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교복 착용자를 대상으로 하는 설문지는 여고생들의 교복 변형, 치수 만족/

불만족, 교복만족도, 교복 구입․재구입에 관한 사항 및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에 관한 문항들로 구성되었다(<부록 1> 참조). 질문항목들의 내용, 측정척도 및 출처는 <표 1>에 제시하였다.

교복 변형은 교복 고친 경험 유무, 교복 고친 부위(블라우스, 스커트), 고 친 장소, 고치는 이유, 고치지 않은 이유, 고치는 것에 관한 응답자의 견해, 교 복 제작 시 유행성 반영정도 등 7개 측면에서 질문항목들이 포함되었다(<표 1> 참조). 교복 고친 경험 유무, 교복 고친 장소, 고치는 이유, 고치지 않은 이 유, 고치는 것에 관한 견해 및 교복 제작 시 유행성 반영정도를 묻는 6개의 측 면의 문항들은 응답내용들을 제시하여 그 중에서 응답자에게 해당되는 것을 고 르게 하는 선택 강요형으로 측정되었고, 교복 고친 경험 유무와 교복 제작 시 유행성 반영정도의 문항을 제외한 4개의 질문항목이 복수응답 되었다.

교복 고친 부위는 7점 평정척도에 의해 측정되었다. 즉, 교복을 고친 경험 이 있다고 응답한 학생 내에서 블라우스 10개 부위(목둘레, 어깨너비, 앞품, 뒤품, 가슴둘레, 허리둘레, 진동둘레, 블라우스 길이, 소매통, 소매길이)와 스커트 6개 부 위(허리둘레, 배둘레, 엉덩이둘레, 스커트길이, 밑단둘레, 주름)를 제시한 후 각 부 위와 관련하여 “고치지 않음”(4점)을 기준으로 “매우 많이 줄임”(1점), “많이 줄 임”(2점), “약간 줄임”(3점) 그리고 “약간 늘림”(5점), “많이 늘림”(6점) “매우 많 이 늘림”(7점)에 응답하도록 하였다.

또한 교복 변형이란 “교복의 실루엣이나 길이 또는 품에 변화를 주기 위 하여 수선하는 것”으로 이혜경(2000)의 ‘교복 변형 실태와 교복 디자인 개선에

관한 연구’에서 제시된 정의를 인용하여 사용하였다.

치수 만족/불만족은 교복 구입 시 치수선택 기준으로 중요시하는 부위, 치수 만족/불만족 부위와 교복 착용 시 치수에 대한 불만점과 개선 및 요구사 항 등 3개의 측면의 질문항목들이 포함되었다. 교복 구입 시 치수선택 기준으로 중요시하는 부위에 관한 문항은 블라우스와 스커트를 구분하여 각각에 대하여 선택 강요형으로 측정되었다. 치수에 대한 불만점과 개선 및 요구사항의 질문은 자유응답형(개방형)으로 측정되었다(<표 1> 참조).

부위별 치수만족도는 7점 평정척도에 의해 측정되었으며 블라우스 10개 부위(목둘레, 어깨너비, 앞품, 뒤품, 가슴둘레, 허리둘레, 진동둘레, 블라우스 길이, 소 매통, 소매길이)와 스커트 5개 부위(허리둘레, 배둘레, 엉덩이둘레, 스커트길이, 밑 단둘레)를 제시한 후 “매우 크다”(1점), “크다”(2점), “약간 크다”(3점), “적당하 다”(4점), “약간 작다”(5점), “작다”(6점), “매우 작다”(7점)에 해당하는 곳에 응 답하도록 하였다. 분석과정에서 “큼의 불만족”은 1(매우 크다)에서 3(약간 크다) 까지 응답한 경우, “만족”은 4(적당하다)에 응답한 경우, “작음의 불만족”은 5 (약간 작다)에서 7(매우 작다)까지 응답한 경우로 구분하였다.

