 도서관에서는 상위 주제와 그 안에서 학과주제별 데이터베 이스, 관련사이트 등 도움이 될만한 관련 정보들을 제공하는 ‘주제가이드’를 서비스하고있다. 여기서 제공하는 ‘Beginning Map’ 서비스는 학생들이 쉽고 편리하게 자료를 찾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도서관에서 소장, 구독하고 있 는 주제 관련 정보원과 인터넷 사이트 등을 함께 안내하고 있다.

이화여자대학교 도서관에서 제공하고 있는 ‘주제가이드’의 활용방법 안내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원하는 주제분야를 선택한다.

둘째, 각 주제가이드에서 안내된 도서관 소장자료, 데이터베이스 검색법을 활용한다.

셋째, 주제가이드에 포함되어 있는 참고자료, 사이트 등을 활용한다.

넷째, 더 궁금한 점이 있으면 담당 사서나 '무엇이든 물어보세요'에 문의한다.

학과별 주제를 선택하면 주제와 관련한 전문사서의 이름과 전화번호연락처 를 확인할 수 있으며 관련사이트, 관련 국내외 데이터베이스, 학위논문 데이터 베이스, 백과사전과 사전, 도서관 분류번호, 학과와 관련한 신간도서정보 등을 제공하고 있다.

<그림 2-17> 이화여자대학교 도서관 ‘주제가이드’ 웹페이지

다. 경북대학교 도서관 ‘LibGuides’

http://libguides.knu.ac.kr/index.php

경북대학교 도서관 주제별 ‘LibGuides’는 각 주제분야 전문사서의 정보와 학 과별 주제가이드를 제공하고 있다. 연구자료의 신속한 이용을 위하여 도서관 소장자료와 관련 정보원 및 유용한 자료들을 모아 제공하여 연구활동을 지원 한다.

학과별 링크 접속 시 새 창으로 다양한 정보들을 볼 수 있는데, DDC에 따 라 학과별 분류번호를 제공하고 가이드 소개와 해당 학기의 강의계획서, 공지 사항, 주제전문사서의 인적사항과 관련사이트를 제공한다. 세부 메뉴구성은 학 과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으며 다음과 같다.

메뉴명 제공정보

Books 신간자료, 도서관서비스, e-Book, 도서관 소장자료검색, 추천신간, 베스트셀

학위논문 국내 석박사 학위논문, 해외 석박사 학위논문, 참고문헌작성법 안내, 논문작 성 및 서지관리도구 제공, 기타전자 리소스

Journal & Article 주요 국내 저널리스트, 전자저널검색, 인용색인 데이터베이스 관련저널, SCIENCE DIRECT 주제별 top 25 articles

Database 국내 학술 데이터베이스, 해외 학술 데이터베이스, 유용한 데이터베이스 useful resource 국내외 관련 연구소 링크와 소개정보, Google Scholor 검색

TUTORIALS 이용가이드, 교육자료, Recorded Training

표절예방 표절이란?, 논문표절예방 프로그램, 정보원 인용법, 표절정보 사이트정보 참고문헌관리도구 참고문헌관리도구 소개, 참고문헌 관리도구

SCI상위 10% 저널검색하기 SCI상위 10% 저널검색하는 방법 소개

<표 2-14> 경북대학교 도서관 ‘LibGuides’의 메뉴구성

<그림 2-18> 경북대학교 도서관 ‘LibGuides’ 홈페이지

라. 연세대학교 학술정보원 ‘Subject Guide’

http://library.yonsei.ac.kr/main/sub.do?menuCode=0202

연세대학교 학술정보원에서 제공하는 ‘Subject Guide’는 연세대학교의 학과 별로 제공하고 있으며 주제별로 주제전문사서가 직접 운영하고 연구를 돕는 다. 학과별 웹페이지에서는 연구가이드와 데이터베이스, 저널 및 잡지, 통계자 료, 특허, 신문, 참고자료, 사이트링크, 교내우수업적저작물을 제공하고 있다.

학과별로 제공하는 정보원과 메뉴의 구성, 페이지 형식은 모두 다르게 나타 나고 있고, 주제전문사서가 연구를 돕기 위하여 연구정보조사서비스 등을 적 극적으로 시행하고 있다.

도서 구입과 자료검색까지 한 명의 주제전문사서가 도맡아 하면서 기존의 대출, 연속간행물 등 분리된 업무로 인한 혼란을 줄이고 해당 주제분야의 전 공지식을 갖춘 사서로 구성되어 전문적이고 깊이 있는 도움을 받을 수 있다.

학과별 주제전문사서의 이름과 메일, 사무실 등에 대한 정보도 추가적으로 제공하고 있다.

