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본 연구는 국내의 온라인 뉴스 사이트, 블로그, 카페, SNS, 게시판 등 인터넷을 통해 수집된 소셜 빅데이터를 주제분석과 감성분석 기술로 분 류하고 데이터마이닝의 연관성분석과 의사결정나무분석 방법을 적용하 여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 국민의 담배에 대한 위험요인을 예측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담배 관련 버즈는 월별로 오전 7시부터 증가하여 오전 11시 이후 감소하고 오후 7시 이후 증가하여 밤 12시 이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 다. 요일별로 월요일, 목요일, 화요일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2015년 담뱃값 인상은 청소년보다 성인에게 더 많은 영향을 미 친 것으로 나타났고, 2016년은 2015년보다 담배의 위험이 증가한 것으 로 나타났다. 담뱃값 인상의 금연 정책이 시행된 2015년 담배를 애호적 으로 생각하는 감정(위험군)을 나타내는 버즈는 2014년에 비해 5.6% 포 인트 감소한 28.4%로 나타났다. 하지만 2016년 위험군 버즈양은 2014 년보다 1.3% 포인트 증가한 35.3%로 나타났다. 연도별 1/4분기 담배 판 매량 변화를 살펴보면 2014년 122억 개비에서 2015년 71억 개비로 2014년 대비 41.4% 감소했지만 2016년은 105억 개비로 2015년에 비 해 47.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KT&G, 2016. 9. 5.). 마찬가지로 최

구분 노드 이익지수 누적지수

노드(n) 노드(%) 이익(%) 지수(%) 노드(n) 노드(%) 이익(%) 지수(%)

12 207 0.7 0.9 141.6 564 1.8 2.7 147.5

11 1371 4.4 5.8 132.4 1935 6.2 8.4 136.8

9 797 2.5 3.2 127.0 2732 8.7 11.7 133.9

8 1359 4.3 4.6 106.9 4091 13.0 16.3 125.0 7 27291 87.0 83.7 96.3 31382 100.0 100.0 100.0

병호와 이근재(2015)의 연구에서 담배 가격 인상 충격에 대한 1인당 담 배 소비량의 단기 변동 과정을 살펴보면 가격 인상 충격에 따라 담배 소 비량은 즉각적으로 상당히 하락하지만 대체로 5개월 정도 지나면 가격 충격이 소비량에 미치는 효과가 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담배가 중독성이 있고, 주기적으로 피울 수 있으며, 손쉽게 살 수 있기 때문에 담 뱃값 인상의 금연 정책 효과의 지속성이 오래가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셋째, 버즈에서 담뱃값 인상, 흡연규제 등이 동시에 언급되면 일반군이 될 확률이 증가하며, 담뱃값 인상만 언급되어도 위험군을 감소시키는 것 으로 나타났다.

넷째, 전자담배의 언급은 일반군보다 위험군의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 타났다. 2014년 담뱃값 인상 발표 이후 전자담배 판매량이 급증하였고, 2015년 1월에서 4월 전자담배기기 수입 금액은 전년 대비 24배, 전자담 배 액상은 15배 이상 급증하였다(한국소비자원, 2015). 전자담배는 흡입 정도에 따라 니코틴 흡입량이 달라지기 때문에 흡연자 스스로 유입량을 예측하기가 어렵고, 안전성에 대한 의혹도 제기되며, WHO는 전자담배 의 안전성과 금연 효과가 과학적으로 증명된 것은 아니기 때문에 단순 금 연보조제로 사용해서는 안 된다고 권고하고 있다(최성은, 2015; WHO, 2014).

보건복지부는 가격 인상 정책 이후로 담뱃갑 경고 그림과 경고 문구 삽 입, 금연치료서비스, 1:1 맞춤형 금연상담서비스, 담배 광고 및 판촉에 대 한 규제 강화, 전자담배 사용 규제 강화, 소포장 금지 및 가향 첨가 규제, 금연지원서비스 및 금연 캠페인 강화 등의 비가격 정책을 시행해 왔다(기 획재정부, 보건복지부 보도자료, 2016. 5. 10.). 또한 지난해 말 흡연의 폐해를 몸으로 표현하는 ‘발레 광고’와 흡연은 스스로 질병을 구입한다는 콘셉트의 ‘폐암 하나 주세요’, 실제 흡연의 후유증으로 고통받는 환자와

가족의 모습을 보인 광고는 TV뿐만 아니라 SNS 등에서 큰 이슈가 되었 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연도별 1/4분기의 버즈를 분석했기 때문에 각 연도 전체를 대표하기에는 제한점이 따른다.

