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고교학점제 교육과정 기준 개발을 위한 델파이 조사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고교학점제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토대로 현행 교육과 정 체제 하에서 고교학점제 교육과정을 편성․운영하는데 따른 어려움을 밝혀내고 교육과 정 구성 형식과 구성 내용에 대해 분석하였다. 구성 형식에 대한 탐구를 통해 고교학점제 를 위한 구성 형식(안)을 개발하고 이를 준거로 교육과정 국제 비교를 실시하여 교육과정 구성 내용 문항을 개발하였다. 교육과정 구성 형식(안)의 타당성 검증과 구성 내용 개발 을 위해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전문가 델파이 조사 연구 결과를 분석하여 고 등학교 교육과정 구성 형식과 구성 내용을 개발하고 최종 고교학점제를 위한 고등학교 교 육과정 기준을 개발하였다.

델파이 방법은 예측하려는 문제에 대하여 전문가들의 견해를 유도하고 종합하여 집단적 판단으로 정리하는 일련의 절차다(이종성, 2001: 7). 델파이 절차는 여론 조사와 협의회의 장점을 결합시킨 방법으로 절차의 반복과 통제된 피드백, 패널의 익명성과 통계적 집단 반응의 특징을 갖는다(이종성, 2001: 30). 델파이 방법은 참여자의 익명성을 보장하기 때 문에 일반적인 면대면 집단 회의에서 발생할 수 있는 주도적 인물에 의해 다수의 의견이 경도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고, 특정 문제에 대하여 자신의 의견을 보완해나갈 수 있 기 때문에 점차로 다수인의 의견이 수렴되는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다(유현실, 2009:

2194). 델파이 절차는 일반적인 여론조사 방법과 협의회 방법의 장점을 결합시킨 방법이 다. 델파이 조사 참여자는 델파이 절차가 반복되는 동안 피드백된 전회의 통계적 집단반 응과 소수의견 보고서를 참고하여 다음 회에 자기 판단을 수정ㆍ보완할 수 있는 기회를 갖는다는 점이 일반 조사절차와 다르다(이종성, 2001: 8). 또한 델파이 조사는 전문가들만 을 대상으로 의견을 수렴하기 때문에 심도 있고 질 높은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

다(이춘식, 2014: 567).

델파이 설문지 작성 과정은 1차 개방형 설문과 2차 이후 구조화된 설문으로 구분할 수 있다. 1차 개방형 설문은 패널들이 변화 항목을 예측하도록 요구하는 것이며, 2차 이후 설 문은 1차 개방형 설문의 반응을 편집하여 구조화된 폐쇄형 문항으로 작성하는 것이다. 1 차, 2차 과정을 거쳐 델파이 설문을 작성할 수도 있지만 1차 질문을 구조화된 설문을 사 용함으로써 효율성을 높일 수도 있다(이종성, 2001: 35).

본 연구에서의 1차 개방형 설문은 현행 국가 교육과정 체제에서 고교학점제를 적용하는 데 따른 난점이 무엇인지를 묻는 문항으로 구성되어야하기 때문에 연구학교 운영 사례와 교육과정 전문가들의 연구 자료 분석에 의해 추출된 고교학점제 적용에 따른 난점과 주요 요소로 대체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1차부터 구조화된 설문을 사용하였다. 연구학교 의 운영 사례와 교육과정 전문가들의 연구 자료에 의해 추출된 고교학점제 적용을 위한 난점과 주요 요소를 토대로 개발한 교육과정 구성 형식(안)에 근거하여 구조화된 폐쇄형 문항으로 작성하였다. 그러나 폐쇄형 문항의 한계를 극복하고 전문가의 다양한 의견을 수 렴하기 위해 각 항목에 대한 수정, 재진술 및 삭제가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연구자가 제시 하지 않은 항목도 추가할 수 있도록 조사지를 구성하였다. 또한 문항별 응답자의 의견을 기술할 수 있도록 작성하였다.

