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G. 대상자의 감정노동, 소진, 공감만족과 환자안전관리활동의 관계

Ⅵ. 결론 및 제언

A. 결론

본 연구는 응급실 간호사의 감정노동, 소진, 공감만족과 환자안전관리활동의 정도를 확인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파악하여 환자안전관리활동을 증진시키기 위한 중재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된 횡단적 상관조사연구이다.

응급실 간호사의 감정노동은 5점 만점에 평균 3.63점이었으며, 하위영역에서 감정노동의 빈도가 3.85점으로 가장 높았다. 응급실 간호사의 소진은 50점 만점 에 평균 30.35점이었으며, 공감만족은 평균 30.89점이었다. 응급실 간호사의 환자 안전관리활동은 5점 만점에 4.05점이었으며, 하위영역에서 감염예방 4.23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안전한 환경이 3.56점으로 가장 낮았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응급실 간호사의 감정노동의 차이는 직위, 응급실 경력, 응급의료전달체계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소진의 차이는 응급실 경력, 응급의 료전달체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공감만족의 차이는 연령, 총 임상경력, 응급실 경력, 응급의료전달체계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환자안전관리활동은 직위, 총 임상경력, 응급실 경력, 병원 내 환자안전과 관련된 소모임, 안전위원회와 같은 활동에 참여한 경험 유무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응급실 간호사의 감정노동, 공감만족, 소진과 환자안전관리활동의 관계를 살 펴 본 결과, 감정노동, 하위영역인 감정표현 주의정도, 감정의 부조화는 공감만족 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소진과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 났다. 공감만족과 소진 간에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환자안전관리 활동과 감정노동, 하위영역인 감정노동 빈도와 공감만족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 가 있었고, 소진과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응급실 간호사의 감정노동과 소진, 공감만족은 환자안전관리 활동과 유의한 관련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B. 제언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1. 응급실 간호사가 감정노동에 적절히 대처하고 소진을 감소시키기 위한 스트 레스 관리 프로그램, 적절한 휴식과 보상, 자기주장훈련과 같은 중재를 적용 하고 간호부서 관리차원에서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2. 응급실 간호사의 공감만족을 높이기 위한 자기개발과 역량증진을 위한 지지 적 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하여 그 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연구를 제언한다.

3. 응급실 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활동과 관련된 다양한 요인들을 규명하는 후속 연구를 제언한다.

참고문헌

강정숙, 임지영(2015). 임상간호사의 회복탄력성이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에 미치 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5(11), 263-273.

강하나(2017). 혼합연구방법론을 이용한 응급실 간호사의 전문직 삶의 질과 돌 봄의 의미.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국가법령정보센터. www.law.go.kr. 환자안전법 법률 제13113호.

금주라(2016).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 조직몰입과 환자안전관리활동의 관 계.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경기.

김가영(2018). 수술실 간호사의 폭력경험, 사회적 지지 및 전문직 삶의 질 간의 관계. 부산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부산.

김남수(2002). 종합병원 응급실 의사와 간호사의 탈진(Burn-out)요인에 관한 연구. 병원경영학회지. 7(3). 1-24.

김명선(2012). 응급실 간호사의 환자안전에 대한 인식과 영향요인. 울산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울산

김미로(2017). 응급실 간호사의 감정노동, 전문직 자아개념, 자기 효능감, 사회 적지지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공공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김미정, 김종경(2017). 응급실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 환자안전역 량, 안전간호활동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7(10), 268-279.

김민정(2008). 임상간호사가 경험하는 폭력의 유형과 폭력 후 대응양상. 한양대 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김수정(2011). 임상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과 소진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김수진(2009). 암환아를 간호하는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 소진. 서 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김신, 김정혜. 박정윤, 서은영, 양화정, 이수연, 이영신, 전미진, 이순행, 김경옥 (2010). 일개 종합병원 종양간호사의 전문직 삶의 질. 임상간호연구.

16(3), 145-155.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지, 19(4), 525-535.

배연희, 이태화(2015). 병원간호사의 폭력경험과 전문직 삶의 질과의 관계. 간호 행정학회지. 21(5), 489-500.

