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결론 및 제언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46-76)

E. 대상자의 환자안전관리활동 영향요인

Ⅵ. 결론 및 제언

VI. 결론 및 제언

B. 제언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수술실 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활동 향상에 대한 표준화된 교육프로그램 을 개발 및 적용하는 중재 연구를 제언한다.

둘째, 수술실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간호전문직관과 팀워크를 향상시킬 수 있 는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으로 환자안전관리활동에 미치는 효과를 평 가하는 연구를 제언한다.

셋째, 간호근무환경을 포함한 인적 및 조직적 요인들이 다양한 수준의 병원 환경에서 근무하는 수술실 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활동에 미치는 영향 을 파악하기 위한 반복연구를 제언한다.

참고문헌

강정희(2013). 간호사가 인지한 환자안전사고 및 간호의 질과 병원간호근무환경 의 관련성.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대전.

강혜영 외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본부 수술간호과 (2013). 수술실 간호업무행위분 석, 수술간호 21(1), 93-118.

권성복, 조경숙, 박영숙, 김동옥, 이여진, 이은희(2008). 수술실 간호사의 간호업 무 분석. 간호행정학회지, 14(1), 72-84.

권은영, 박경연(2019). 중소병원 수술실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 조직의사소 통만족 및 환자안전관리활동에 대한 영향요인. 보건사회논집, 39(1), 428-452.

김가은(2020). 수술실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 팀워크인식이 환자안전관리 활동에 미치는 영향. 군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전라북도.

김나래(2015). 중환자실 간호사의 전문직관, 조직 임파워먼트와 환자안전문화와 의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김미라, 권명순(2019). 수술실 간호사가 인지하는 조직건강, 안전분위기, 간호근 무환경이 환자안전관리활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28(4), 197-207.

김영순, 박경연(2014). 임상간호사의 의료기관 인증제에 대한 인식도, 역할과부 담, 전문직 자아개념이 환자안전관리활동에 미치는 영향.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6(6), 3377-3392.

김재은, 송주은, 안정아, 부선주(2021). 중환자실 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 영 향요인. 중환자간호학회지, 14(2), 12-23.

김정순, 김주성(2011). 수술실 간호사의 수술환자안전관리에 대한 중요성인지도 와 실천이행도.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2(12), 5748-5758.

김태백(2006). 병원종업원의 팀웍과 리더십유형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인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해.

김호순(2017). 수술실 간호사가 지각하는 환자안전역량과 안전관리체계가 환자 안전관리활동에 미치는 영향.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청주.

문미영, 김미연(2019). 병원조직 윤리풍토와 간호전문직관이 환자안전관리활동 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지, 25(5), 458-466.

박광옥, 김종경, 김명숙(2015). 수술실 간호사의 환자안전 확보 경험. 한국간호 학회지, 45(5), 761-772.

박미마, 김선하(2018). 수술실 간호사의 환자안전역량과 팀워크 인식이 환자안 전관리활동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융복합연구, 16(6), 271-281.

박미화(2017).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과 비판적 사고성향이 환자안전에 대 한 태도에 미치는 융 복합적 영향. 디지털융복합연구, 15(11), 317-327.

박은진, 한지영(2018). 병원종사자의 조직 의사소통과 팀워크가 환자안전관리 중요성 인식 및 환자안전보장활동에 미치는 영향. 보건사회연구, 38(2), 474-498.

박정려(2017). 중소병원 간호사의 직무특성, 간호전문직관 및 내재적 동기가 직 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고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부산.

보건복지부(2016). 2016 환자안전법 운영 매뉴얼. Available from

www.koiha.kr/images/newsletter/201608/PatientSafetyManual.pdf 보건복지부(2018).「환자안전법」제 7조에 따른 ‘환자안전종합계획’

Available from

https://www.mohw.go.kr/react/jb/sjb030301vw.jsp?PAR_MENU_ID=03

&MENU_ID=0319&CONT_SEQ=344873&page=1

서수영(2014). 수술실 외과의사들의 환자안전 및 감염관리 활동 실태. 경북대학 교수사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대구.

안신애, 이남주(2016). 수술실 의료진의 팀워크와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이 수술환자안전 프로토콜 수행에 미치는 영향. 중환자간호학회지, 9(1), 27-39.

안신애, 이남주(2019). 수술실 간호사의 안전한 수술에 대한 의사소통 경험. 간 호행정학회지, 25(4), 329-339.

안신애(2017). 수술실 간호사의 수술환자안전을 위한 팀워크 향상 프로그램 개 발 및 평가.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서울.

양남영, 최정실(2014). 간호사의 국제의료기관평가에 대한 인식과 간호업무성과, 평가관련 직무스트레스 및 소진과의 관계. 간호행정학회지, 20(1),1-9 양야기(2019). 병원 간호사의 안전 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기본간호학

회지, 26(3), 188-196.

윤은자, 권영미, 안옥희(2005). 간호전문직관 측정도구 개발. 대한간호학회지, 36(6), 1091-1100.

