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교사헌신에 대한 개인 변인의 효과

IV. 연구결과 및 논의

3. 교사헌신에 대한 개인 변인의 효과

교사헌신에 대한 개인 차원 변인의 효과를 분석하기에 앞서 교사헌신과 개인 변인(교사 효능감, 교직 사명감, 긍정적 피드백) 및 조직 변인(학교장 리더십, 직무 자율성, 집단 응집 성, 지속적 학습기회)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부록 5] 교사헌신과 개인 및 조직 변 인의 상관분석 결과), 모든 변수가 교사헌신과 정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p<0.01). 세부적으로 교사 효능감(r=0.696), 긍정적 피드백(r=0.651), 교직 사명감(r=0.601) 등 개인 변인과의 상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집단 응집성(r=0.615), 직무 자율성 (0.528), 지속적 학습기회(r=0.528), 학교장 리더십(0.519) 등 조직 변인과의 상관 역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하여 하나의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대한 설명력이 높더라도 다중공선성이 발 생할 경우 설명력이 낮게 나타나기에 분석에 앞서 이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0.8 이상의 높은 상관계수가 나타날 경우 다중 공선성이 발생하게 되는데(Gunst, 1983), 이 를 보다 엄격하게 점검하기 위해서는 공차한계(tolerance)와 변량팽창계수(VIF, Variance Inflation Factor)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공차한계의 경우 1에 근접할수록 다중 공선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며, 값이 0.1 이하일 때는 다중공선성에 문제가 있다고 해석한 다. 또한, 변량팽창계수의 경우 10이상이 될 경우 다중공선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공차 한계와 변량팽창계수를 산출한 결과 공차한계는 0.269~0.478, 변량팽창계수는 2.102~3.721

로, 이 연구에서 사용하는 변인들은 상호간에 다중공선성의 문제를 야기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Ⅳ-6> 참조).

변인 공차한계 변량팽창계수

교사 효능감 0.422 2.371

교직 사명감 0.478 2.093

긍정적 피드백 0.433 2.307

학교장 리더십 0.476 2.102

직무 자율성 0.304 3.286

집단 응집성 0.269 3.721

지속적 학습기회 0.288 3.517

<표 Ⅳ-6> 교사헌신 관련 변인의 다중공선성 진단

가. 인구통계학적 변인의 효과

마이스터고등학교 교사헌신에 대한 인구통계학적 특성 변인의 효과를 구명하기 위해 설 정한 무선효과 회귀계수모형(Random-Coefficients Regression Model)인 중간모형의 분석 결과는 <표 Ⅳ-7>과 같다. 인구통계학적 특성 변인의 효과 구명을 위해 집단 내 모형에 성 별, 연령, 교직경력, 최종학력, 결혼여부, 직급, 담당교과 등을 투입하였다.

고정효과 분석 결과, 성별, 연령, 교직경력, 최종학력, 결혼 여부 등은 교사헌신에 유의미 한 영향을 주지 않으나, 직급(t=2.424, p<0.05), 담당교과(t=1.797, p<0.05) 등은 교사헌신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일반교사보다는 부장교사일수록, 보통교과 교사보다는 전문교과 교사일수록 교사헌신의 수준이 높아짐을 의미하는 것이다.

특히 교사헌신에 대한 인구통계학적 특성 변인의 효과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직급의 회 귀계수는 0.147로 직급이 1 표준편차 증가할 때 교사헌신 수준은 0.147 표준편차만큼 증가 하였으며, 담당교과의 회귀계수는 0.113으로 담당교과가 1 표준편차 증가할 때 교사헌신 수

준은 0.113 표준편차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교사헌신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 치는 직급과 담당교과의 회귀계수를 비교해보면, 직급, 담당교과 순으로 교사헌신에 많은 영향을 끼치는 것을 알 수 있다.

무선효과 분석 결과 집단 간 변량은 0.018로 무선효과 모수인τ00의 추정치가 유의미하게 나타나(χ²=51.110, p<0.01)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른 교사헌신의 효과는 조직별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른 교사헌신의 효과는 마이스터고등학 교별로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고정효과 계수 표준오차 t