백다원, 염영희(2012). 임상간호사의 감정노동과 소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 와 감성지능의 효과. 간호행정학회지, 18(3), 271-280.

변대식(2009). 임상간호사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감정노동을 중심으로.

간호행정학회지, 15(3), 444-454.

서샘터(2018). 중소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동 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부산

성기월(2012). 노인요양시설 간호사와 병원간호사의 감정노동과 직무만족 비교.

노인간호학회지, 14(1), 40-49.

손명하(2014). 외래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과 안전간호활동 수행 정 도, 한양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송윤정(2011). 간호사의 감정노동이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가톨 릭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경기.

신은화(2014).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 인식과 안전간호 활동에 관한 연구. 강릉 원주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강원.

신주희(2015). 응급실 간호사의 회복탄력성, 공감만족과 공감피로.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경기.

신해진, 김계하(2015). 정신간호사의 감정노동과 전문직 삶의 질. 보건사회연구, 35(4), 190-216.

안미경(2003).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건강실천행위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양야기(2011). 간호사의 소진과 감정노동 및 자기 효능감의 연구. 간호행정학회 지, 17(4), 423-431.

양은진(2016). 중환자실 간호사의 불안이 전문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서울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오명옥, 성미혜, 김양원(2011). 응급실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 피로, 직무 만

족 및 조직 몰입. 임상간호연구. 17(2). 215-237.

이금옥(2019). 간호관리자의 리더십과 환자안전관리활 활동에 관한 연구. 경희

이지은(2013). 응급실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도와 안전관리활동 수

영향.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대구.

주은아, 이주영, 윤정희, 안성희(2018). 응급실 간호사의 극복력과 전문직 삶 영

치는 영향. 신라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부산.

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2004). Hospital Survey on Patient Culture. Retrieved from

http://www.ahrq.gov/qual/patientsafetyculture/hospscanform.pdf.

Brotheridge, C. M. & Grandey, A. A.(2002). Emotional labor and burnout :Comparing two perspectives of "people work". Jounal of Vacational Behavior. 60(1), 17-39.

Alves, D. F. S. & Guirardello, E. B.(2016). Safety climate, emotional exhaustion and job satisfaction among Brazilian paediatric professional nurses. International Nursing Review. 63(3), 328-335.

Chase, M.(2005). Emergency department nurses' lived experience with compassion fatigue. Florida State University, master's thesis.

Tallahassee, Florida. Retrieved from

https://pdfs.semanticscholar.org/3baf/deb53ee4b043d006acc07c41ba 93b6ba9b70.pdf

Dominguez-Gomez, E. & Rutledge, D. N.(2009). Prevalence of secondary traumatic stress among emergency nurses. Journal of Emergency Nursing. 35, 199-204.

Elder N. C., Brungs S. M., Nagy M., Kudel I. & Render M. L.(2008).

Nurses' perceptions of error communication and reporting in the intensive care unit. Journal of Patient Safety. 4(3). 162-168.

Figley C. R.(1995). Compassion fatigue: Coping with secondary traumatic stress disorder in Those who treat the traumatized. NY. Brunner/

Routledge. Retrieved from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326273881_COMPASSION_

FATIGUE_Coping_with_Secondary_Traumatic_Stress_Disorder_in_Th ose_Who_Treat_the_Traumatized_NY_BrunnerRoutledge,

Grandey, A.(2003). When "the show must go on": Surface acting and deep acting as determinants of emotional exhaustion and peer-rated service delivery.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46(1), 86-96.

Healy, S., & Tyrrell, M. (2011). Stress in Emergency Department:

Experiences of nursed and doctors. Emergency Nurse, 19(4).

31-37.

Hochschild, A. R.(1979). Emotion work, feeling rules and social structure. American Journal Work Environment, 24(3), 43-48.

Hooper, C., Craig, J., Janvrin, D. R., Wetsel, M. A. & Reimels, E.(2010).

Compassion satisfaction, burnout, and compassion fatigue among emergency nurses compared with nurses in other selected inpatient specialties. Jounal of Emergency Nursing, 36(5), 420-427.

