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Ⅱ. 공동체의식과 그 함양교육

1. 공동체의 개념

공동체란 개인적 자유를 인정하지 않는 구속적인 사회관계 또는 사회 집단, 일정한 토지를 공동으로 차지하고 있는 데 바탕을 두고 있는 사회 관계의 총체 즉 협동체를 의미하며4) 이를 이론적인 차원에서 최초로 연 구했던 퇴니스(F. Tonnies)에 의하면 그의 이익사회(결사체)에 대비되는 개념으로 혈통 및 지역성과 관습 등을 바탕으로 자연스럽게 형성되어 일 정한 생각과 행동방식을 보여주는 유기체적인 조직을 의미한다. 이러한 개념들은 인류가 역사적으로 사회를 형성하여 삶을 영위하게 되면서 발 생한 것으로 전통적 성격을 갖고 있다.

공동체에 대한 학문적 연구의 핵심은 “어떻게 사회가 가능한가” 하는 것으로 1950년대에 들어 사회학자들 사이에서 본격적으로 연구되기 시작 하였다. 즉 현대 자본주의사회의 구조적 모순이 극도로 첨예화됨에 따라 증가하는 소외된 집단들의 문제와 개인주의적이고 합리주의적인 사회가 갖는 병폐에 대한 논의 과정에서 이에 관한 논의가 생겨났다. 즉 대안적 사회를 모색하는 과정에서 공동체를 탐구하게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논의는 공동체의 개념규정 및 연구방법에 통일된 경향을 이루지 못함으 로 인해 다양하게 전개되었다.

대표적인 연구들을 보면 퇴니스(F. Tonnies)는 공동사회(Gemeinshaft)

3) Ⅱ장의 1절과 2절은 다음의 글들을 주로 참고하였는데 특별한 경우 이외에는 인용 표시를 생 략하였으며 그 글들이 인용한 원문에 대한 재인용 표시 역시 생략하였다.

김영섭 외(1994), 「공동체의식과 시민운동」,아산재단 연구보고서 제3집 ,아산사회복지사업재단 이광용(1999), “제주도 중학생들의 공동체의식에 관한 연구”,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정미경(2001), “공동체의식의 형성을 위한 도덕교육 방법론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를, 듀르깸(E. Durkheim)은 연대감(Solidarity)을, 쿠울리(C. H. Cooley) 는 1차적 집단(Primary Group)을 통해 공동체를 설명하였다.

멕키버(R. M. Maciver)는 그의 「공동체」(Community)에서 공동체를 이익에 의해서 특정 지역의 구성원들의 공유하게 되는 감정의 동일체라 고 설명하였는데 여기서 말하는 이익이란 그 공동체 구성원들이 선한 것 으로 인정하고 수용하려는 공공선과 같다. 따라서 공동체란 주민들이 일 정한 지역에 모여 살며, 서로에 대해 친밀하고 소속감과 연대 의식 (we-ness)을 갖고 있는 사회를 말한다. 이러한 공동체에서는 따뜻함, 보 살핌, 가치의 공유, 도덕적 책임, 사회적 일치와 연대. 시간과 공간의 연 속성이라는 특성을 갖는다. 이와 같이 타인과 일체가 되어 협동적 관계 를 맺고자 하는 심성적․정신적 현상과 관계를 가리키는 개념으로서 대 중사회에 대비되는 공동체는 집단에 대하여 깊은 소속감을 가지며(동일 시), 다른 사람들과 공동의 목표를 추구하고 있다는 감정과 함께 더불어 일체감을 갖는다.(정신적 통일성), 그리고 여러 집단에 의미있게 참여할 필요성을 가지며(관여), 서로 상대방의 본질적 중요성과 가치가 있는 전 인적 인간으로 대한다.(총체성)

듀플러(M. L. Defluer)는 공동체를 어느 특정 지역에 함께 살면서 정 치적 및 경제적으로 결속되어 있는 사람들의 집합으로, 윌슨(A. W.

