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가 국가별 및 연도별 특허 출원동향가 국가별 및 연도별 특허 출원동향

문서에서 나노-바이오 융합기술 (페이지 49-52)

3.

3.

3.

가 국가별 및 연도별 특허 출원동향 가 국가별 및 연도별 특허 출원동향 가 국가별 및 연도별 특허 출원동향 가 국가별 및 연도별 특허 출원동향 ....

국가별 특허 출원동향 국가별 특허 출원동향국가별 특허 출원동향 국가별 특허 출원동향 (1)

(1) (1) (1)

그림 에는 융합소재의 특허 분석을 위하여 표 의 기술

< 3-2> NBT < 3-2>

분류에 따라 추출 분석된 관련 특허들이 출원된 특허청 별로 구분하여 표시, 하였다 분석 대상특허는 총. 1,384건으로 이중 미국 특허청에 출원되어 등 록된 특허가 총 540건으로 39%를 차지하고 있으며 다음으로 일본 특허청, 이 34%, 473 ,건 유럽 특허청에 198건이 출원되어 약 14%를 차지하고 있 다 한국 특허청에는. 173건의 특허가 출원되어 전체의 13%를 차지하고 있 다.

그림 융합소재의 국가별 특허 점유율

< 3-2> NBT

융합소재의 분석대상으로 추출된 총 특허의 수는 건으로

NBT 1,384 NIT

융합소재와 관련된 특허의 수와 비교해 상대적으로 매우 적은 수이다. NIT 융합소재의 경우 반도체와 관련된 한국 공개특허의 경우 1,997건으로 NBT 융합소재 전체 분석대상 특허의 수보다도 많았으며 디스플레이와 관련된 일, 본 공개특허의 경우 1,490건으로 NBT 융합소재 전체 분석대상 특허의 수와 유사한 정도이다 이와 같이. NBT 융합소재와 NIT 융합소재간의 특허 수에 있어 큰 편차가 존재하는 이유는 NIT 융합소재의 경우 NBT 융합소재보다 이미 산업화에 이용되고 있는 정도가 매우 높았으며 산업 자체의 영향력에, 서도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IT 산업의 대표 주자라고 할 수 있는 반도체 혹은 디스플레이 산업의 경우 나노 소재의 사용이 이미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차세대 제품을 위한 나노 소재의 개발과 특허 출원이 계속되고 있, 다 반면. , BT 산업의 경우 IT와 비교해서 상대적인 산업의 영향력이나 크기 에서도 뒤지고 있으며 나노 소재의 사용 및 개발도 상대적으로 등한시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융합소재에서 미국에 등록된 특허가 전체의 로 가장 많은 점유

NBT 39%

율을 보이는 것은 놀라운 일은 아니다 미국 시장의 경제적 규모 산업적 및. , 기술적 발전 상태 등 다양한 면에서 미국에 특허권을 설정하는 것은 산업화 를 위하여 절대적으로 요구되는 필수 조건이라 할 수 있다 미국의 높은 특. 허 점유율 보다 더욱 놀라운 일은 일본의 공개특허가 전체의 34%나 차지하 고 있다는 점이다.

일본의 나노기술이 세계적인 수준이며 특허 출원 역시 매우 활발하게 이, 루어지고 있다는 점은 이미 공지의 사실이다 예를 들어 탄소나노튜브와 관. , 련된 특허 분석에서 일본에서 공개된 특허가 전체 분석 대상 특허의 33%를

차지하고 있어 미국에서 등록된 특허가 점유하고 있는 38%에 매우 근접해 있다는 것이 밝혀진 바 있다.4) 그러나 바이오 기술과 관련된 특허 분석에서 는 일본이 높은 특허 점유율을 보여준 예는 매우 찾아보기 어려웠다 최근. 바이오산업에서 많은 주목을 받고 있는 약물 전달 시스템 과 관련된 특허분‘ ’ 석에서 일본은 전체 특허의 26.7%의 점유율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 었으며5), ‘표적 지향성 유전자 치료제 의 개발과 관련된 특허 분석에서는’

