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2 . 기술・전문 인력수요의 증가

산업별 인력구조의 고도화

농림어업의 취업자수는 지속적으로 감소되고 제조업은 취업자수는 늘어 나지만 전체취업자중에서의 구성비는 감소되어 나갈 것으로 전망 (1999 년 22.6%, 2010년 21.3%)

- 서비스부문의 고용비중은 1997년 67.6%에서, 2003년 71.0%, 2010년 73.7%로 증가추세가 지속됨. 특히 금융부문, 전기가스부문, 기타 서비 스부문의 고용증가가 커서 산업구조의 고도화, 소프트화를 이끌 전망

< 표 Ⅱ- 5> 산업별 취업자수 전망

(단위: 천명, %) 연도

산업 1997 1999 2003 2010

연평균 증가율

1997- 2003 2003- 2010 농림어업 2,324 2,126 1,684 1,201 - 5.2 - 4.7

광공업 4,501 4,257 5,065 5,299 2.0 0.6

광 업 27 25 22 17 - 3.0 - 3.4

제조업 4,474 4,232 5,043 5,282 2.0 0.7

S OC 및 기타 14,223 13,971 15,732 18,255 1.7 2.1

전기가스 76 80 103 149 5.1 5.4

건설업 2,004 1,909 1,937 1,777 - 0.6 - 1.2 도소매 5,798 5,407 5,546 6,408 - 0.7 2.1 운수창고 1,165 1,141 1,306 1,319 1.9 0.1 금융보험 1,908 1,844 2,410 3,434 4.0 5.2 기타서비스업 3,272 3,590 4,430 5,168 5.2 2.2 21,047 23,044 22,485 24,758 1.1 1.4 한국직업능력개발원(1998). 산업인력 수급 전망과 과제.

관리・전문직 인력수요의 증가

기술・지식집약 산업화로 전문기술직・행정관리직 인력은 큰 폭으로 늘어날 것임. 한편, 경제의 소트화가 진전됨에 따라 서비스직, 사무 관 련직과 판매직의 취업자수는 견실한 증가추세 지속

농림어업직은 지속적으로 줄어들고 생산직 취업자는 소폭으로 늘어 나지만 취업자수 비중은 줄어들 전망

< 표 Ⅱ- 6> 직업별 취업자수 증가율 전망

(단위: 천명, %)

구 분 연평균증가율

1997- 2003 2003- 2010 입법공무원, 고위임직원 및 관리자 4.5 2.9

전문가 8.9 3.4

기술공 및 준전문가 4.2 1.0

사무직원 1.6 2.7

서비스근로자 및 상점과 시장판매근로자 0.9 2.5 농업 및 어업숙련 근로자 - 5.7 - 6.5

기능원 및 관련 기능근로자 0.6 1.8

장치, 기계조작원 및 조립원 0.4 0.3

단순노무직 근로자 - 0.4 0.1

계 1.1 1.4

자료: 한국직업능력개발원(1998). 산업인력 수급 전망과 과제.

지식기반산업을 중심으로 한 고용창출

지식 및 기술집약 산업화가 진전되면서 지식기반산업을 중심으로 고용

※ 지식기반산업에는 지식기반1차산업(첨단작물, 영림 등), 지식기반제 조업(정밀화학, 메카트로닉스, 전자・정보통신기기, 정밀기기, 신소 재, 우주・항공 등), 지식기반서비스업(정보통신서비스, 소프트웨어, 연구개발 및 엔지니어링, 교육서비스, 문화산업 등)이 포함

지식기반제조업에서 향후 5년간 약 24만명의 고용창출 예상

- 환경, 정밀화학, 의약산업에서 고용창출이 클 것으로 기대되며, 디지털 가전, 신소재, 통신기기, 메카트로닉스산업 등에서도 신규 인력수요가 상당할 것으로 전망(표Ⅱ- 7)

지식기반서비스산업에서는 향후 5년간 약 50만명의 고용창출이 예상됨.

- 분야별로 보면 향후 5년간 지식서비스산업에서 25만명, 제조업지원서 비스에서 7만명, 정보서비스부문에서 14만명 정도의 고용 창출 예상 - 소프트웨어를 비롯하여 관광, 교육서비스, 의료서비스, 엔지니어링, 디

자인, 영상・음반 등의 부문에서 고용 증대가 클 것으로 전망됨 (표Ⅱ - 8)

< 표 Ⅱ- 7> 지식기반제조업의 고용창출전망

(단위: 천명) 1999 2000 2001 2002 2003 99~2003

기계

< 표 II- 8> 지식기반서비스산업의 고용창출전망

(단위 : 천명) 1999 2000 2001 2002 2003 99~2003

지식

- 영화, 에니메이션, 출판, 게임과 비디오 등의 문화산업부문 인력수요 도 향후 5년간 20%이상 급격히 늘어날 전망(문화관광부).

문화산업은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향후의 유망산업임. 고급전문 인력을 양성하는 교육인프라 구축 필요

- 신산업부분인 관광부문의 인력도 1999년 2,091천명에서 2003년 2,700 천명으로 늘어날 전망(한국관광연구원)

- 건설인력수요는 최근 경기후퇴로 크게 줄어들어 당분간 건설부문에 서 인력부족의 문제는 없을 것이나 건설인력의 기술・기능수준을 제 고하기 위한 노력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함(건설교통부).

- 교통부문 인력수요는 1999년 812천명에서 2003년 886천명으로 연평 균 2.2%가 늘어날 전망(건설교통부)

항공종사자 등 일부 전문인력의 공급을 증진시키기 위한 대책 필요 - 해양과학 기술산업인력에 대한 수요는 유엔해양법협약발표 등에 따 른 EEZ 관리 등으로 급격히 증가하여 1997년 1,327명에서 2001년 1,795명에 이를 것으로 전망(해양수산부).

- 농업부문은 절대적인 취업자수가 감소할 것이나 격화하는 국제경쟁 에 대처하여 농업생산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인적자원의 질을 높여야 할 필요성은 증대(농림부)

전문지식과 창의력을 갖춘 전문인력이 농업부문의 핵심인력화 하 여야 함

- 실업률은 높지만 중소제조업은 일부 생산직인력의 구인난을 겪고 있 음. 경기가 회복되면 기능인력 부족 현상이 확산될 우려가 큼.

근로조건이 열악한 일부 중소 제조업의 구인난은 산업구조의 고 도화에 따른 불가피한 귀결이지만, 인문위주의 고학력 추구가 기 능인력의 부족현상을 더욱 심화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음.

- 고학력 과학기술인력의 공급이 수요를 초과하고 있음. 매년 1,000명 이상의 이공계 박사급 인력이 취업난을 겪을 것으로 전망(과학기술부)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