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 과학기술적 기대효과

○국가 예산으로 지불된 휘발성 해외 연구정보를 국가 부존자원화 - 다양한 형식과 경로로 유통되는 해외 학술 전자정보를 주요

국가 지식자원으로서 통합 관리

- 해외 과학기술 정보를 물리적으로 국내에 확보하여 글로벌 서비스와 유연한 네트워킹이 가능한 한국적 모델 구축 가능 -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기술 및 경험을 국내 과학기술

정보자원, 디지털 문화유산의 아카이브 구축에 활용ㆍ확산

○해외 연구정보 보존 관련 기술 확보를 통한 기술적 자립 효과 - 현재 유통되는 전자정보가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표준화된 기술 적용

- 국내 전자자원 아카이빙 기관에 대한 표준화된 기술 제시 및 확산

○디지털 해외 연구정보에 기반한 이종 콘텐트 연계/융합 서비스 - 해외 연구정보의 디지털 아카이빙을 통하여 국립중앙도서관,

국가기록원, 한국영상자료원 등 국내 전자자원 아카이빙 기관과의 연계ㆍ활용 추진

- 다양한 유형의 과학기술 정보자원과의 연계를 통해 새로운 니즈에 근거한 융합 서비스 개발 가능(특허-문헌,

연구성과-인력-문헌 등)

□ 경제사회적 기대효과

○국가 차원의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으로 인한 비용 절감 - 국가차원의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시 5년간 약 128억 원의

예산 필요

- 개별 아카이브 구축시 기관별 초기 구축비용은 약 4.8억 원, 향후 연간 운영비용은 0.9억 원씩 소요될 것으로 예측됨(5년간 기관당 약 9.3억원 소요)

- KESLI에 참가 중인 368개 모든 기관이 아카이브를

구축한다고 가정할 경우초기년도 구축비용으로 1,766억 원 정도가 소요될 것이며, 향후 연간 운영비용이 324억

원이라는 천문학적인 예산 투입을 필요로 하게 됨(5년간 전체 368개 기관, 3,386억 원 소요)

- 이는 국가 차원에서 디지털 아카이브를 구축하고 5년간 운영하는 비용(128억 원)의 26배에 해당하는 금액이며, 반대로 국가 디지털 아카이브는 368개 기관에 소요되는 비용의 3.7% 밖에 소요되지 않음

○KESLI 참가 기관들의 디지털 아카이빙 요구 해결 - 라이선스 계약 종료 후 지속적인 이용을 위한 추가

비용(Ongoing Access Fee) 부담 해소

- KESLI 참가 기관들의 개별적인 아카이브 구축 비용 부담 해소 및 중복 아카이빙 방지

- 연간 수백억 원을 들여 라이선싱한 전자정보의 안정적 이용성 확보

○국가차원의 아카이브 센터로 대다수의 연구자들에게 혜택 부여 - 개별 아카이브 구축의 경우 해당 기관의 내부 이용자들만을 대상으로 서비스 범위가 한정되므로 그 이용에 한계가 있음 - 국가 차원에서 하나의 디지털 아카이브를 구축하는 것은

R&D 활동을 수행하는 거의 모든 연구자 및 그룹들이 이용할 수 있으므로 비용 대비 효과 측면에서 매우 뛰어나다 할 수 있음

- 즉, 국가차원의 디지털 아카이브 하나를 구축하는 것이 개별 기관의 아카이브를 수백 곳에 구축하는 것보다 훨씬 적은 비용으로 대상 이용자들의 범위는 상대적으로 더욱

늘어나는 효과를 거둘 수 있음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에 의한 경제적 전자원문 서비스 제공 - 기관 이용자 : 계약 만료 이후 지속적 이용을 위한 비용 없음

- 개인 이용자 : 저렴한 Pay per View(PPV) 가능

○해외 과학기술정보 소외계층에 대한 정보격차 해소 - 라이선스를 보유하지 못한 중소기업, 개인병원 및

개인연구자 등에 대한 서비스 제공

- 국내 연구자에게 친화적인 인터페이스 및 통합 원문 서비스 제공을 통해 해외 연구정보에 대한 접근성 제고

제 Ⅱ장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