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경력성공 준거 모형의 타당도

사무직 근로자의 경력성공에 대한 인식 수준을 분석하기에 앞서 이 연구에서 고안한 사무직 근로자의 경력성공 준거가 타당한지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경력성공 준거 모형의 타당도는 크게 두 단계로 구분되는데, 첫 번째 단계는 경력성공 준거 항목의 타당도를 확인하는 과정이다. 이는 연구방법의 측정도구에서 진행한 타당도 분석과 같은 것으로 경력성공에 대한 인식 측정도구의 타당도를 확인하는 것을 의미한다. 두 번째 단계는 경력성공의 영역의 타당도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는 각 준거 항목들을 이 연구에서 구분한 네 가지 영역으로 수렴될 수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을 의미한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일반적으로 활용되는 반영적 측정모델(reflective measurement model)이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하여 조형적 측정모델(formative measurement model)을 바탕으로 타당도 분석을 진행하였다.

경력성공에 대한 인식 측정도구의 측정모형 타당도는 연구방법의 측정도구

절에서 확인한 바 있다. 여기서는 경력성공 준거 항목의 변별타당도를 추가적으로 검토하기 위하여, 이 연구에서 고안한 55개 문항이 12개 요인으로 타당하게 구분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요인 모델과 12요인 모델을 설정하고, 적합도가 가장 좋은 모델을 최종 모델로 선정하는 경쟁모델전략을 사용하였다.

모델 1은 55개의 측정문항이 하위요인 없이 경력성공이라는 하나의 요인으로 수렴된다고 가정한 1요인 모델이었으며, 모델 2는 55개의 측정문항이 12개의 요인으로 구분되는 것으로 가정한 12요인 모델이었다.

경력성공 중요도 인식에 대한 측정 모형을 비교한 결과, 1요인 모델은 RMSEA, GFI, CFI, TLI가 모두 적합하지 않은 반면, 경력성공 준거 항목을 포함한 12요인 모델의 경우 적합도 지수가 기준에 부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경력성공 성취도 인식에 대한 측정 모형 비교에서도 마찬가지로 나타났다(<표

Ⅳ-4> 참조). 따라서 이 연구에서 고안한 경력성공에 대한 인식 측정도구 55개 문항은 12개의 준거항목으로 수렴되는 것이 타당하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Model χ2 df RMSEA RMR GFI CFI TLI CMIN/df 중요도 1요인모델 15718.515 1431 .118 .084 .424 .473 .453 10.984

12요인모델 3890.525 1364 .051 .037 .825 .907 .899 2.852 성취도 1요인모델 18155.819 1431 .128 .104 .409 .508 .490 12.688

12요인모델 4196.867 1364 .054 .053 .810 .917 .909 3.077

<표 Ⅳ-4> 경력성공에 대한 인식의 측정모형 비교

두 번째 단계에서는 12개의 경력성공 준거 항목이 4개의 영역으로 타당하게 구분되는지 확인하였다. 조형지표를 활용한 측정모형의 확인적 요인분석 타당도는 크게 2가지 기준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첫째, 측정지표에서 잠재변인으로 가는 경로계수(outer weight) 값이 유의미하여 수렴타당도를 충족해야 한다. 둘째, 조형지표들과 연구모형에 존재하는 모든 잠재변수들과의 상관계수(cross loadings)를 구해서 각각의 조형지표와 해당 조형개념과의 상관계수가 다른 잠재변수들과의 상관계수보다 모두 커 판별타당도를 충족해야 한다.

<표 Ⅳ-5>는 경력성공 준거 모형의 수렴타당도를 보여주고 있다. 이는 각 측정지표에서 잠재변인으로 가는 경로계수(outer weight)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지를 나타내는데, 경로계수의 범위는 중요도의 경우 .170-.746, 성취도의 경우 .215-.710으로 모든 경로계수가 .05 수준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수렴타당도를 충족하였다.

잠재변수 측정

[그림 Ⅳ-1]은 SmartPLS 프로그램을 통해 조형지표로 구성된 경력성공 준거와 영역의 경로모형을 제시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경력성공 준거모형의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외적 성취에서 내적 성취, 외적 정서에서 내적 정서로, 내적 성취에서 내적 정서로의 경로를 임의로 연결하였다. <표 Ⅳ-5>에서 제시한 것과 같이 중요도 인식과 성취도 인식 모두에서 경력성공 준거에서 영역으로 가는 각각의 경로계수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이 연구에서 설정한 경력성공 준거 모형이 타당하다고 할 수 있다.

[그림 Ⅳ-1] 조형지표를 활용한 경력성공 준거의 타당도 분석모형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