<그림 2-19> 연세대학교 학술정보원 Subject Guide 웹페이지

제3 장 정부기능분류체계 (BRM)

1. BRM의 개념 및 목적

2. 기능분류의 원칙 및 분류체계 변경절차 3. 정책정보서비스를 위한 BRM 제안

제3 장

정부기능분류체계(BRM)

1. BRM의 개념 및 목적

1.1 BRM의 개념

BRM(Business Reference Model)은 EA(Enterprise Architecture) 참조모델 중의 하나이다. EA는 실제 조직을 구성하는 조직의 업무와 정보시스템을 가 시화하여 조직 자원을 전사적인 범위에서 식별이 용이하게 표현하고, 조직 전 체에 영향을 주는 원칙, 지침, 업무, 기술 등을 표준화하며, 조직을 구성하는 업무와 정보시스템을 조직 구성원의 역할에 맞게 정의하고 정형화(체계화)함 으로써 효율적인 정보화 추진을 지원한다(신신애 2005).

EA에서 표준화를 위한 표준 또는 기술에 해당하는 대표적인 개념은 참조모 델(RM: Reference Model)이다. 정보시스템의 효율적 도입 및 운영 등에 관한 법률에 의하면 참조모델이란 “정보기술아키텍처의 일관성, 재사용성, 상호운용 성 등을 확보하기 위하여 정보기술아키텍처의 구성에 필요한 정보화 구성요소 의 표준화된 분류체계와 형식을 정의한 것”이다. 참조모델은 5개의 참조모델, 즉 성과참조모델(PRM: Performance RM), 업무참조모델(BRM: Business RM),

서비스(응용) 참조모델(SRM: Service RM), 데이터참조모델(DRM: Data RM), 기술참조모델(TRM: Technical RM)로 구성되며, 2005년과 2006년에 걸쳐 각 각의 안이 제시되었다(정보통신부 2006).

5개의 참조모델 중 ‘BRM이란 업무 아키텍처의 기준이 되며, 아키텍처 대상 기관의 사업 또는 업무 등을 전체적으로 분류하고 정의하는 것’이라 할 수 있 다(신신애 2005). 정부 BRM은 입법부와 사법부, 중앙행정기관 소속 기관 및 지방자치단체를 제외한 중앙부처를 대상으로 업무를 기능별로 3레벨로 분류하 여 레벨별 분류, 부처별 분류의 두 가지 안이 제시되었다(양순애 2007).

2008년에는 정부기능분류시스템 운영지침이 제정되어 배포되었는데, 이 지침 은 중앙행정기관의 기능분류체계 운영 및 지속적인 변화관리 절차에 관한 사 항을 규정함으로써 업무와 정보관리를 위한 정부기능분류체계의 표준을 제시 하며, 정부기능분류시스템의 기준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상시적인 변화관리 기반 을 구축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행정안전부 2008).

1.2 BRM의 목적 및 적용범위

BRM은 정부기능을 범정부적으로 연계하여 정부업무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 한 목적으로 기존의 단절적이고 수직적인 부처 중심의 정부기능 수행 및 관리 체계를 효율적으로 개선하기 위하여 도입되었다(설문원 2013). 기능분류체계 운영의 기본적인 목적은 첫째, 정보공유를 통한 전 부처 간 수평적 협력체계 기반 마련, 둘째, 행정업무수행의 연속성 확보 기반 마련, 셋째, 지속적인 업무 처리 효율화 기반 마련, 넷째, 효율적인 관리과제 추진을 위한 기반 마련 등이 다. 이를 통해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업무 및 수행과정의 효율성을 파악하고 이음새 없는 대국민서비스 기반을 마련하여, 유관정보의 효과적인 활용을 통 해 업무기능에 따른 다각적 정보제공 등이 될 수 있다(행정안전부 2008).

BRM의 적용범위는 중앙행정기관(대통령직속기관, 국무총리직속기관 및 합 의제 행정기관을 포함한다) 및 그 소속기관(이하 “행정기관”이라 한다)이며, 업무의 기능분류 및 관리에 관하여는 다른 법령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 지침이 정하는 바에 의한다고 되어 있다(행정안전부 2008).

2. 기능분류의 원칙 및 분류체계 변경절차

2.1 기능분류의 원칙

기능분류의 대상이 되는 행정업무의 기능은 기능별ㆍ목적별로 구분되는데, 기능별 분류체계는 정부가 상시적으로 수행하는 업무를 기능수준에 따라 정책 분야ㆍ정책영역․대기능․중기능․소기능․단위과제로 분류한다.

또한 목적별 분류체계는 대통령연두업무보고에서의 각 기관별 과제에 따른 업무관리를 위한 분류체계이며, 이는 행정기관이 정책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정책수준에 따라 비젼ㆍ정책목표ㆍ이행과제ㆍ관리과제로 분류된다.

다음은 기능별 및 목적별 기능분류와 관련된 단위 과제와의 연계도를 그림 으로 표현한 것이다.

<그림 3-1> 기능분류체계도

이 중 정책분야는 대국민서비스와 행정기관 내 활동을 분류한 것이며, 예산 배분 형평성, 정부조직 설치현황, 국가간 행정서비스의 통계자료 비교를 위한 국제기준 등을 고려하여 선정한다. 정책영역은 정책분야 내 조직의 기능을 구

이 중 정책분야는 대국민서비스와 행정기관 내 활동을 분류한 것이며, 예산 배분 형평성, 정부조직 설치현황, 국가간 행정서비스의 통계자료 비교를 위한 국제기준 등을 고려하여 선정한다. 정책영역은 정책분야 내 조직의 기능을 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