끝으로 금연 정책의 효과에 대한 대국민 조사와 더불어 소셜미디어에 서 수집된 빅데이터의 활용과 분석을 병행할 경우 정부의 금연 정책에 대 한 예측 및 평가의 신뢰성이 더욱 제고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국민들 이 금연에 적극적으로 동참할 수 있도록 소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담배 를 애호적으로 생각하는 위험군을 감소시킬 수 있는 SNS 홍보가 강화되 어야 할 것이다.

강은정, 이재희. (2011). 성인 흡연자의 금연의향 담배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요 인. 보건교육 건강증진학회지, 28(2), pp.125-137.

기획재정부, 보건복지부 보도자료. (2016. 5. 10.). 비가격 금연정책 추진방안.

보건복지부 보도자료.

박희창. (2010). 연관규칙 마이닝에서의 평가기준 표준화 방안. 한국데이터정보 과학회지, 21(5), pp.891-899.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2015). 국민건강통계 2014: 국민건강영양조사 Ⅵ.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보건복지부 보도자료. (2014. 9. 11.). 범정부, 「금연 종합대책」 발표. 보건복지 부 보도자료.

보건복지부, 한국건강증진개발원. (2016). 2016년 지역사회 통합건강증진사업 안 내: 지역사회 중심 금연지원 서비스. 보건복지부, 한국건강증진개발원.

이선미, 윤영덕, 백종환, 현경래, 강하렴. (2015). 주요건강위험요인의 사회경제적 영향과 규제정책의 효과 평가. 국민건강보험 건강보험정책연구원.

정금지, 윤영덕, 백수진, 지선하, 김일순. (2013). 한국인 성인 남녀의 흡연관련 사망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지, 38(2), pp.36-48.

최병호, 이근재. (2015). 우리나라 담배수요함수의 추정과 담뱃세 정책에 관한 함의. 경제학회지, 63(4), pp. 53-80.

최성은. (2015). 전자담배 관리방안 및 전자담배 제세부담금 개편방안연구. 한국 조세재정연구원.

한국소비자원. (2015). 전자담배 안전실태조사. 한국소비자원.

KT&G. (2016. 9. 5.). 경영실적 2014년 1분기-2016년 1분기. KT&G IR자료실.

Brewer, N. T., Hall, M. G., Noar, S. M., Parada, H., Stein-Seroussi, A., Bach, L, E, & Hanley, S., et al. (2016). Effect of Pictorial Cigarette pack warnings on changes in Smoking Behavior. JAMA Intern Med, 176(7), pp.905-912.

Campaign for Tobacco-Free Kids. (2013). Increasing the federal tobacco tax reduces tobacco use, Washington DC.

Carter, B. D., Abnet, C. C., Feskanich, D., Freedman, N. D., Hartge, P., Lewis, C. E., Ockene, J. K., et al. (2015). Smoking and mortality:

Beyond established causes.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72, pp.631-640.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4). Cigarette prices and smoking prevalence after a tobacco tax increase-Turkey, 2008 and 2012. MMWR Morbidity and Mortality Weekly Report, 63, pp.457-461.

Hammond, D., Fong, G. T., McDonald, P. W., Brown, K. S. and Cameron, R. (2004). Graphic Canadian cigarette warning labels and adverse outcomes.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94, pp.1442-1445.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2014).

Health data 2014. Paris, OECD.

Thun, M. J., Carter, B. D., Feskanich, D., Freedman, N. D., Prentice, R., Lopez, A. D., & Hartge, P. et al. (2013). 50-year trends in smoking-related mortality in the United States.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68, pp.351–364.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8). Report on the global tobacco epidemic – The MPOWER package. WHO,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4). Electronic nicotine delivery systems.

WHO Framework Converntion on Tobacco Control,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5). WHO REPORT ON THE GLOBAL TOBACCO EPIDEMIC, 2015: Raising taxes. on tobacco. WHO, Geneva.

Zheng, W., McLerran, D. F., Rolland, B. A., Fu, Z., Boffetta, P., He, J.,

& Gupta, P. C., et al. (2014). Burden of total and cause-specific mortality related to tobacco smoking among adults aged ≥ 45 years in Asia: A pooled analysis of 21 cohorts. Public Library of Science Medicine, 11, e1001631.

빅데이터 분류를 위한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