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한국 기업의 경협확대와 대응방안

▶ 인프라 플랜트 건설 현지 기업과의 네트워크 구축 및 파트너 발굴 ( ・ , )

13) - 대규모 프로젝트 수주 위한 정부 및 기관 관계자 간 네트워크 연결

∙ 한 이란 정부 간 정례적 건설부문 경협 채널 구축 노력과 병행・

∙ 기존 및 신규 거래선 발굴 노력

▶ (석유화학 이란 정부의 육성산업으로 산업규모 확대 예상 이란 석유정제기술 설비 인프 ) . ・ ・ 라 부족 및 노후화로 수입의존도가 높음.

- 이란의 민영화 유망분야인 석유화학 원유 및 가스 제외 부문에서 이란 유력기업과( ) 전략적 제휴 추진

∙ 이란 정부는 경제개발 자금 확보 위해 석유화학 주요 공기업 민영화 추진

- 대이란 석유화학 제품 수출 확대를 위해 유럽 경쟁기업보다 제품품질 및 신뢰성을 높일 필요

▶ 자동차 및 자동차부품 이란 현지 기업과의 기술이전 합작투자도 적극 활용하여 현지 ( ) , 투자 확대하는 한편 시장동향과 현지 상관행 숙지 주요사항의 계약서 명시 현지법규 , , , , 시장현황 모니터링 필요

- 한국산 자동차 가격경쟁력 및 품질경쟁력을 기반으로 현지시장 점유율 높고 프리미엄 존재 이란은 중동 최대 자동차 생산국으로 자동차 부품 수요 확대 전망.

∙ 이란 테헤란시에서 현대기아자동차와 중국산 차량의 경쟁 가열화 특히 타 지역에서 가격경. 쟁력을 기반으로 중국산 저가 자동차 보유율 증가 예상

- 단기적으로 중산 저소득층 대상 모델을 다양화하여 현지시장 공략・

- 중장기적으로는 북경현대차의 중국시장 진출 사례를 벤치마킹하여 이란현지법인을 설립하고 이란을 비롯한 사우디아라비아 이집트 등 중동지역 현지판매 교두보로, , 발전시킴

∙ 이란은 중동 최대의 자동차 생산능력 보유국으로 한국 자동차 산업의 중동지역을 대상으로 한 글로벌 생산분업네트워크를 확장할 수 있는 전략적 요충지임

▶ 가전 휴대폰 가전 휴대폰 등 고부가가치 최종재 상품 수요 선점을 위해 품질 차별화 ( ・ ) , , 가격 경쟁력 제고 선제적 마케팅 및 철저한 사후관리 필요 ,

- 프리미엄 브랜드 이미지 제고 위한 홍보 적극 추진 및 현지 에이전트 계약 활용 이란. 소비층을 소득수준별로 구분하고 제품가격 차별화 추구

13) KOTRA 외(2015), “중앙아시아 이란 진출 설명회・ ”, 2015.11.1. 참조

한국 기업의 경협확대와 대응방안 .

45

- 이란 경제제재기간 동안 한국제품의 시장점유율 위 유지1

∙ 이란 구매력 감소로 수입가전 소비 감소

∙ 경제제재 해제 이후 중국산 저가 백색가전 제품 수요증가 예상14)

- 중국 휴대폰의 현지 시장경쟁력 약진에 대비하여 한국 휴대폰 브랜드 이미지 활용 및 제고 위한 마케팅 추진

∙ 이란 인구 절반 이상이 인터넷 모바일기기 수요자 한국 휴대폰의 높은 시장점유율 이란에. 서도 유지

▶ 문화콘텐츠 방송 게임 분야의 콘텐츠 수출에 집중 중장기적으로 한국산 최종 소비재 ( ) ・ , 와 연계하여 문화콘텐츠 수출 확대

- 한류 콘텐츠 진출 확대를 위해 현지 문화 사회 정치적 환경을 고려한 특화전략 필요・ ・ - 방송 애니메이션 음악 등 이란 내 유통기반과 수익모델 설정할 필요, ,

∙ 방송분야 정치사회적 기준의 검열 심의가 엄격하고 교육기능에 국한된 애니메이션이 주를 이루는 상태

∙ 반면 게임분야 온라인 게임 수요 증진으로 진출가능성이 확대되고 있음

14) KOTRA 글로벌 윈도우, “[이란지원센터소식 이란 특수 순풍에 돛 달려면] , ”, 2016.02.01.

참 고 문 헌

국내문헌

[ ]

김종호 김유신 한경묵 이재우 하병기 조진환, , , , , (2011),『해외투자의 수출입유발효과 분석 및 정책 시사점에 관한 연구 한국수출입은행』, .

문화체육관광부 한국콘텐츠진흥원・ (2016), 2015『 콘텐츠산업 통계조사』, 문화체육관광부, 2016.1.

물산업팀(2016.1.11.), [해외동향] “이란 식수의 미래”, 환경부 물산업통계정보시스템 http://www.wabis.or.kr/foreign_act/14679

오경일(2015), 『이란 핵협상 포괄적 합의 향후 전망과 시사점 해외경제연구소 한국수출입: 』, , 은행, 2015.5.7.

외교부(2016), “이란에 대한 국제사회의 경제제재가 해제되어 앞으로 이란과의 무역 및 투자가 자유로워져 보도자료”, 2016.1.17.

이권형 박재은 박현도・ ・ (2012), 『이란의 정치 권력구조와 주요 정파별 경제정책 전략지역심・ 』, 층연구 12-17,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이권형 손성현 박재은・ ・ (2014),『중동지역 산업 및 금융환경의 변화와 한 중동 금융협력 방안・ 』, 연구보고서 14-24,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이종석 김종욱・ (2013)『창조경제와 물 산업』, ISSUE PARER 2013-07,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정영규(2011), “이란의 경제환경과 한국 이란경제협력 확대방안 한국중동학회논총- ”, 32권2 ,호 pp.81-103.

최남석(2013), “법률서비스 시장개방과 규제개혁의 경제적 효과 분석 규제연구”, 22권 호1 , pp.95-129.

최필수 임민경 박재은, , (2013),『국제사회의 대이란 경제제재 이후 중 이란 관계동향 및 시사점・ 』, 전략지역심층연구 13-17,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이란 투자 실무 가이드 자료

KOTRA(2016), 『 Iran 』, KOTRA 16-006.

외 중앙아시아 이란 진출 설명회

KOTRA (2015), “ ・ ”, 2015.11.10.

한국무역협회 외(2015), “국제사회의 대이란 제재동향 설명회”, 2015.12.02.

한국콘텐츠진흥원(2016), 글로벌 마켓 리포트 마켓 인사이츠 이란 시장개방에 따른 국내< > [ 콘텐츠산업 진출방안 한국콘텐츠진흥원], , 2016.4.19

홍정화 이지영・ (2015) 『빗장 풀리는 중동의 제조국 이란을 선점하라, 』, Trade Focus 14(20), 국제무역연구원, 2015.6.22.

참고문헌

47

홍정화 이지영・ (2015),『이란 핵협상 극적 타결 거대 이란시장 열린다, 』, Trade Brief 39,국제 무역연구원, 2015.7.15.

허인 한바란 윤서영, , (2012),『국제사회의 이란 경제제재 의미와 영향』, KIEP오늘의 세계경제 2012.7.4.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