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본 연구에서는 교복 변형의 경험 유무에 따른 교복만족도의 차이를 알아 보기 위하여 t-test를 실시한 결과(<연구문제 3-4>), <표 33>에 제시된 바와 같이 신분 상징적 만족도와 하의 활동 불만족도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 났다. 즉, 교복을 변형한 경험이 없는 학생은 경험이 있는 학생보다 신분 상징 적 만족도는 높지만 하의 활동에 있어 불만족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하의 활동에 있어 불만족을 느끼지만 교복을 변형하여 착용하는 것이 학생신분 및 집단 규칙에서 어긋나는 행동으로 생각하기 때문으로도 해석할 수 있으며 이는 교복 변형을 하지 않는 이유가 ‘학교 규제 때문에’가 가장 큰 이유로 나타 난 것을 보더라도 그 이유를 알 수 있다(<표 9> 참조). 그러나 이혜경(2000)의 연구에서 변형태도는 교복만족도 하위 요인 중 품위 및 안락감과 관계가 있으 며 교복 변형 경험이 있는 학생이 품위 및 안락감이 높게 나타나 교복 변형을 함으로써 소속감과 심리적 안정감을 얻는다고 해석하고 있어 본 연구의 결과와 차이를 보이고 있다.

<표 33> 교복 변형의 경험 유무에 따른 교복만족도의 차이 변형 경험

교복만족도

있 다 (n=623)

없 다

(n=305) t값

M(S.D.) M(S.D.) 유행 및 심미적

만족도 -0.016(1.024) 0.027(.952) -622

신분 상징적 만족도 -0.083(1.007) .176(.968) -3.733***

상의활동 불만족도 0.030(1.028) -0.056(.929) 1.230 관리 불만족도 -0.011(1.052) 0.093(.882) -.285 하의활동 불만족도 -0.064(1.023) .126(.943) -2.722**

**p <.01 ***p <.001

한편 선행연구에서는 유행관심이 높을수록 교복을 많이 변형해서 착용하 며(고애란․김양진․심정은,1999), 유행의 관심이 적은 학생일수록 현재 착용하 고 있는 교복의 유행성에 대해서 만족하고, 유행에 관심이 적고 의복을 착용했 을 때 단정함이나 어울림 등의 외모에 관심이 많을수록 교복의 신분 상징성에 대한 만족도가 높다고 하였다(이상희․김현식․손원교, 1997). 본 연구에서도 교 복 변형 경험이 없는 학생이 변형 경험이 있는 학생보다 신분 상징적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유행 및 심미적 만족도의 평균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교복 변형 경험이 없는 학생들이 유행 및 심미적 측면에서 덜 관심이 있는 것으로도 해석할 수 있으며 이는 앞에서 언급한 학교유형에 따른 교복만족도의 차이에서 인문계 학생들이 신분 상징적 만족도가 높고 유행 및 심미적 만족도의 평균이 높게 나타난 결과도 같은 맥락 에서 해석될 수 있다(<표 31> 참조).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부과적인 관심으로 교복 제작 시 유행성 반영정도에 따른 교복만족도의 차이와 더불어 학교 유형 과 교복 변형의 경험 유무에 따라 교복 제작 시 유행성 반영정도의 차이가 있 는지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34>와 <표 35>에 제시된 바와 같다.

교복 제작 시 유행성 반영정도에 따른 교복만족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일 원분산분석과 Scheffe 사후검정을 실시한 결과 <표 34>에 제시된 바와 같이 유행 및 심미적 만족도와 신분 상징적 만족도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 으로 나타났다. 즉, 교복 제작 시 유행성은 학교규칙 내에서 반영해야 한다고 응답한 학생이 유행성을 반영해야 한다고 응답한 학생보다 유행 및 심미적 만 족도와 신분 상징적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유행의 관심이 낮을수록 현재 착용하고 있는 교복의 유행성에 만족한다는 선행연구(이상희․김현식․손 원교, 1997)의 결과를 지지한다고 할 수 있다.

<표 34> 교복 제작 시 유행성 반영정도에 따른 교복만족도의 차이 교복 제작 시

유행성 반영정도

교복만족도

반영해야 한다 (n=495)

무시해야 한다 (n=26)

학교 규칙내 반영

(n=443) F값 M

(S.D.)

M (S.D.)

M (S.D.)

유행 및 심미적 만족도

-.126 (1.008)

b

-.010 (.912) ab

.144 (.993)

a

5.261**

신분 상징적 만족도

-.167 (1.024)

b

-.114 (1.337)

ab

.200 (.921)

a

10.371***

상의 활동 불만족도

.011 (1.011)

.127 (.942)

-.024

(1.008) .428

관리 불만족도 .022 (1.075)

.039 (1.155)

-.050

(.883) 3.073 하의 활동

불만족도

-.042 (1.033)

-.119 (1.168)

.090

(.923) 1.498

**p <.01 ***p <.001

학교 유형과 교복 변형의 경험 유무에 따른 교복 제작 시 유행성 반영정 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χ²검증을 실시한 결과, <표 35>에 제시된 바와 같이 두 집단 모두 p <.001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즉, 인문계 학생과 교복 변형 경험이 없는 집단은 교복 제작 시 학교규칙 내에서 유행성을 반영해야 한 다는 응답이 많았으며 반면 실업계 학생과 교복 변형 경험이 있는 집단은 교복 제작 시 유행성을 반영해야 한다는 응답이 많았다. 이는 실업계 학생과 교복 변 형 경험이 있는 집단이 유행에 더 관심이 많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표 35> 학교 유형과 교복 변형의 경험 유무에 따른 교복 제작 시 유행성 반영정도의 차이

구 분

교복 제작 시 유행성 반영정도

χ²

반영해야 한다 (n=495)

무시해야 한다 (n=26)

학교 규칙내 반영 (n=443)

기타

(n=15)

합계

N (%)

N (%)

N (%)

N (%)

N (%) 학

교 유 형

인문계 189

(41.8)

7 (1.5)

252 (55.8)

4 (.9)

452 (100)

43.939***

실업계 306

(59.2)

19 (3.7)

181 (35.0)

11 (2.1)

517 (100)

변 형 경 험

있다 398

(61.3)

12 (1.8)

227 (35.0)

12 (1.8)

649 (100)

86.961***

없다 96

(30.4)

14 (4.4)

203 (64.2)

3 (.9)

316 (100)

***p <.001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