이경하(2016). 지역대학병원 수술실 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활동 관련 요인. 건 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대전

이경희, 이영신, 박해경, 류정옥, 변인승(2011). 수술실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임상간호연구학회지, 17(2), 204-214.

이금옥(2009). 간호관리자의 리더쉽과 환자안전관리 활동에 관한 연구. 경희대 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서울.

이나영(2018).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환자중심 간호, 셀프리더십과 팀워크의 비교.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대전.

이나주, 김정희(2011). 중소 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과 안전간 호활동 수행 정도. 간호행정학회지, 17(4), 462-473.

이미애, 강선주, 현혜순(2019). 종합병원 간호사의 간호전문직관, 간호근무환경 과 환자안전간호활동 간의 관계. 간호행정학회지, 25(4), 317-328.

이지은, 이은남(2013). 응급실 간호사의 환자안전 문화에 대한 인식과 환자안전 관리활동. 중환자간호학회지, 6(1), 44-56.

임민숙(2015). 아동간호사의 간호근무환경이 소진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고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부산.

임선애, 박민정(2018).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몰입이 환자 안전관리활동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융복합연구, 16(6), 259-270.

임소연, 김희정(2017). 간호역사문화 융합프로그램 수행 전ㆍ후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과 간호사이미지 비교. 한국융합학회논문지, 8(9), 85-91.

장정희, 신성희(2016). 정신병원간호사의 의료기관인증제에 대한 인식과 안전분 위기가 환자안전관리활동에 미치는 영향. 정신간호학회지, 25(4), 375-385.

정복희, 이병숙(2015). 수술실 간호사의 팀워크 강화 실행연구. 계명간호과학, 19(2), 1-15.

정수진, 정정희(2019). 혈액투석실 간호사의 전문직관, 조직의사소통이 환자안전 문화에 미치는 영향. 임상간호연구, 25(1), 98-105.

정준, 서영준, 남은우(2006). 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활동 영향요인 연구.

병원경영학회지, 11(1), 91-109.

정회진(2013). 수술실 간호사의 안전문화인식과 안전관리활동. 경희대학교 행정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제우영(2007).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병원 종사자들의 인식: 일개 대학병원을 중 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조결자, 송미령(1997). 간호학생의 간호관 형성과 변화양상. 간호행정학회지, 3(1), 17-35.

조옥심(2016). 병원간호사가 인지하는 간호근무환경과 팀워크, 자율성간의 관계.

한양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조윤주(2012). 중환자실 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 활동의 중요성 인식 및 수행.

아주대학교, 경기도.

조은희, 최모나, 김은영, 유일영, 이남주(2011). 한국어판 간호근무환경 측정 도 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대한간호학회지, 41(3), 325-332.

조혜원, 양진향(2012). 의료인의 환자안전문화 인식과 환자안전관리 활동 간의 관계. 기본간호학회지, 19(1), 35-45.

차보경, 최정(2015). 대학병원과 중소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 과 환자안전간호활동의 비교연구. 간호행정학회지, 21(4), 405-416.

최숙영, 이미애(2018). 병원간호사의 직무착근도와 간호전문직관이 재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지, 24(3), 234-244.

최영실(2014). 중소병원 간호사의 간호 전문직관, 직무만족도 및 이직의도와의 관계.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5(5), 2695-2702.

최유은, 김현영(2016). 수술실 간호사의 안전분위기와 피로 수준이 안전이행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지, 22(5), 471-479.

최은주, 황지현, 장인실(2017). 임상간호사의 간호근무환경과 자아존중감이 비판 적 사고성향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지, 23(2), 161-169.

하수진,& 이민주. (2019). 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 인식, 사건보고 및 안전 간호활동: 일 대학병원을 중심으로. 근관절건강학회지, 26(1), 35-45.

한국의료분쟁조정 중재원(2020) Available from

https://www.k-medi.or.kr/lay1/bbs/S1T27C96/A/25/list.do

한국의료질향상학회(2007). from

http://www.kosqua.net/

한혜진(2016). 임상간호사의 전문직관, 비판적 사고성향 및 간호조직문화인지가 공유된 의료의사결정인지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환자안전보고학습시스템(2020). 환자안전사고보고현황.

Available from

https://www.kops.or.kr

황서림(2020). 응급실 간호사의 팀워크, 환자안전문화인식과 환자안전간호활동.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경기도.

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2006). TeamSTEPPS guide to action: Creating a safety net for your healthcare organization (AHRQ Publication No. 06-0020-4). Retrieved December 10, 2016,

Available from

https://www.ahrq.gov/teamstepps/evidence-base/teamstepps-research.ht ml

Aiken, L. H., Clarke, S. P., Sloane, D. M., Lake, E. T., Cheney, T.(2009).

Effects of Hospital Care Environment on Patient Mortality and Nurse Outcomes. The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38(5), 223-229.