가. 조사 대상

델파이 조사에서 전문가들의 의견을 의사 결정 자료로 이용하는 것은 전문가 의견의 적 절성을 가정한다는 것을 전제하는 것이며, 쟁점이 되는 분야의 의사 결정 과정에서 전문 가의 판단을 이용한다는데 델파이 방법의 논리적 근거를 두고 있다(이종성, 2001: 34). 따 라서 델파이 패널(Delphi panel) 선정이 델파이 조사 시행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일이다.

특히 고교학점제는 우리나라 교육과정사에서 시행해 본 경험이 없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 의 델파이 조사 패널은 교육과정 전문가이면서 고교학점제 관련 연구에 직․간접적인 참 여 경험이 있는 전문가를 필요로 한다.

본 연구에서의 델파이 조사 패널은 석․박사 과정에서 교육과정을 전공하고 교육과정 개발이나 고교학점제 관련 연구에 직ㆍ간접적으로 참여하거나 관련 연구를 수행한 경험이 있는 교수(강사) 및 교원, 고교학점제 관련 연구를 수행하고 있는 대학이나 국책연구기관

연구원, 고교학점제를 담당하고 있는 시․도 교육청 장학사, 고교학점제 연구학교 또는 시 범학교에서 고교학점제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교사 또는 교장(감)을 대상으로 26명을 선 정하였다. 특히 델파이 조사 패널의 직위별 구성은 교수(강사) 및 연구원과 장학사 및 교 원의 비율을 동일하게 구성하여 교수 및 연구직과 고등학교 관련 전문가들의 의견 반영 비율을 고려하였다. 선정된 델파이 조사 패널 구성 및 설문 회수율은 <표 Ⅴ-1>과 같다.

나. 조사 도구

본 연구에 사용될 설문지는 두 영역으로 구분하여 작성하였다. 첫째는 고등학교 교육과 정 구성 형식(안)에 대한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반응 척도는 5단계 Likert 척도를 사용 했으며, 둘째는 교육과정 구성 형식(안)에 따른 내용 개발 또는 기준의 적절성에 대한 응

구분 패널 1차 응답

구성 비율(%)

2차 응답 구성 비율(%)

인원 비율

직위별

교수 5 19.2 19.2 19.2

연구원 8 30.8 30.8 30.8

교장(감), 교사 8 30.8 30.8 30.8

장학사 5 19.2 19.2 19.2

소계 26 100 100 100

전공별

교육과정 전공자 19 73.1 73.1 73.1

교과교육 전공자 7 26.9 26.9 26.9

소계 26 100 100 100

학위별

박사 14 53.9 53.9 53.9

박사과정 수료 9 34.6 34.6 34.6

석사 3 11.5 11.5 11.5

소계 26 100 100 100

<표 Ⅴ-1> 델파이 조사 패널 구성 및 설문 회수율

답을 요구하는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교육과정 내용 개발에 관한 문항은 2개 영역의 8개 구성 요소에 따른 25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특히 고교학점제에 관한 내용은 경험해 보지 못한 새로운 규정이기 때문에 외국의 교육과정 운영 사례를 구성 형식(안)에 따라 비교 분석하여 참고 자료로 제시하였다.

델파이 2차 조사지는 1차 조사 결과를 반영하여 수정․보완하고 일부 문항은 질문을 추 가하였다. 2차 조사지의 구성은 1차 조사지와 동일하나 델파이 패널 별로 작성하였으며, 1 차 조사의 응답률과 본인 응답 사항을 기재하고 델파이 패널 전체의 의견을 수합하여 제 시하였다. 1차 조사에서 응답한 결과와 다르게 응답할 경우에는 그 이유를 기술하도록 하 였으며, 1차 조사에서 제시한 의견 외에 추가적인 의견이 있을 경우 기재할 수 있도록 구 성하였다. 델파이 1차, 2차 조사지는 <부록 1>, <부록 2>와 같다.