의 특허 점유율이라는 매우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12.5% .6) 이런 일본의 낮

은 특허 점유율은 바이오산업 중 의약품과 관련될수록 더욱 낮게 나타나 비 록 높은 나노 기술력이 한축을 이루고 있는 나노 의약품 의 경우에도 단지‘ ’

의 저조한 점유율을 나타냈다

9% .7)

그러나 최근 들어 의약품과의 연관성이 낮으며 전자 혹은 나노기술과 같, 은 다른 산업과의 융합기술을 요하는 경우에는 매우 많은 특허 출원으로 전 체 특허 출원 대비 높은 특허 점유율을 보이고 있다. ‘바이오 융합산업 의 분’ 석 자료에 의하면 일본 특허의 점유율은 미국과 동일하게 약, 40%로 나타났 다.8) 이번 분석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NBT 융합소재 관련 특허에 대한 일 본의 높은 점유율은 높은 수준의 나노 기술을 바탕으로 점차적으로 그 활동 영역을 바이오산업까지 넓히고 있으며 그런 효과가 특허 분석에서도 나타나, 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런 현상은 상이한 종류의 다른 기술들이 서로. 융합하여 예를 들어 이번 분석에서와 같이 나노기술과 바이오기술의 융합으, 로부터 기대될 수 있는 효과 이상의 시너지 효과를 최대화한 것으로 판단되 며 이로부터 다양한 사업화가 발생할 수 있다고 예견하는 것도 어려운 일은, 아닐 것이다 특허 출원에 내재된 중요한 의미가 단순히 신기술 발표 이상의. 법적인 권리의 확보에 있으므로 이를 토대로 한 사업화는 예상 가능한 정도, 이며 따라서 향후 일본 기업에 의한, NBT 소재와 관련된 산업의 발전도 예 측해 볼 만 하다.

연도별 특허 출원동향 연도별 특허 출원동향연도별 특허 출원동향 연도별 특허 출원동향 (2)(2)

(2)(2)

그림 에서는 융합소재의 분석대상 특허들이 각 특허청별로

< 3-3> NBT

4) 2005년 국제특허분쟁대비 특허정보분석결과 보고서 탄소나노튜브 제조 및 응용기술 특허청, , (2005) 5) 2006년 국제특허분쟁대비 특허정보분석결과 보고서 서방형 약품 전달시스템 특허청, , (2006) 6) 2006년 국가 R&D특허동향조사 보고서 표적 지향성 유전자 치료제 개발, (2006)

7) 2006년 국제특허분쟁대비 특허정보분석결과 보고서 나노 의약품 특허청, , (2006) 8) 2006년 국가 R&D특허동향조사 보고서 바이오융합산업 특허동향 특허청, , (2006)

출원된 수를 연도별로 나타내고 있다 미국 일본 유럽의 경우. , , 1990년대 초 부터 특허 출원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 공통점을 보인다 특히 미국의 경. 우 그 증가세가 상대적으로 매우 높고 꾸준한 경향을 보이고 있으나 유럽, , 의 경우 1990년대 말까지 출원 증가율을 보이다가 점차 감소하고 있는 형태 를 보인다 일본의 경우는 미국 유럽과는 약간 상이해서. , 1990년대 초부터 특허 출원의 꾸준한 증가는 있었으나, 1999년부터 비약적인 출원양의 증가 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림 융합소재의 연도별 특허 출원동향

< 3-3> NBT

한국의 NBT 융합소재 특허출원 동향을 살펴보면 출원의 증가가 본격적, 으로 이루어진 시기는 다른 국가들과 비교하여 다소 늦은 것을 알 수 있다.

년대 초반부터 출원의 증가가 이루어진 다른 국가와는 달리 한국의 경

1990 ,

우 1990년대 후반부터 본격적인 특허 출원의 증가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출. 원 증가율에 있어서는 최근 들어 일본의 증가율에 필적할 만큼의 높은 증가 율을 보이고 있다.

문서에서 나노-바이오 융합기술 (페이지 49-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