절편(ϒ00) 4.273 0.037 116.708**

인구통계학적 특성

- 성별 0.038 0.063 0.608

- 연령 -0.005 0.006 -0.755

- 교직경력 0.005 0.006 0.870

- 최종학력 0.015 0.055 0.272

- 결혼 여부 -0.029 0.072 -0.408

- 직급 0.147 0.061 2.424*

- 담당교과 0.113 0.063 1.797*

무선효과 표준편차 변량 χ²

집단 간 변량00) 0.134 0.018 51.110**

집단 내 변량2) 0.464 0.214

*p<0.05, **p<0.01

<표 Ⅳ-7> 교사헌신에 대한 인구통계학적 변인의 효과

한편 인구통계학적 변인 투입 후 고정효과와 무선효과 분석 결과를 토대로 인구통계학적 변인의 설명량을 분석한 결과는 <표 Ⅳ-8>과 같다. 교사헌신의 집단 내 변량은 인구통계학 적 변인 투입 전 0.219에서 투입 후 0.214로 감소하였으며, 교사헌신에 대한 인구통계학적 변인의 설명량은 2.28%로 나타났다.

구분 교사헌신

인구통계학적 변인 투입 전 집단 내 변량 0.219

인구통계학적 변인 투입 후 집단 내 변량 0.214

인구통계학적 변인의 설명량 2.28%

) 설명량(R2)=(투입 전 변량-투입 후 변량)/투입 전 변량 x 100

<표 Ⅳ-8> 교사헌신에 대한 인구통계학적 변인의 설명량(R2)

나. 사회심리적 변인의 효과

마이스터고등학교 교사헌신에 대한 사회심리적 변인의 효과를 구명하기 위해 설정한 무 선효과 회귀계수모형(Random-Coefficients Regression Model)인 중간모형의 분석 결과는

<표 Ⅳ-9>와 같다. 사회심리적 변인의 효과 구명을 위해 집단 내 모형에 교사 효능감, 교 직 사명감, 긍정적 피드백 등을 투입하였다.

고정효과 분석 결과, 교사 효능감(t=6.857, p<0.01), 교직 사명감(t=1.993, p<0.05), 긍정적 피드백(t=3.098, p<0.01) 등은 교사헌신에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는 교사 효능감 수준이 높고, 교직 사명감이 투철하며, 긍정적 피드백을 받고 있는 교사일 수록 교사헌신의 수준이 높아짐을 의미하는 것이다.

특히 교사헌신에 대한 사회심리적 변인의 효과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교사 효능감의 회 귀계수는 0.402로 교사 효능감이 1 표준편차 증가할 때 교사헌신 수준은 0.402 표준편차만 큼 증가하였다. 교직 사명감의 회귀계수는 0.141로 교직 사명감이 1 표준편차 증가할 때 교 사헌신 수준은 0.141 표준편차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긍정적 피드백의 회귀 계수는 0.291로 긍정적 피드백이 1 표준편차 증가할 때 교사헌신 수준은 0.291 표준편차만 큼 증가하였다. 특히 교사헌신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교사 효능감, 교직 사명감 및 긍 정적 피드백의 회귀계수를 비교해보면, 교사 효능감, 긍정적 피드백, 교직 사명감 순으로 교 사헌신에 많은 영향을 끼치는 것을 알 수 있다.

무선효과 분석 결과 집단 간 변량은 0.024로 무선효과 모수인τ00의 추정치가 유의미하게

나타나(χ²=107.339, p<0.01) 사회심리적 변인에 따른 교사헌신의 효과는 조직별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사회심리적 변인에 따른 교사헌신의 효과는 마이스터고등학교 별로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고정효과 계수 표준오차 t

절편(ϒ00) 4.273 0.037 116.836**

교사 효능감 0.402 0.587 6.857**

교직 사명감 0.141 0.071 1.993*

긍정적 피드백 0.291 0.094 3.098**

무선효과 표준편차 변량 χ²

집단 간 변량00) 0.155 0.024 107.339**

집단 내 변량2) 0.320 0.102

*p<0.05, **p<0.01

<표 Ⅳ-9> 교사헌신에 대한 사회심리적 변인의 효과

한편 사회심리적 변인 투입 후 고정효과와 무선효과 분석 결과를 토대로 사회심리적 변 인의 설명량을 분석한 결과는 <표 Ⅳ-10>과 같다. 교사헌신의 집단 내 변량은 사회심리적 변인 투입 전 0.219에서 투입 후 0.102로 감소하였으며, 교사헌신에 대한 사회심리적 변인의 설명량은 53.42%로 나타났다.

구분 교사헌신

사회심리적 변인 투입 전 집단 내 변량 0.219

사회심리적 변인 투입 후 집단 내 변량 0.102

사회심리적 변인의 설명량 53.42%

) 설명량(R2)=(투입 전 변량-투입 후 변량)/투입 전 변량 x 100

<표 Ⅳ-10> 교사헌신에 대한 사회심리적 변인의 설명량(R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