Andrea, M., Hagstrom, RN.(2006) Perceived Barriers to Implementation of Successful Sharps Safety Program. Association of peri Operative Registered Nurses(AORN) Journal 83(2), 391-397.  

https://doi.org/10.1016/S0001-2092(06)60169-5

Brannick, M. T., Prince, A., Prince, C., Salas, E.(1995). The measurement of team process. Human Factors; The Journal of the Human Factors and Ergonomics Society, 37(3), 641-651.

https://doi.org/10.1518/001872095779049372

Christmas, K.(2008). How Work Environment Impacts Retention. Nursing Economics, 26(5), 316-318

Hwang, J. I., Ahn, J.(2015). Teamwork and clinical error reporting among nurses in Korean hospitals. Asian Nursing Research, 9(1), 14-20.

Kalisch, B. J., Lee, H.(2009). Nursing teamwork, staff characteristics, work schedules, and staffing. Health Care Management Review, 34(4), 323-333.

Kalisch, B. J., Lee, K. H.(2010). The impact of teamwork on missed nursing care. Nursing Outlook, 58(5), 233-241.

Klopper HC, Coetzee SK, Pretorius R, Bester P.(2012). Practice environment, job satisfaction and burnout of critical care nurses in South Africa.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20(5), 685-695.

http://dx.doi.org/10.1111/j.1365-2834.2011.01350.x

Lake, E. T.(2002). Development of the Practice Environment Scale of the Nursing Work Index. Research in nursing & health, 25(3), 176-188.

Lake, E. T., C. R. Friese(2006). Variations in Nursing Practice

Environments: Relation to Staffing and Hospital Characteristics.

Nursing Research, 55(1), 1-9.

Larson, C. E., Larson, C., LaFasto, F. M.(1989). Teamwork: What must go right/what can go wrong (Vol. 10). Sage.

Lingard, L., Espin, S., Whyte, S., Regehr, G., Baker, G. R., Reznick, R., Bohnen, J., Orser, B., Doran D., Grober, E.(2004). Communication failures in the operating room: an observational classification of recurrent types and effects. BMJ Quality & Safety, 13(5), 330-334.

Manser, T.(2009). Teamwork and patient safety in dynamic domains of healthcare: A review of the literature. Acta Anaesthesiologica Scandinavica, 53(2), 143-151.

O’Leary, K. J., Creden, A. J., Slade, M. E., Landler, M. P., Kulkarni, N., Lee, J., Williams, M. V. (2015). Implementation of unit-based interventions to improve teamwork and patient safety on a medical service.

American Journal of Medical Quality, 30(5), 409-416.

Sari, A. A., Doshmangir, L., Sheldon, T.(2010). A Systematic Review of the Extent, Nature and Likely Causes of Preventable Adverse Events Arising From Hospital Care. Iranian Journal of Public Health, 39(3), 1-15.

Wies, D., Schank, M. J. (2000). An Instrument to Measure Professional Nursing Values.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32(2), 201-204.

Xyrichis, A., Ream, E. (2008). Teamwork: A concept analysi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1(2), 232-241.

<부록 1> 연구 설명문

<부록 2> 설문지

<부록 3-1> 기관윤리심의위원회(IRB) 심의 결과 통지서

<부록 3-1> 기관윤리심의위원회(IRB) 심의 결과 통지서

<부록 3-2> 기관윤리심의위원회(IRB) 심의 결과 통지서

<부록 3-2> 기관윤리심의위원회(IRB) 심의 결과 통지서

-ABSTRACT-Factors affecting on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among Operating Room Nurses.

Ye Ji Kim

Department of Nursing Science 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Sunjoo Boo, RN., Ph.D.)

This cross-sectional study aimed to evaluate the level of nursing professionalism, teamwork, nursing work environment, and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among operating room (OR) nurses and to identify influencing factors of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Anonymous paper-based surveys were conducted for a convenience sample of OR nurses (n =120) from two university-affiliated hospitals located in Gyeonggi-do from February 15 to March 12, 2021. The level of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was measured with the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y measurement questionnairedeveloped by Jung (2013).

The level of Nursing Professionalism was measured by using a Nursing

Professional value scale( Yeun et al. 2005). The level of Teamwork was measured with a Teamwork measurement tool, developed by Larson and LaFasto (1989) and translated into Korean by Kim (2006). The level of Nursing Work Environment was measured with the Korean version of the Practice Environment Scale of Nursing Work Index, which was developed by Cho et al. (2011) based on the Practice Environment scale of the Nursing Work Index proposed by Lake (2002).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t-tests, ANOVA, Pearson’s correlations, and a Hierarchical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mean score of subjects for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was 4.37±0.43 out of 5, that for Nursing Professionalism was 3.50±0.41 out of 5, that for Teamwork was 3.57±0.47 out of 5, and that for Nursing Work Environment was 2.61±0.25 out of 4.

2) In terms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the scores of subjects for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ir position (t=-2.07, p=. 040).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of subjects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ir nursing professionalism (r=. 34, p<.001), Teamwork (r=. 37, p<.001), and Nursing Work Environment (r=. 26, p=.

004).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46-76)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