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국내 기업의 탄소효율성 관련 변화

제3장 국내 기업의 탄소효율성 현황 23 업종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광업 777 741 777 399 387 393 362 368

음식료품 1873 1482 1480 753 771 745 827 711

섬유 2449 2297 1428 558 535 837 793 739

목재 1272 1288 1250 1195 1246 1140 814 1071 제지 1600 1819 1729 1287 1283 1496 1493 1502 정유 88078 76442 89787 82009 101487 84813 80216 77118 석유화학 2485 2076 1803 1126 1510 1523 1457 1409

비금속 1331 951 920 720 719 673 647 637

1차 금속 1934 1801 1732 730 668 636 647 633

전자 1807 1709 1609 818 794 809 852 893

기계 863 736 776 546 492 496 492 473

자동차 1646 947 624 564 586 598 566 511

조선 3296 3013 2728 1672 1948 1235 778 394 전기발전 12122 10791 9247 5658 13507 15869 15668 21206 수도 및 폐기물 1480 1329 835 586 517 545 595 576

건설 1063 835 765 624 597 648 710 662

운수 2949 2528 2430 1149 1147 925 613 482

통신 7943 3537 5494 594 698 604 811 937

산업 - - 1495 1003 1057 544 1020 743

산업 단지 9337 11441 11566 7992 8165 8201 8000 8285

<표 3-4> 산업업종별 에너지소비량 중위 기업의 연간 에너지소비량 (단위: TJ)

주: 1) 업종 명칭은 온실가스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업종명을 기준으로 설정 2) 데이터 출처: NGMS의 2011~18년도 명세서배출량통계 (https://ngms.gir.go.kr)

대부분의 업종에서 연간 에너지소비량이 감소하는 추세가 발견되었으며, 2015년을 기점으로 에너지소비량 수준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업종이 많았다. 예를 들어, 전자 업종의 경우 2011년 연간 1,800TJ 정도를 이용 하였으나, 2018년에는 900TJ 이내의 소비량을 보이고 있다.

다만 정유업종의 경우 2015~2016년까지 상승하다 최근에 급증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전기발전업종의 경우 2014년 이후 지속적으로 에너지 소비량이 상승하는 추세를 보였다.

에너지소비량을 기준으로 볼 때, 정유의 소비량이 8만TJ 수준으로 다른 업종에 비해 압도적으로 높았다. 또한 정유업종의 에너지소비량은 다른 업종과는 달리 2015~2016년까지 상승하는 추세였으나 최근에 급격하게 감소하는 모습을 보였다.

독특한 패턴을 보였던 전기발전업을 보다 자세히 살펴본 결과는 다음 [그림 3-2]와 같다. 전기발전업의 경우 총 7개 기업이 본 연구의 분석대상으로 선정되었다. 이 중 한국전력공사(F182), 한국지역난방공사 (F285)의 에너지소비량이 급증하는 모습이 발견되었다.

200 400 600 800 1,000 1,200 1,400

11 12 13 14 15 16 17 18

F81

5,000 5,500 6,000 6,500 7,000

11 12 13 14 15 16 17 18

F182

370 380 390 400 410 420

11 12 13 14 15 16 17 18

F192

500 510 520

F221

13,000 14,000 15,000

F240

100,000 110,000 120,000

F285 ENG

[그림 3-2] 전기발전업 중위기업의 에너지소비패턴 변화(2011~2018) (단위: TJ)

제3장 국내 기업의 탄소효율성 현황 25

나. 업종별 연간 CO

2

배출량

다음으로 업종별 연간 CO

2

배출량을 비교하였다. 대부분의 산업이 에너지 소비량과 유사하게 CO

2

배출량이 감소하는 추세가 나타났다.

다만, 에너지소비량은 감소하지만 CO

2

배출량은 증가하는 업종이 일부 존재하였다. 광업(1), 정유(6), 전기발전(14) 등의 업종에서 최근에 탄소 배출량이 증가하는 모습이 나타났다.

110,000 120,000 130,000 140,000 150,000

1 2 3 4 5 6 7 8

C1

20,000 40,000 60,000 80,000 100,000 120,000

1 2 3 4 5 6 7 8

C2

20,000 40,000 60,000 80,000 100,000 120,000 140,000

1 2 3 4 5 6 7 8

C3

30,000 35,000 40,000 45,000 50,000 55,000

1 2 3 4 5 6 7 8

C4

105,000 110,000 115,000 120,000 125,000 130,000

1 2 3 4 5 6 7 8

C5

7,100,000 7,200,000 7,300,000 7,400,000 7,500,000 7,600,000 7,700,000

1 2 3 4 5 6 7 8

C6

80,000 100,000 120,000 140,000 160,000 180,000

1 2 3 4 5 6 7 8

C7

40,000 60,000 80,000 100,000 120,000

1 2 3 4 5 6 7 8

C8

20,000 40,000 60,000 80,000 100,000 120,000

1 2 3 4 5 6 7 8

C9

40,000 60,000 80,000 100,000 120,000 140,000

1 2 3 4 5 6 7 8

C10

20,000 30,000 40,000 50,000 60,000

1 2 3 4 5 6 7 8

C11

20,000 40,000 60,000 80,000 100,000

1 2 3 4 5 6 7 8

C12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1 2 3 4 5 6 7 8

C13

200,000 400,000 600,000 800,000 1,000,000 1,200,000

1 2 3 4 5 6 7 8

C14

120,000 140,000 160,000 180,000 200,000 220,000 240,000

1 2 3 4 5 6 7 8

C15

20,000 30,000 40,000 50,000 60,000 70,000

1 2 3 4 5 6 7 8

C16

0 40,000 80,000 120,000 160,000 200,000

1 2 3 4 5 6 7 8

C17

0 100,000 200,000 300,000 400,000 500,000

1 2 3 4 5 6 7 8

C18

20,000 40,000 60,000 80,000 100,000

1 2 3 4 5 6 7 8

C19

700,000 800,000 900,000 1,000,000

1 2 3 4 5 6 7 8

C20

[그림 3-3] 산업업종별 CO

2

배출 중위 기업의 평균 연간 CO

2

배출량 (단위: tCO

2

)