Wilson)과 슐츠(D. A. Schulz)는 공동의 이해와 함께 일차적으로 장기적 상호작용의 역사를 가졌다고 생각되는 개인들로 이루어진 집단으로 정의 하고 있다. 이와 유사하게 니스벳(R. A. Nisbet)은 가장 기초적이고 영향 력 있는 사회학적 단위 개념으로 규정하고 있다.5) 공동체(Community)란 한 지역적 테두리에 같이 모여 사회조직을 이룩하고 문화를 공유하며, 그 공동체에 대한 일체감(The sense of identity)을 지니는 삶의 터전이 다.6)

5) 양 춘 외(1991), 「사회학개론」, 진성사, p.79.

6) 김경동(1981), 「현대의 사회학」, 박영사, p.171.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공동체에 대한 의미부여는 20세기에 넘어와 서 더욱 더 절실해지고 있다. 즉 더욱 가속화되는 공동규범의 부재가 사 회 구성원들에게 사회생활에의 혼란을 초래할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음이 지적됨으로써, 공동체 가치의 실현이 여러 가지 형태로 추구되기에 이른 것이다. 즉 1950년 이후 미국 및 서구 유럽에서는 현대 자본주의 사회의 구조적 모순이 극도로 첨예화되고 소외된 집단들이 체적되면서 광범위한 소규모 코뮨운동이 격화되기 시작하였고, 이러한 사회동태에 대응하여 공동체 연구도 본격적으로 불붙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연장선상에서 공 동체 개념을 현대 대중사회의 특성과 자세히 비교한 예는 포플린 (Popplin)에서 볼 수 있다. 포플린은 우리사회의 가장 심각한 문제에 대 한 해답은 현대 공동체에서의 사회적 생활을 더 이상 유형화할 수 없는 공동적 유대를 회복하는 일이라고 하면서, 공동체의 개념이 결코 단일 차원적이 아니라, 대중사회 속에 소외되고, 좌절하는 개인의 감각과 대립 되는 개념으로 형성된다고 보았다. 그는 공동체와 대중사회의 속성을 일 체감-소외, 심성적 통일성-심성적 단절, 자발성-비참여, 전체성-분절화로 기술하고 있다.

또한 1980년대 이후에는 자본주의 재구조화의 공간적 측면이 관심대 상이 되고, 지역이라는 공간의 차이를 강조하는 흐름이 발전하면서 지역 공동체에 대한 접근이 또 다시 주목받고 있다. 다시 말해 국제적 국내적 변동의 거시구조적 차원과 지방에서의 인간행위 차원을 연계시키려는 시 도로 지역공동체가 등장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공동체주의 철학 의 성장과 함께 공동체를 복원하려는 운동의 형태는 현대사회의 소외와 고립을 거부하고 인격적 친밀감과 심리적 해방을 추구하는 지역사회운동 들로 나타나기도 하였다. 따라서 공동체에 관한 논의는 각 학문 및 실천 영역에서 폭넓게 진행되어 왔으며 이에 개념도 상이한 방식으로 규정되 게 되었지만, 일반적으로 ‘공동체’를 말할 때는 위와 같은 기반을 둔 현

대사회 위기극복의 사회구성원리로서 상정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진행되어온 공동체에 대한 연구들을 종합하면, 현재까지 공동체 개념은 크게 2가지 의미에서 사용되어왔음을 볼 수 있다. 첫째, 공동체를 지역과 결부된 조직체 단위로 가리키는 개념이다. 즉 공동체는 근린성을 수반한 공간적 단위로서 특정한 지역 내 거주하는 사람들의 집 단이 된다. 이러한 관점은 퇴니스로 거슬러 올라가, 공동체를 출생과 성 장 배경에 기초한 유기적인 실체로 여김으로써 공동생활에 고유한 전통 적인 가치 특히 상호부조를 주된 요소로 보고 있는 입장이다. 둘째, 공동 체를 타인과 일체가 되어 협동적 관계를 맺고자 하는 심성적․정신적 현 상을 가리키는 개념이다.7) 이 개념에서는 대중사회의 문제들과 대비하여 일체감, 심성적 통일, 자발성, 전체성을 특징으로 설정된다. 매키버의 경 우가 이에 속하는데, 그는 공동체의 요소에 경제적 관계를 제외하고 모 든 사회적 관계를 심리적 관계로 바라봄으로써 인간과 인간이 직접적으 로 결합하는 가능성을 추구한다.8)

