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V. 실증분석 자료

Ⅴ. 결론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가구에 있어서 나이만을 고려한 경우의 부와 소비의 증 가율과 세대효과까지 고려한 경우의 부와 소비의 증가율을 추정해보고, 생애주기 가설 이론과 실증적으로 일치하는 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또한 개별가구 자료를 이용하여 한국 가구의 가구별 저축률을 추계해보고, 기대수명이 길어짐에 따라 저축률이 어느 정도 감소하는 것인지 알아보는 것이다.

1990년, 1992년, 1994년, 1996년, 1998년, 2000년 2년간의 『도시가계조사자료』

를 이용하여 개별 가구의 부와 소비액을 추계하고, 각 세대별 평균을 이용하여 여러 해에 걸쳐서 연결하여 만든 자료를 하나의 대표적인 가구로 시간에 따라 관측하는 Synthetic Cohort 방법을 사용하여 부와 소비의 축적의 변화분을 살펴 보았고, 개별 가구의 부를 이용하여 세대효과의 크기를 측정하였고, 세대와 교육 수준별로 나이가 부의 증가율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았다. 또한, 개별가구의 저 축률을 구하고, 기대수명의 확장으로 인한 저축률 감소폭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주요 내용 및 1990년, 1992년, 1994년, 1996년, 1998년, 2000년의

『도시가계조사자료』의 자료 중 20,438가구를 대상으로 한 부, 소비, 저축률에 대하여 추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세대효과를 고려하지 않는 생애주기가설에 의해 나이로 추정된 경우 52 세 이후에 부가 감소하였고, 가구주의 성별, 교육정도, 지방과 서울에 대한 더미 변수를 넣고 추정한 경우는 60세 이후에 부가 감소하였다.

둘째, 생애주기가설에 따라 연금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 60세 이후의 부의 처분 율은 0.6%~1%정도임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세대 다항식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음의 처분율을 보여주지는 않고, 60세 이후 부의 증가율이 꾸준히 일정함을 보여 주었다.

셋째, 태어난 해의 세대효과를 본 결과, 세대효과는 0.8%~0.9%정도로 증가하 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육수준별로 추정해 본 결과, 세대효과를 고려하지 않으면 초등학교, 중 학교 및 고등학교, 대학교 이상인 경우 각각 61세, 53세, 51세에 부가 감소하였지

만, 세대효과를 고려하는 경우 모든 교육수준에서 부는 음의 처분율을 보여주지 않았다.

다섯째, 세대효과를 도입하지 않는 경우 소비는 51세 이후 감소하였으나 세대 효과를 도입하는 경우 생애동안 증가하는 형태를 보여주었다. 그리고, 부와 실질 가처분 소득도 큰 영향을 나타내었다.

여섯째, 한국 가구의 경우 부가 1% 증가하면 저축률은 1% 감소하였고, 가구주 의 예상 나머지 수명이 1년씩 늘어날 때마다 저축률이 0.8%만큼 증가하고 있었 다.

본 연구의 한계점을 살펴보면, 대부분의 자료들이 저량변수들이 필요한데 유량 변수로부터 추계되어 정확성이 결여될 수 있으며, 또한 연금이라든가 유산등이 부의 축적과 소비, 저축에 미치는 관계분석은 미래의 연구과제로 남겨두기로 한 다.

참고문헌

강이주 (1988), “선택성 소비지출의 변동을 통한 소비패턴 고찰,”

대한가정학회지, 26권 4호, 113-127.

남주하․여준형 (2003),ꡒ한국가구에 대한 소비의 유동성제약 검정”, 국제경제연 구, 제9권 제3호, 209-233.

박대근․이창용 (1997), “한국의 저축률 추이에 관한 연구: Synthetic Cohort분 석,” 한국조세연구원, 연구보고서, 97-06.

박대근․이창용 (1998), “금융자산과 소비와의 관계분석,” 통계청, 1996 가구소비 실태조사 종합분석 사업 보고서, 5-2.

이명훈 (1992), “우리나라 소비지출의 행태분석,” 한국은행 조사통계월보, 9권 1 호: 3-24

이민원 (1999), “한국의 예비적 저축에 관한 패널 분석,” 국제경제연구, 5권 1호, 65-89.

