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법과 사회 과목의 교수-학습 방법

문서에서 朝 鮮 大 學 校 敎 育 大 學 院 (페이지 39-68)

第 1節 사회과의 교수-학습 실천방향

사회과교육은 사회생활에 관한 인간관계를 중심으로 하여 여러 가지 사회문제를 학생의 요구에 의하여 학습하고.그러한 학습을 통해서 사회생활에 필요한 지식,기 능,태도 등을 형성하여 국민으로서 필요한 자질을 교육하려는 학교의 교과목이다.

특히 사회과교육은 지식의 암기 대신에 비판적 사고력,문제해결력,의사결정 능 력,탐구력 등의 고급사고력이 강조된다.그래서 7차 교육과정에서는 사고력과 문제 해결력의 교육에 비중을 두고 있으며,또한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도 사고력과 문제 해결력의 평가에 초점을 두고 있다.24)그러므로 교사는 교과서의 단원을 그대로 학 습단원으로 대치하는 일은 지양하고,학습내용을 학습자의 사전지식․경험․흥미 등 을 고려하여 적합한 주제나 과제로 재구성한 후 수업을 운영하도록 하도록 하는 것 이 좋겠다.교육인적자원부의「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4)사회」에 따르면 사회과 교육의 실천방향으로,먼저 구성주의 교수학습 원칙에 입각한 교수전략의 적용을 제 시한다.다음은 구성주의적 관점에서 교수-학습방법의 실천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1.자기주도적 교수-학습

현실적으로 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대부분의 사회과 수업은 교사가 가르쳐야 할 내용을 설명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학생이 그러한 수업에 흥미를 가지 지 못하며 단순히 시험을 잘 보기 위하여 그 시간을 잘 견디고 있는 경우를 자주 목 24)박성익,「교수․학습 방법의 이론과 실제(Ⅰ)」(서울 :교육과학사,1997),p.206.

격하게 된다.학생이 흥미를 가지고 학습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은 무엇보다 도 중요하다.그런데 자기주도적 교수․학습은 학생의 흥미를 고려하여 만든 과제를 학생들이 나름대로 절차를 통하여 수행하고,다른 학생들의 수행결과와 자신의 수행 결과에 대하여 과제수행과정을 반성하는 절차를 거쳐 이루어진다.학생은 이러한 과 정을 통하여 그들의 고유의미를 구조화한다.이와 관련하여 구성주의에서는 학습이 란 객관적으로 존재하는 지식을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개인의 경험에 의해 구성되는 과정임을 강조함으로써 학습의 주체로서 학습자를 강조한다.즉 학습자는 적극적이 고 자율적인 지식의 형성자로서 스스로 자율학습을 할 수 있는 인지적 기술과 능력 을 지니고 있으며,지식은 개인의 인지적 구조와 사회적 상호작용에 의해 구성되고, 자신에게 의미 있는 형태로 선택이 변경되어 받아 들여지는 것으로서 학습자의 학습 에 대한 주인의식(ownership)을 강조하는 것이 그 특징이다.

2.문제해결중심의 교수-학습

사회과 교수-학습활동은 사회현상을 비판적으로 검토해 보고,시민으로서 갖추어 야 할 합리적인 의사결정능력을 함양할 수 있고 문제해결능력을 기르는데 적합하다.

문제해결이란 이미 배운 원리를 응용하여 여러 가지의 새로운 상황에서 직면하게 되 는 문제들에 대한 해결방안을 발견해 내는 능력을 말한다.그런데 구성주의적 학습 환경에서는 지식이 적용될 수 있는 문제를 중심으로 학습을 제공함으로써 문제상황 에 대한 이해와 관련된 정보를 회상하는 능력,문제해결과정에 대한 초인지적 감지 능력,전문가들이 실세계의 문제해결에서 경험하는 사고력을 촉진하고자 한다.25)따 라서 문제해결중심 교수-학습방법은 구성주의에서 강조되고 있는 것이다.한편,미 국에서는 1960-70년대 사회적․정치적 문제가 폭증하면서 사회과 교육이 사회현실 에 대해 좀 더 관심을 두고 사회문제해결에 역점을 두어야 함을 강조하면서,학생들 에게 공공문제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참여를 강조하였다.예를 들면 올리버와 쉐이 버(Oliver& Shaver)는 사회과의 교육목표는 반성적 사고 과정을 통해 시민적 자질 을 육성하는 것이며,사회과란 사회문제(socialIssues)에 대한 비판적 탐구라고 했 다.특히 쉐이버(Shaver)는 문제중심 사회과교육은 학생들이 그들 자신의 경험에 비 추어 관심을 가지고 있는 사회영역이나 사회과학에서 도출된 이슈를 강조하기 때문 에 속성상 간학문적이라 주장하고 있다.또한 앵글과 오초아(Engle& Ochoa)는 문 25)박성익 外3人共著,「교육방법의 교육공학적 이해」(서울 :교육과학사,2005),p.77.