Hunsaker, S., Chen, H. C., Maughan, D., & Heaston, S.(2015). Factors that influence the development of compassion fatigue, burnout, and compassion satisfaction in emergency department nurses.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47(2), 186-194.

Joinson, C.(1992). Coping with compassion fatigue. Nursing, 22(4), 116-122.

Kelly, L., Runge, J., & Spencer, C.(2015). Predictors of compassion fatigue and compassion satisfaction in acute care nurses.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47(6), 522-528.

Lewing, K. A., & Dollard, M. F.(2003). Emotional dissonance, emotional

exhaustion and job satisfaction in call centre workers. European Journal of Work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12(4), 366-392.

Lombardo, B. & Eyre, C.(2011). Compassion fatigue: A nurse's primer. consequences of emotional labor.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1(4), 986-1010.

Smith, P., Pearson, P., & Ross F.(2009). Emotions at work: what is the link to patient and staff safety? Implications for nurse managers in the NHS.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17(2), 230-237.

Potter, C.(2006). To what extent do nurses and physicians working within the emergency department experience burnout: A review of the literature. Australasian Emergency Nursing Journal, 9(2), 57-64.

Potter, P., Deshields, T., Divanbeigi, J., Berger, J., Cipriano, D., Norris, L., & Olsen, S.(2010). Compassion fatigue and burnout: Prevalence among oncology nurses. Clinical Journal of Oncology Nursing, 14(5), E56-E62.

Stamm. B. H.(2002). Measuring compassion satisfaction as well as fatigue : Developmental history of the Compassion Satisfaction and Fatigue Test. Retrieved from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232476002_Measuring_com passion_satisfaction_as_well_as_fatigue_Developmental_history_of_the _Compassion_Satisfaction_and_Fatigue_Test/download.

Stamm, B. H.(2010). The concise ProQOL(Professional Quality of Life

Scale: Compassion Satisfaction and Compassion Fatigue) Manual 2nd Ed. Pocatello, ID:ProQOL.org. Retrieved from http://www.proqol.org.

The Joint Commission(2011). 2011-2012 National Patient Safety Goals.

Retrieved from

https://iuhealth.org/images/blo-doc-upl/PatientSafetyGoals20111.pdf World Health Organization(2009). Health Topics Patient Safety,

Retrieved from http://www.who.int/topics//patient-safety.

Yang, F. H. & Chang, C. C.(2008). Emotional labour,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st clinical and nurses : A questionnaire survey.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45(6), 879-887.

Zarf, D. & Holz, M.(2006). On the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of emotion work in organizations. European Journal of Work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15(1). 1-28.

안녕하십니까?

저는 중앙보훈병원 응급실 간호사이자 현재 아주대학교 대학원 응급전문 간호전공 석사과정에 재학 중인 신지선입니다.

석사학위 논문을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합니다.

본 연구의 제목은 ‘응급실 간호사의 감정노동, 소진, 공감만족과

환자안전관리활동의 관계’이며, 응급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감정노동, 전문직 삶의 질, 환자안전관리활동의 정도를 파악하여 이들 간의 관계를 파악하여 궁극적으로 응급실 내 안전사고 감소 및 예방하고 환자안전관리활동의 수준을 증진시켜 환자안전에 기여하고자 시행하게 되었습니다.

귀하께서 성실히 응답해 주신 답변은 귀중한 자료가 될 것입니다.

설문조사는 약 15분가량 소요되며 각 문항에 빠짐없이 솔직하고 성실한 답변을 부탁드립니다. 귀하께서 주신 응답 자료는 무기명으로 처리되어 개인정보가 철저히 비밀보장이 될 것이며, 연구 이외의 목적으로는 사용하지 않을 것입니다. 귀하의 설문 참여여부 결정은 자율적으로 결정하는 것이며,

설문조사는 약 15분가량 소요되며 각 문항에 빠짐없이 솔직하고 성실한 답변을 부탁드립니다. 귀하께서 주신 응답 자료는 무기명으로 처리되어 개인정보가 철저히 비밀보장이 될 것이며, 연구 이외의 목적으로는 사용하지 않을 것입니다. 귀하의 설문 참여여부 결정은 자율적으로 결정하는 것이며,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