주: 데이터 출처: NGMS의 2011~18년도 명세서배출량통계 (https://ngms.gir.go.kr)

세부 지표를 통해 업종별 CO

2

배출량을 관찰한 결과는 다음 <표 3-5>와 같다. 대부분의 산업 업종에서 연간 CO

2

배출량이 감소하는 추 세임을 확인할 수 있다.

업종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광업 128902 118677 117059 149100 141536 133817 140407 146692 음식료품 101204 75246 74805 34546 38707 38319 40250 35277

섬유 125153 115398 70852 30555 28778 36833 40690 36777 목재 48733 46575 45350 36838 34512 34216 31335 53899 제지 117519 127021 122671 108077 106812 111944 110500 112956 정유 7434220 7259968 7165855 7438789 7396169 7641045 7530132 7408913 석유화학 175449 143969 124095 96961 88741 102993 88320 99396

비금속 116825 84513 83668 62600 56901 72487 67717 56591 1차 금속 107621 100702 99000 37886 33571 32730 35353 33479 전자 120184 87404 78570 41241 43946 42601 43546 43794 기계 52024 38504 38930 27000 26165 25144 23935 23980 자동차 91916 52526 31104 28669 29026 29557 27776 25408 조선 198231 170961 155429 94879 109016 69114 43057 22238 전기발전 1034433 650968 466865 290600 878738 983277 912111 1099117 수도 및 폐기물 221425 199251 148261 132993 134465 133925 132481 125732

건설 64889 41006 37587 31541 29862 30643 34937 32776

<표 3-5> 산업업종별 CO

2

배출 중위 기업의 평균 연간 CO

2

배출량 (단위: tCO

2

)

제3장 국내 기업의 탄소효율성 현황 27

다. 배출권거래제 시행 전후의 변화

배출권거래제가 시행된 이후 탄소배출량이 어떻게 변하였는지를 관 찰하기 위해 전체 기업을 대상으로 패널분석을 진행하였다. 탄소배출 량의 경우 지속성을 갖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동태패널모형을 이용하 였으며, 배출권거래제 시행 여부는 배출권거래제가 시행된 2015년 이 후 1의 값을 갖는 가변수로 이용하였다. 또한, 2차 계획기간의 특수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2018년 이후 1의 값을 갖는 가변수를 추가로 반영하였다. 이를 통해 1차 혹은 2차 배출권거래제 계획기간이 기업의 탄소배출량을 유의적으로 감소시키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활용한 회귀식은 다음과 같다.

ln 

     

 



 



  

   

 

ln 

   

  

ln 

   

 

 

(1)

ln 

     

 



 



  

   

 

ln  

 

  

ln 

   

 

ln 

   

 

 

(2)

여기서, 

는 i기업의 t시점 CO

2

배출량, 



는 15년 이후 1의 값을 갖는 가변수, 



는 18년 이후 1의 값을 갖는 가변수, 

 

는 i기업이 상장된 시장 종류 관련 가변수(0: 미상장, 1: KOSPI, 2: KOSDAQ),



는 i기업이 소속된 산업업종의 실질 부가가치, 는 i기업 의 t시점 에너지소비량이다.

본 연구에서는 i기업의 CO

2

배출량이 해당 업종의 호황 및 불황 등 과 무관하고 상장된 시장의 성과와는 관계없이 배출권거래제 전후로 바뀌었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특히 해당 업종의 실질 부가가치는 제곱항을 추가하여 비선형적인 관계가 존재하는지를 검토하였다.

식(1)과 식(2)의 차이는 기업별 에너지소비량을 포함 여부에 따라 다 르다. CO

2

배출량과 에너지소비량의 상관계수가 0.95로 매우 높으며, 실제로 기업별 CO

2

배출량을 산정할 때 에너지소비량을 바탕으로 계 산하기 때문에 강건성 확인을 위해 에너지소비량을 제외한 수식과 포 함한 수식을 구성하여 비교하였다.

설명변수 고정효과모형

식(1) 식(2)

상수항 20.661*** 32.904***

  -0.300*** 0.012

  -0.026 -0.004

 0.748*** -0.042***

 -0.487*** -0.137***



0.981***



 -1.505*** -5.254***

<표 3-6> 배출권거래제 시행 여부에 따른 탄소배출량 변화

제3장 국내 기업의 탄소효율성 현황 29

추정 결과, 에너지소비량을 포함하지 않은 식(1)에서 배출권거래제 시행 가변수가 음의 값으로 통계적 유의성을 확보했다. 배출권거래제 시행에 따라 참여기업을 중심으로 탄소배출량의 감소가 나타났음을 확 인할 수 있다. 다만 2차 배출권거래제도 기간 동안의 유의적인 온실가 스 감축은 나타나지 않았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