제중심 사회과 교육과정과 민주시민의 독특한 역할간의 관계를 강조하면서,반성적 의사결정 능력에 기여하는 지적 과정에 연결된 문제중심 교육과정을 발전시켰다.그 러기 때문에 구성주의는 맥락에서 분리된 사실적 정보대신에 지식이 사용되는 실재 적인 과제와 맥락을 강조한다.즉,지식은 실제로 사용되는 맥락과 분리되어서는 안 되고,유의미한 학습이 이루어기 위해서는 지식이 실재로 사용되는 맥락과 함께 제 공되어야 한다는 것이다.따라서 실제 상황 속에 내포되어 있는 복잡함이 여과되지 않고 그대로 담겨있는 구체적 상황(context)을 배경으로 한 실제적 성격의 과제를 다 룬다.따라서 수업은 가능한한 실제와 비슷한 상황에서 이루어져야 한다.26)이때 교 사의 역할은 학습자가 필요로 할 때 학습에 대한 도움을 주는 조언자의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교사의 역할은 지식의 전수자로부터 탈바꿈하여 학습자의 이해를 촉진하는 코우치나 촉진자로 바뀌어야 한다.즉 교사는 단순히 지식을 전달하기 보다는 질문 을 통해 학습자의 인지적 활동을 자극한다든지,학습자가 풀어야 하는 과제의 전 과 정을 먼저 시연해 주어서 개념적 틀을 제공해 준다든지,지속적인 피드백과 도움을 제공함으로써 학습자 스스로 문제를 해결해 나갈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그리고 여 러 가지 보조 자료들을 제시해 주는 역할을 맡아 학습을 촉진하는 것이다.

3.협동적 상호작용의 교수-학습

지식의 습득과 형성은 단지 인간의 개인적인 인지적 작용로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고 반드시 개인이 속한 사회,문화적 배경과의 상호작용을 전제로 하고 있으며, 학교 환경에서는 동료들 혹은 교사와 학생들 간의 협동학습 환경의 활용을 통해서 이루어진다.개인의 이해의 질과 깊이는 다른 사람의 관점과 공유될 수 있어야 하고, 공유가능성은 학습공동체 안에서 결정될 수 있다.학습공동체는 학생 각자의 생각을 검증하게 하고 개인적 이해와 양립할 수 있는 대안적 시각과 부가적 정보를 제공한 다.타인은 개인적 수준에서 자신의 이해를 검증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따라서 과제나 문제는 학생 개인적인 시도뿐만 아니라 다른 학생과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해 결되어야 한다.이러한 상호작용은 학습한 내용과 학습과정에 대하여 반성할 기회를 제공한다.그러므로 토론은 과제수행의 첫 번째 단계에서부터 옳고 그른 것에 대한 합의를 도출해내는 좋은 수단이라고 할 수 있다.그런데 구성주의자들은 지식의 본 질보다는 다양한 지식요소들의 구성과정과 사회적 상호작용을 중요시한다.이와 관 26)나동진,前揭書,p.53.

련하여 두 가지 관점을 살펴볼 수 있다.27)첫째는 Piaget의 연구를 근거로 하며,개 인과 지식의 내적 구조에 초점을 두는 인지적 구성주의(cognativeconstruction)이다.