이와 같이 사회학적 개념으로 널리 사용되어 온 공동체는 그 용어 자 체가 가지고 있는 다양성으로 인해 포괄적으로 이해되는 반면, 특정 사 회나 지역에서 이의 실현을 모색할 경우 그 정의와 가치를 규명하기 힘 들다. 이같이 다양하고 추상적인 공동체 개념에 대하여 조지 힐러리 (George A. Hillery)는 공동체에 관한 94개의 다양한 정의를 재분류하면 서 하나로 일치되는 개념을 찾아내기는 어렵다고 결론 내렸다. 그러나 이들 다양한 공동체 개념을 다음과 같이 범주화할 수는 있다.9)

첫째, ‘동질성을 가진 소집단’으로 개념화 : 마이나(D. W. Minar), 그리 어(S. Greer)등.

7) 본 연구에서의 공동체의 의미는 ‘지역적인 차원을 지니는 사회조직체의 단위’보다는 도덕교육 의 입장에서 ‘공동의 유대나 집합정신’을 의미하는 이와 같은 입장을 취하고 있다.

8) 정미경(2001), 앞의 글

9) 김영섭 외(1994), 앞의 책, pp.17~18

이들은 종교공동체․학문공동체․시인공동체․군사공동체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고 본다.

둘째, ‘타인과 일체가 되어 협동관계를 맺고자 하는 심성적, 정신적 현 상과 관계’로 개념화 : 맥키버(R. Maclver), 니스벳(R. A. Nisbet), 브라 운웰(B. Brownwell) 등.

이들은 심성적 공동체와 대중사회를 대조적으로 보고 공동체는 일체 감, 심성적 동일, 자발성, 전체성이 특징인 반면 대중사회에서는 소외, 심 성적 단절, 비참여, 분절화가 특징이라고 비교․분석한다.

셋째, ‘지역과 결부된 조직체의 단위’로 개념화 : 포플린(D. E. Poplin), 써스맨(M. B. Susman) 등.

이들은 인간이 공간을 뛰어넘을 수 없기 때문에, 그리고 사회적․심리 적 욕구충족이 근린성을 수반하기 때문에 공동체가 형성된다고 본다. 따 라서 공동체는 무엇보다도 공간적 단위로서 특정한 지역 내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집단으로 간주된다.

이와 같이 힐러리는 현재까지 진행되어온 다양한 분야의 광범위한 논 의를 종합하여 공동체의 개념에 대해 최초로 개념화를 시도하였는데, 그 에 따르면 학자들의 ‘공동체’란 용어 사용에 있어서 공통요소로 지리적 영역, 공동유대, 사회적 상호작용이라는 3가지 요소를 일반적으로 내포하 고 있다고 밝혔다. 따라서 ‘공동체’란 일정한 지리적 영역 밑에서 공동의 유대를 가지고 사회적 상호작용을 하는 인간집단으로 규정되고 있다. 또

이와 같이 힐러리는 현재까지 진행되어온 다양한 분야의 광범위한 논 의를 종합하여 공동체의 개념에 대해 최초로 개념화를 시도하였는데, 그 에 따르면 학자들의 ‘공동체’란 용어 사용에 있어서 공통요소로 지리적 영역, 공동유대, 사회적 상호작용이라는 3가지 요소를 일반적으로 내포하 고 있다고 밝혔다. 따라서 ‘공동체’란 일정한 지리적 영역 밑에서 공동의 유대를 가지고 사회적 상호작용을 하는 인간집단으로 규정되고 있다. 또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