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구조적 생략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71-74)

5.3 교과서에 나타난 생략 현상의 유형별 분석

5.3.3 구조적 생략

교과서의 구조적 생략 현상은 명사절을 이끄는 접속사 ‘that’의 생략과 관계대명 사절의 목적격관계대명사 생략, 그리고 관계대명사와 be동사의 생략, 관계부사의 생략이 주가 되어 골고루 나타나고 있다. 접속사 ‘that’은 쓰지 않는 것이 일반화되 어 있으나 본 논문의 구조적 생략의 기준인 문법적인 지식을 요하는 유형이기 때 문에 분석에 포함시켰다. 각 교과서에서 나타난 구조적 생략의 유형을 도표로 나타 내면 다음과 같다.

<그림 7> 출판사별 구조적 생략의 유형별 빈도수

관계대명사의 목적격과 관계대명사와 be동사의 생략, 그리고 관계부사의 생략이 골고루 나타고 있으며, 명사절에서의 ‘that’생략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다음은 교과서에 나타난 구조적 생략 중 관계부사의 생략의 예이다.

(156) What makes a diet good or bad is the way ∅ the foods fit together. <천재>

(157) I asked him ∅ how he could play so well. <두산(장)>

(158) Do you know ∅ why I was interested in the flag? <교학(배)>

(159) If you wake up to the smell of smoke at night but you do not know ∅ where the fire is, what should you do? <교학(심)>

위의 예문 (156)은 ‘how’를 (157)은 ‘the way’를, (158)은 ‘the reason’을, (159)은

‘the place’를 생략한 것이다.

다음은 관계대명사절에서 나타난 생략으로 관계대명사 목적격의 생략과 주격 관 계대명사와 be동사의 생략으로 분석한 것이다.

(160) The man saw every doctor ∅ he could, but nobody could help him.

<목적격 관계대명사, 천재>

(161) The only thing ∅ I could do was to lead him by the nose away from the TV.

<목적격 관계대명사, 두산(장)>

(162) There were unknown adventures ∅ waiting for them.

<주격관계대명사+be동사, 두산(김)>

(163) Sculpture is a three-dimensional form ∅ made from clay, stone, metal, or other materials. <주격 관계대명사+be동사, 교학(심)>

(160)과 (161)의 예문에서는 목적격 관계대명사 ‘that’이 생략된 것이고, (162)의 예 문은 ‘which was’이, (163)은 ‘which is’가 생략되었다는 것을 문법적 지식으로 알 수 있다.

다음은 구조적 생략의 여러 유형 중에서 가장 높은 빈도수(140회)를 보였던 명사 절에서의 ‘that’ 생략의 구문을 교과서에서 분석한 것이다.

(164) I know ∅ you read three or four books at a time. <천재>

(165) Every family will have a plane, which means ∅ we won't have to worry about traffic in the streets. <두산(장)>

(166) Do you think ∅ it is great and exciting? <두산(김)>

(167) Be sure ∅ you can read some of that poetry which was written a few centuries ago. <교학(배)>

(168) In reading this story, when did you find out Linda was blind? <교학(심)>

이상으로 교과서 본문의 생략을 유형별로 분류하였다. 복원가능성의 근거에 의한 교과서의 생략 현상의 분류는 구문적, 구조적, 상황적 생략의 순으로 생략현상이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우리가 일상 언어생활에서 생략이 일어나지 않은 완전한 형태의 문장을 항상 사 용할 필요도 없고, 사용할 수도 없으나 영어를 배우는 학습자인 학생들에게 생략된 문장의 구조에 대해 조직적이고 체계적으로 교수할 필요는 있다고 생각한다. 문장 의 구조를 제대로 알지 못한다면 의미 이해가 어려운 경우가 많기 때문에, 문법적 지식이 요구되는 구조적 생략의 경우는 체계적인 학습 지도가 필요하다고 생각된 다.

이상에서처럼 생략은 의사소통에서 잉여적인 요소를 제거하여 의미의 결속력을 높이고 신정보에 초점을 두어 의사소통을 훨씬 효율적으로 만드는 보편적인 언어 현상임에 틀림없다. 따라서 실제 교육현장에서 효율적인 의사소통을 위해 생략의 필요성을 충분히 인식하여 교사가 학생들과의 대화에서 언어적, 언어외적 맥락 및 화용적 지식을 통해 알 수 있는 잉여적인 요소를 누락시켜 생략현상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학생들을 지도하는데 있어서 막연하게 생략된 요소를 지나치 기 보다는 왜 생략현상이 발생하는지와 그러한 활동으로 인해 의사소통에서 어떤 효과가 있는지를 설명해 주는 것이 교사의 역할이 되어야 한다. 또한 학생들은 생 략현상에 대한 이해를 통하여 완전한 문장으로 대답하려는 강박관념으로부터 벗어 나서 언어의 순기능을 저해하지 않는 한 생략된 표현을 사용함으로써 의사소통을 더욱 원활하게 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생략현상의 체계적인 이해와 관심은 실제 교육 현장에서 중 ․ 고 교 교과서에서 나타난 생략구문을 파악함으로써 독해력을 함양시키는데 매우 유익 하다고 볼 수 있다.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71-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