이우헌 (2001), “외환위기와 한국의 가계소비: 예비적 저축을 중심으로,” 국제경제 연구, 7권 2호, 57-77.

최희갑 (2003), “불확실성하에서의 소비지출에 대한 실증분석,” 국제경제연구, 9권 1호, 187-206.

통계청, 『도시가계연보』, 각 연도.

통계청, 『장래인구추계결과』, 2001년.

통계청, 『가구소비실태조사』, 1991, 1996, 2000년도.

한국은행, 『국민계정』, 2000년도.

한국은행, 『월중 금융시장동향』, 2003년 5월호.

한국은행, 『조사통계월보』, 각 연도.

Ando, A. and F. Modigliani(1963), “The Life-Cycle Hypothesis of Saving:

Aggregate Implications and Tests,” American Economic Review 53, 55-84.

Bernheim D., Shleifer A.,and L. H. Summers(1985), “The Strategic Bequest Motive,”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93, 1045-1076.

Brandolini, Andrea, and Luigi Cannari (1994), “Methodological appendix: the Bank of Italy's Survey of Household Income and Wealth,” in Saving and the Accumulation of Wealth. Essays on Italian Household and Government Saving Behavior, A. Ando, L. Guiso and I. Visco, ed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Brugiavini, Agar (1987), “Empirical evidence on wealth accumulation and the effects of wealth: an application to Italian cross-section data,”

Financial Markets Group, Discussion Paper No.20, London School of Economics.

Caballero, Ricardo (1991), “Earnings uncertainty and aggregate wealth accumulation,” American Economic Review 76, 676-91.

Carroll, Christopher (1994), “How Does Future Income Affect Current Consumption?,” Journal of Economics 109, 111-148.

Collins, Susan M., (1988), “Savings and Growth Experiences of Korea and Japan,” Journal of Japanese and International Economics 2, 328-350.

Davies, James D., (1981), “Uncertain lifetime, Consumption and Dissaving in Retirement,”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89, 561-77.

Deaton, Angus (1985), “Panel Data from Time Series of Cross Sections,”

Journal of Econometrics 30, 109-126

Deaton, Angus (1995), “Growth and saving: What do we know, what do we need to know, and what might we learn?,” Princeton University, mimeo.

Deaton, Angus, and Christina H. Paxson (1994), “Saving, aging and growth in Taiwan,” in Studies in the Economics of Aging, D. Wise ed.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Deaton, Angus, and Christina H. Paxson (1997), “The effects of economic and

population growth on national saving and inequality,” Demography 34, 97-114.

Denton, Frank T., Dean C. Mountain, and Byron G. Spencer (1999), “Age, trend, and cohort effects in a macro model of Canadian expenditure patterns,” Journal of business and Economic Statistics 17, No.4.

Diamond, Peter A., and Jerry A. Hausman (1984), “Individual Retirement and Savings Behavior,” Journal of Public Economics 23, 81-114.

Ehrlich, Issac and Lui, Francis T. (1991), “Intergenerational Trade, Longevity, and Economic Growth,”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99, 1029-59.

Gourinchas, Pierre-Oliver and Jonathan A. Parker (1999), “Consumption over the Life Cycle,” National Bureau of Economic Research., Working Paper No.7271.

Guiso, Luigi, and Tullio Jappelli (1996), “Intergenerational Transfers, Borrowing Constraints and the Timing of Home Ownership,” Temidi Discussione n.275. Rome: Bank of Italy.

Hubbard, Glenn R., Jonathan Skinner, and Stephen P. Zeldes (1994), “The Importance of Precautionary Motives in Explaining Individual and Aggregate Saving,” Carnegie-Rochester Conference Series on Public Policy 40, 59-126.

Hurd, Michael D. (1987), “Savings of the Elderly and Desired Bequests,”

American Economic Review 77, 298-312.

Hurd, Michael D. (1989), “Mortality Risk and Bequests,” Econometrica 57, 779-813.

Jappelli, Tullio (1999), “The Age-wealth Profile and the Life-cycle Hypothesis:

A Cohort Analysis with a Time Series of Cross-sections of Italian Households,” Review of Income and Wealth 45, 7-75.

King, Mervyn, and Louis Dicks-Mireaux (1982), “Asset Holdings and the Life-cycle,” Economic Journal 92, 247-67.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