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결론 및 시사점

문서에서 세계농업 (페이지 82-94)

프랑스 농축산업과 유기농 시장

국가별 농업자료 ∙ 73

74 ∙ 세계농업 2019. 7월호

참고문헌

Agence BIO (2019) “The Organic Market in France.” [BIOFACH 발표자료]. 발표일: 2019.2.13.

Agreste (2018) “Statistique Agricole.” Ministère de l’agriculture et de l’alimentation: Paris.

Agricultural Dept. of the French Embassy in Washington (ADFEW) (2015) “Agriculture in France: From the wheat in Beauce to the Limousine of the Massif Central, https://frenchfoodintheus.org/1913, 게시일: 2015.5.7., 검색일: 2019.6.13.

Encyclopaedia Britannica. “France >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ing,” https://www.

britannica.com/place/France/Agriculture-forestry-and-fishing, 검색일: 2019.6.14.

Ministère de l’agriculture et de l’alimentation (2015) “Overview of French Agricultural Diversity,” https://agriculture.gouv.fr/overview-french-agricultural-diversity. 게시 일: 2015.9.22., 검색일: 2019.6.14.

Valleix, Sophie (2017) “Organic Agriculture in France.” http://isofar.org/isofar/index.php/

2-uncategorised/253-organic-agriculture-in-france. 게시일: 2017.6., 검색일: 2019.6.19.

SIMA (2019) “The Organic Industry Displays Incredible Growth in France.” https://en.

simaonline.com/SIMA/Latest-news/Incredible-growth-of-the-organic-industry-in -France 검색일: 2019.6.19.

FreshPlaza.com (2019) “French organic market is growing.” https://www.freshplaza.com/

article/2188330/french-organic-market-is-growing 게시일: 2018.1.23., 검색일: 2019.6.18.

참고사이트

DataBank | The World Bank (http://databank.worldbank.org) EUROSTAT database (http://ec.europa.eu/eurostat/data/database) FAOSTAT (http://www.fao.org/faostat)

Ministére de l’agriculture et de l’alimentation (http://agriculture.gouv.fr)

쉎 국가별 농업자료

연도별 월별 제 목

2015년

1월 이스라엘‧ 파라과이이스라엘 농업 개황 및 농업정책 파라과이 농업 현황과 시사점

2월 나이지리아나이지리아 농업 현황 및 시사점

3월

볼리비아・대만‧ 카자흐스탄 볼리비아 농업 현황과 시사점 대만 농업 현황

카자흐스탄 농업 현황과 시사점

4월 노르웨이‧ 뉴질랜드노르웨이 농업 현황과 시사점 뉴질랜드 농업 현황과 시사점

5월 루마니아‧ 콜롬비아루마니아 농업 현황과 시사점 콜롬비아 농업 현황과 시사점

6월 우즈베키스탄‧ 키르기스스탄 우즈베키스탄 농업 현황과 시사점 키르기스스탄 농업 현황과 시사점

7월

핀란드‧ 쿠바‧ 르완다 핀란드 농업과 농정의 특성 쿠바의 지속가능한 농업과 정책 르완다의 농업발전정책

8월 스웨덴‧ 덴마크스웨덴의 농업혁명과 지속가능한 농업 덴마크 농업 현황과 시사점

9월 투르크메니스탄‧ 타지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의 농업 현황과 시사점 타지키스탄의 농업 현황과 시사점

10월 방글라데시‧ 캐나다방글라데시의 농업현황과 농업정책 캐나다의 농업 및 농식품산업 현황

11월 우간다‧ 르완다우간다 농업협동조합

르완다 농업 현황과 시사점

12월 엘살바도르‧ 아르헨티나 엘살바도르의 농업 현황과 시사점 아르헨티나의 농업 현황과 시사점

국가별 농업자료 HISTORY

국가별 농업자료 ∙ 75

   

쉎 국가별 농업자료

연도별 월별 제 목

2016년

1월 과테말라‧ 에콰도르과테말라의 농업 현황과 시사점 에콰도르의 농업 현황과 시사점

2월 니카라과니카라과 농업현황과 시사점

3월 브라질브라질의 농업현황과 시사점

4월 미얀마미얀마의 농업현황과 정책

5월 스리랑카스리랑카의 농업현황과 정책

6월 파키스탄파키스탄의 농업현황과 정책

7월 쿠바쿠바농업의 이해와 협력가능성

8월 네팔네팔의 농업 현황과 정책

9월 불가리아불가리아의 농업현황 및 정책

10월 남아프리카공화국남아프리카공화국의 농업현황과 정책

11월 아제르바이잔아제르바이잔의 농업현황

12월 이집트이집트의 농업 현황과 정책

2017년

1월 가나가나의 농업 현황 2월 필리핀필리핀의 농업현황과 정책

3월 우즈베키스탄우즈베키스탄의 농축산업 현황과 정책

76 ∙세계농업 2019. 7월호

(계속)

쉎 국가별 농업자료

연도별 월별 제 목

2017년

4월 일본일본의 농업현황

5월 인도네시아인도네시아의 농업 현황과 정책

6월 세네갈세네갈의 농업 현황 7월 러시아러시아의 농업 정책과 전망

8월 온두라스온두라스의 농업현황

9월 오스트리아오스트리아의 농업 및 농업정책

10월 폴란드폴란드의 농업현황

11월 미국미국의 농업 현황과 농업 정책

12월 모로코모로코의 농업현황

2018년

1월 영국영국 농업과 브렉시트 영향

3월 벨기에벨기에 농업현황과 시사점

4월 EUEU의 농업 생산 동향

5월 EUEU 농업·농촌 및 공동농업정책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6월 싱가포르싱가포르 농업과 식량안보 전략

