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고급 예시 : 박효신 - 야생화

Ⅳ. 한국어 교육을 위한 노래자료 아카이브 구축

4) 고급 예시 : 박효신 - 야생화

이 곡은 박효신이 2010년 6집 앨범 발표 이후 힘든 시간을 보내다 4년 후인 2014년에 발표한 디지털 싱글앨범 ‘야생화’에 수록된 타이틀곡으로, 앨범 소개에 따르면 추운 겨울 들판에 피어난 야생화처럼 그간의 시련과 어려움을 이겨내고 음악을 통해 다시 한번 비상하겠다는 자전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 작사와 작곡에 모두 참여하였으며 자신을 야생화에 빗대어 고통을 이겨내고 꽃을 피우리라는 의미를 담은 곡이다.

이 곡 역시 선정 기준을 거의 만족시키고 있으나 10번 항목에 대해서는 난이 도가 매우 높은 편이다. 그러나 이 경우 음정을 낮춤으로써 해결될 수 있으며 「 2017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 적용 연구(4차)」요약본 5~6급에 해당하는 개인 신상 등의 주제와 정보 전달하기(묘사하기) 등의 기능을 다룰 수 있어 선정 하게 되었다. 노래 가사는 아래와 같다.

(2) 노래 분석

야 생 화

박 효 신

하 얗 게 피 어 난 얼 음 꽃 하 나 가 달 가 운 바 람 에 얼 굴 을 내 밀 어

아 무 말 못 했 던 이 름 도 몰 랐 던 지 나 간 날 들 에 눈 물 이 흘 러

차 가 운 바 람 에 숨 어 있 다 한 줄 기 햇 살 에 몸 녹 이 다 그 렇 게 너 는 또 한 번 내 게 온 다

좋 았 던 기 억 만 그 리 운 마 음 만

네 가 떠 나 간 그 길 위 에 이 렇 게 남 아 서 있 다

잊 혀 질 만 큼 만 괜 찮 을 만 큼 만

눈 물 머 금 고 기 다 린 떨 림 끝 에 다 시 나 를 피 우 리 라

<표 8> 박효신-야생화 노래 텍스트 중 일부

노래 전체적으로 초급, 중급, 고급 어휘와 문법 표현이 섞여 있고 ‘-던(중급/3 급/전성어미)’, ‘-만(초급/1급/조사)’, ‘-ㄹ 만큼(중급/3급/표현)이 반복된다. 반복 표현상에서만 보면 이 노래의 교육 대상자는 초, 중급에 가까우나 노래 텍스트의 서술 기법이 묘사와 서술 위주이고, 내용 또한 자아 성찰이라는 추상적이고 어려 운 소재를 의인화하여 표현하여 이해에 어려움이 따르며, 반복되지는 않으나 활 용된 어휘나 문법 표현의 난이도가 매우 높은 편이기 때문에 고급 대상자들을 교육하는 노래자료로 적합할 것이다. 급수별 어휘, 문법 사항들을 토대로 분석한

‘야생화’의 1절 노래 텍스트는 다음과 같다.

초급

(3) 추천 학습활동

노래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은 기본적으로 초급과 중급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활용하였을 때 가장 효과가 좋다. 노래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이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하고 어휘나 문법을 익히는 데 적합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위 노래와 같이 철학적 의미를 내포하는 노래의 경우 단순 직역으로 해석해서는 그 뜻을 온전히 이해했다고 보기 힘들다. 한국 사람의 경우 위 노래를 단순히 꽃이 개화하는 이 야기가 아닌 화자가 야생화처럼 여러 시련을 겪고 결국 꽃을 피우리라는 내용으 로 이해할 수 있는 것은 비유 표현에 대한 이해와 맥락에 따른 언어 표현을 이 해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회, 문화 전반에 걸쳐 친숙하지 않은 소재에 대한 이해’와 ‘구어적·

문어적 맥락에 따른 언어 구분’, ‘원어민 화자의 수준에는 이르지 못하나 기능 수 행이나 의미 표현에는 어려움을 겪지 않는 수준’을 평가 기준으로 하는 고급 교 육 대상자들의 경우 단순히 노래 텍스트에서 드러난 어휘나 문법을 익히는 것뿐 만 아니라 그 이상의 의미를 이해할 수 있도록 지도하는 교육이 필요하다. 이에.

교수자는 위 노래를 들려주고 학습자들이 해당 곡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해석이 가능한지 확인하여 다음과 같은 학습활동을 할 수 있다.

김춘수의 꽃은 이름이라는 상징으로부터 만들어지는 존재의 의미를 담고 있는 데 박효신의 야생화 또한 ‘이름도 몰랐던 야생화’가 개화하는 하나의 꽃이 되기 까지의 이야기를 담고 있으므로 이 둘을 비교하여 시와 노래에 담긴 ‘꽃’의 의미 를 분석하는 교육을 할 수 있다. 이후 교수자는 학습자별로 ‘자신과 닮았다고 생 각하는 꽃의 꽃말’을 찾게 한 다음 그것으로 자신을 소개하는 글 또는 시를 작 성, 이후 자신의 꿈을 덧붙여 설명하는 활동을 진행한다. 이를 통해 학습자는 시 와 노랫말의 표현 차이, 두 작품에서 꽃으로 대변되는 인간 본질에 대한 의미 탐 구, 직유와 은유 표현에 대한 이해와 친숙하지 않은 소재에 대한 추상 표현 등을 배울 수 있을 것이다.

<표 10> 아카이빙의 절차 구현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