다. 조사 과정

델파이 조사는 전문가의 직위별 비율을 고려하여 최종 델파이 패널을 구성한 후 2018년 9월 19일부터 10월 4일까지 1차 조사를 실시하였다. 1차 조사 결과를 분석하여 문항을 수 정․보완하고 1차 조사 응답률과 수합된 의견, 개인별 1차 응답 결과를 포함한 2차 조사 지를 델파이 패널 별로 작성하였다. 2차 조사는 2018년 10월 10일부터 10월 17일까지 델 파이 패널 개인 이메일을 통해 실시하였다.

교육과정 구성 형식을 개발하기 위해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 다. 자료 분석 방법 및 델파이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 자료 분석

본 연구에서는 고교학점제를 위한 고등학교 교육과정 구성 형식(안)의 타당성을 검증하

기 위해 각 문항의 평균, 표준편차 및 내용 타당도 비율(Content Validity Ration; CVR) 을 산출하였다. CVR은 주요 쟁점에 대해 전문가들의 합의된 의견을 양화한 것으로(황준 성 외, 2017: 36) 유의도 .05수준에서 패널 수에 따른 최소값 이상의 CVR 값을 가진 항 목들만이 내용 타당도가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Lawshe, 1975: 567). 본 연구에서의 패널 수는 26명으로 CVR 최소값이 .37 이상이면 내용 타당도가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부록 3> 참조). CVR은 Lawshe(1975: 567)가 제시한 산출 식을 사용하였다.



 



 

여기서 ne는 ‘타당하다’고 응답한 패널들의 수로, 본 연구에서는 5단계 Likert 척도에서

‘대체로 타당하다(4점)’와 ‘매우 타당하다(5점)’에 응답한 응답자 빈도수를 의미하며, N은 전체 델파이 패널 수를 의미한다.

나. 델파이 조사 결과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개발한 고등학교 교육과정 구성 형식(안)에 대한 델파 이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구성 형식에 대한 내용 타당도 비율(CVR)

델파이 조사에 참여한 패널 26명은 1차 조사와 2차 조사에 전원 참여하여 응답하였다.

그러나 구성 형식의 타당도로 검증에서 일부 항목은 응답을 하지 않은 경우가 나타나서 응답 인원에 따라 항목별 내용 타당도 비율(CVR) 최소값 적용을 달리하였다. 1차 조사에 서는 26명이 전원 응답하여 CVR 최소값 .37이상이면 타당도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그러 나 2차 조사에서는 ‘1-2-2. 비교과(창의적 체험활동)의 이수 규정(평가 유무)’, ‘2-2-3. 이 수 면제(이수 인정 평가)’, ‘2-3-3. 학점 취득을 위한 과목 최소 이수 기준’, ‘2-4-3. 학점 회복에 의해 취득한 성취도의 학교생활기록부 기재 방법’은 24명이 응답(<표 Ⅴ-2>의 음 영 부분 참조)하여 내용 타당도 비율(CVR) 최소값은 .42를 적용했으며, 나머지 22개 항

목은 25명이 응답하여 CVR 최소값 .37이상이면 타당도가 있다고 판단하였다(<부록 3> 참

주1) *( )은 CVR<.37 이다.

주2) (1-2-2., 2-2-3., 2-3-3., 2-4-3의 2차 조사 결과)은 CVR 최소값 .42(응답자 24명)이다.

표준 편차는 1.0 이상의 항목이 델파이 1차 조사 결과 8개였으나 2차 조사 결과는 5개 항목으로 감소하였다. 항목별 표준 편차의 차이는 25개 항목 중 4개 항목을 제외한 21개

2-2-3. 이수 면제(이수 인정

평가) 4.04 .96 .46 4.21 .83 .67

2-2-4.

학점 인정 기준 및 범위

2-2-4-1. 학점 인정

2-2-4-1. 학점 인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