교복만족도는 디자인 및 유행성, 활동성, 품위 및 안락감, 관리성, 경제적 측면과 관련한 총 32개 문항을 선행연구(이송자, 1980; 이상희, 1996; 이혜경, 2000; 최종명․김희숙, 2000)에서 발췌, 수정․보완하여 구성하였으며 7점 리커트 척도에 의해 측정되었다. 경제적 측면을 포함하는 문항은 본 연구의 분석과정에 서 제외되었다.

응답자의 구입 및 재구입에 관한 사항은 교복 구입형태, 구입 시 영향력 행사자, 상표명, 재구입 장소 및 재구입 장소로 선택한 이유, 벌수, 착용하고 있 는 호수 총 8개의 문항들을 구성되었으며 이 질문항목들은 자유응답형과 선택 강요형으로 측정되었다. 상표명, 재구입 장소 및 재구입 장소로 선택한 이유의 문항들은 복수응답 되었다(<부록 3> 참조)

응답자의 일반적 사항은 학교, 학년, 신체치수(신장, 몸무게, 가슴둘레, 허 리둘레), 체형 지각 및 가족월수입 총 8개의 문항들로 구성되었으며 이 질문항

<표 1> 여고생 교복 착용자 대상 설문지의 내용과 측정척도 및 출처

연구변인 질 문 항 목 측정 척도 출 처

교복 변형

․교복 고친 경험 선택강요형 연구자

․교복 고친 부위:

블라우스(목둘레, 어깨너비, 앞품, 뒤 품, 가슴둘레, 허리둘레, 진동둘레, 블라 우스 길이, 소매통, 소매길이)

스커트(허리둘레, 배둘레, 엉덩이둘레, 스커트길이, 밑단둘레, 주름)

7점 평정척도

선택강요형 김덕하(2000)

연구자

․교복 고친 장소 선택강요형(복수응답)

․교복 고치는 이유 선택강요형(복수응답) 이혜경(2000)

연구자

․교복 고치는 것에 관한 견해 선택강요형(복수응답)

․교복 고치지 않은 이유 선택강요형(복수응답) 연구자

․교복 제작 시 유행성 반영정도 선택강요형 박정희(1998)

연구자

치수 만족/불만족

․교복 구입 시 치수선택 기준으로

중요시하는 부위 선택강요형 김덕하(2000)

연구자

․치수 만족/불만족 부위

블라우스(목둘레, 어깨너비, 앞품, 뒤품, 가슴둘레, 허리둘레, 진동둘레, 블라우스 길이, 소매통, 소매길이)

스커트(허리둘레, 배둘레, 엉덩이둘레, 스커트길이, 밑단둘레)

7점 평정척도

선택강요형 김덕하(2000)

․치수에 대한 불만점과 개선 및

요구사항 자유 응답형 김덕하(2000)

연구자

교복 만족도

디자인 및 유행성, 신분상징성, 활 동성, 경제적 측면의 문항

7점 리커트척도 선택강요형

이송자(1980) 이상희(1996) 이혜경(2000) 최종명․김희숙

(2000) 연구자

구매 및 재구매 관련사항

․교복 구입 시 영향력 행사자 선택 강요형 김덕하(2000)

연구자

․교복 구입형태, 교복의 상표명

․교복 재구입 장소 선택강요형(복수응답)

연구자 연구자

․교복 재구입 장소 선택 이유

․교복(하복) 구입 벌수

․교복(하복)의 호수

자유 응답형

일반적 사항

․학교명, 학년, 가족 월수입

․신장, 체중, 가슴둘레, 허리둘레 자유 응답형

․체형 지각 선택강요형 김덕하(2000)

목들은 개방형과 선택강요형으로 측정되었다. 학교 유형은 응답된 학교명을 확 인한 후 연구자가 계열별로 구분하였다. 또한 체형 지각은 “자신이 어떤 체형에 속한다고 생각되십니까?”의 질문에 대해서 비만 체형에 속한다고 응답한 학생 을 비만 지각, 평균 체형에 속한다고 응답한 학생을 평균 지각, 마른 체형에 속 한다고 응답한 학생을 마름 지각으로 구분하였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