이 관점에 의하면 사회적 상호작용이란 단지 개인적 갈등을 해소하는 데 중요한 것 이라고 본다.따라서 인지적 구성주의는 이러한 인지적 활동이 지식구성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고 전제하고,동화(assimilation)와 조절(accomodation)을 촉진할 수 있는 방법에 관심을 갖는다.두 번째는 Vygotsky의 발달심리학에 기초를 두고,학습에 영 향을 미친 사회적인 요소에 관심을 갖는 사회적 구성주의(socialconstructivism)이 다.이는 지식은 사회적 맥락 내에서 존재하며 개인의 마음속에 고립적으로 표상되 는 것이 아니라 다른 사람들과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하여 내면화되어 이루어지는 것 으로 보고 있다.뿐만 아니라 Vygotsky는 사회적 상호작용의 중요성을 아동의 근접 발달영역(ZoneofProximalDevelopment)을 통해 설명하고 있다.근접 발달 영역은 아동이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는 없지만 성인이나 뛰어난 동료와 함께 학습하면 성공할 수 있는 영역을 의미한다.28)근접발달 영역 내에서 어떤 문제해결에 직면하 여 있는 아동에게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단서를 제공하거나,세부사항과 단계를 기억할 수 있도록 조력하고,꾸준히 시도하도록 격려하는 도움이 필요한데,이러한 조력을 Bruner등은 건설현장에서 공사인부를 도와주는 비계에 비유하여 비계설정, 또는 발판제공(scaffolding)이라고 하였다.29)

第 2節 법과 사회 수업의 방향 1.구성주의 교수

교사는 수업을 진행하기 전에 교육과정․자신의 교수경험․학생의 흥미 등을 고려하여 각 단원에서 도출한 학습주제에 차시를 배정하고 학습주제의 특성을 고려 하여 각 차시에서 어떤 내용을 어떤 방식으로 교수․학습할 것인지를 미리 결정해야 한다.사회과 교육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학생들은 사회과의 기본사실이나 개념 등을 알 필요가 있고,그러한 사실․개념 등은 학습자가 사회적 현상을 보고 문제를 인식하며 그러한 문제를 나름대로 해결하는 데에 유용한 수단으로 작동한다.설명식 강의는 사실․개념․이론 등의 지식을 전달하는 데에 효율적이다.그러나 그러한 지 27)나일주․정인성 共著,「교수공학의 이해」(서울 :학지사,1998),p.57.

28)임규혁,「학교학습 효과를 위한 교육심리학」(서울 :학지사,2004),p.48.

29)김언주․구광현 共著,「신교육심리학」(서울 :문음사,2004),p.135.

식을 바탕으로 학생들이 특정주제에 대하여 나름대로 비판적․창의적 사고능력을 발 휘하여 문제를 해결하거나 의사결정 하는 데에는 조사․발표하거나 토론하는 수업방 법이 적합하다.30)제7차 교육과정은 구성주의적 관점에서 교육의 목표를 설정하고 있다.<표Ⅳ-1>에 JacquelineGrennonBrooks와 M.G.Brooks(1993)가 제안한 구 성주의적 교수의 실시방법이 제시되어 있다.

<표Ⅳ-1>구성주의 교수의 실시31)

많은 구성주의적 교수의 실시는 어느 학급에나 통합될 수 있다.

연번 구성주의 교수의 실시 방법

1 구성주의 교사는 학생의 자율성과 솔선을 격려한다.

2 구성주의 교사는 조작할 수 있는 상호적이고 물리적 자료와 함께 원자료와 기초 정보원을사용한다.

3 과제의 틀을 짤 때 구성주의교사는 분류하다,분석하다.예측하다,창조하다 같은 인지적용어들을 사용한다.

4 구성주의 교사는 수업을 이끌고 교수 전략과 내용을 변화시킬 때 학생의 반응을 고려한다.

5 구성주의 교사는 어떤 개념들에 대해 이해하는 것을 가르치기 전에 학생들의 개념에 대한이해를 알아 본다.

6 구성주의 교사는 학생들이 교사와 다른 학생들과 의견교환을 하도록 격려한다.

7 구성주의 교사는 사려 깊고 개방적인 질문을 제기하여 학생들이 탐구하고 학생들 간에 서로 대답하도록 격려한다.

8 구성주의 교사는 학생들이 보인 최초의 반응들을 보다 더 정교화시켜 나간다.

9 구성주의 교사는 학생들이 가진 최초의 가설에 모순을 가져올 수 있는 경험을 제공하고토의를 격려한다.

10 구성주의 교사는 질문을 제시한 후 기다려 준다.

11 구성주의 교사는 학생들이 관계를 발견하고 은유를 만들어 낼 시간을 제공해 준다.

30)한국교육과정평가원,「고등학교사회과 수행평가의 이론과 실제」(서울 :교육과학사,1999),p.95.

31) J. G. Brooks and M. G. Brooks(1993), Becoming a Constructivist Teacher. In Search of Understanding : The Case for Constuctivist Classrooms. pp.101~118. the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문서에서 朝 鮮 大 學 校 敎 育 大 學 院 (페이지 39-68)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