7월 스페인스페인의 농업 현황

국가별 농업자료 HISTORY

국가별 농업자료 ∙ 77 (계속)

쉎 국가별 농업자료

연도별 월별 제 목

2018년

8월 EUU의 농가 및 농가경제 동향

9월 나미비아나미비아의 농축산업

10월 미얀마미얀마의 물이용 현황과 농업용수 관리정책

11월 대만대만의 농업 현황과 정책 동향

12월 스위스스위스 농업과 직접지불제도

2019년

1월 룩셈부르크룩셈부르크의 농업현황과 정책

2월 인도인도의 농업·농정 현황 및 과제

3월 라트비아라트비아의 농업 현황과 정책

4월 일본일본의 산림·임업과 정책동향

5월 2019년 EU 농식품 정책 전망

6월 스웨덴의 농업 현황과 정책

세계농업 「국가별 농업자료」 원문자료 (https://www.krei.re.kr/wldagr/index.do)

78 ∙세계농업 2019. 7월호

(계속)

Part 4

국제기구・연구 동향

세계 농업관련 주요 연구 동향 | 송주호

세계 농업관련 주요 연구 동향

국제기구·연구 동향∙ 81

세계 농업관련 주요 연구 동향

송 주 호 * 1)

1. 2018

년도 세계의 식량안보 및 영양 상태

(FAO)1)

□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한 2030 아젠다 시대의 식량안보 및 영양 모니터링의 개선 작년에 세계의 식량안보와 영양 상태는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한 2030 아젠다에서 제시 된 목표인 기아와 영양 부족이 없는 세계를 달성하기 위한 진전 상황을 모니터링하기 시작하 였다. 모든 형태의 굶주림, 식량 불안정, 영양실조에 관한 과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노력은 제22030 지속가능한 개발 목표(SDG 2) - 모든 사람을 위한 안전하고 영양가 있고 충분한 식량에 대한 접근 보장(목표 2.1)과 모든 형태의 영양실조의 근절(목표 2.2) -에서 두드러지 게 나타난다. 또한 SDG 2의 달성은 2030 아젠다의 다른 목표(몇 가지 예를 들면 빈곤 퇴치, 건강 증진, 교육, 양성 평등 및 깨끗한 물과 위생시설에 대한 접근, 품위 있는 일, 불평등 감소, 평화와 정의 등)에 많이 의존하고 또한 기여하기도 한다.

작년 보고서에는 ‘2030 아젠다에서 논의된 식량안보 및 영양에 대해 새로운 방식의 생각 을 촉진시키고, ‘영양 관련 제2회 국제회의(ICN2)의 행동을 위한 기본 틀‘UN의 영양

2016-25를 위한 행동의 10과제에 대응하는 것을 목표로 한 여러 가지 혁신을 포함하고

있었다. 보고서의 범위는 세계 보건 총회(World Health Assembly)’의 영양과 식단(diet) 관련된 비전염성 질병을 위한 세계 목표를 모니터링 하는데 사용되는 6개의 영양 지표를 포함하도록 확대되었다. 6개 영양 지표 중 3개는 또한 SDG2의 목표를 위한 지표이기도 하다. 이 보고서는 또한 처음으로 식량안보의 새로운 지표의 하나로 식량불안정 경험정도

* GS&J 인스티튜트 senior economist (jhsong@gsnj.re.kr). 이 글은 주요국과 국제기구의 농업 관련 연구보고서 중에서 우리나라에 의미 있는 보고서들을 선별하여 주요내용을 요약하였음.

1) FAO는 매년 IFAD, UNICEF, WHO, WFP와 공동으로 세계 식량안보와 영양에 대한 연례보고서를 발간한다.

http://www.fao.org/3/I9553EN/i9553en.pdf (접속일: 2019.06.14.)

82 ∙ 세계농업 2019. 7월호

(Food Insecurity Experience Scale, FIBS)를 근거로 한 심각한 식량불안정의 만연상태를 도입하였는데, 이것은 충분한 식량을 획득하는 능력에 심각한 제약을 겪는 인구의 비중을 추정하는 것이다.

□ 최근 세계 굶주림이 계속 증가한다는 증거가 있으며 이는 인류가 빈곤을 2030년까지 근절하기 위한 올바른 과정에 있지 않다는 중요한 경고이다.

세계 굶주림이 증가하고 있다는 것을 알려주는 증거가 계속 나오고 있다. 이용 가능한 데이터에 따르면, 굶주림으로 고통 받는 사람들의 수는 지난 3년간 계속 증가하여 10년 전의 수준으로 후퇴하였다. 영양실조로 고통 받거나 또는 만성적인 식량 부족을 겪는 사람들 의 절대적인 숫자는 2016년 약 8400만 명에서 2017년에는 약 82,100만 명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그림 1>. 상황은 특히 남아메리카와 대부분의 아프리카 지역에서 악화되고 있다.

<그림 1> 세계 영양부족 인구수

비율(좌축) 인원수(우축) 자료: FAO (2019) p.3에서 재인용.

세계 농업관련 주요 연구 동향

국제기구·연구 동향∙ 83 아울러 최근까지 아시아에서 두드러졌던 영양부족 인구의 감소 추세는 크게 둔화되고 있는 것 같다. 노력을 더욱 경주하지 않으면 굶주림을 2030년까지 근절한다는 SDG 목표 달성에는 훨씬 못 미칠 가능성이 있다.

□ 아동 영양부족은 지속적으로 감소하지만 성인 비만과 가임 가능 연령대 여성의 빈혈은 증가하고 있다.

양호한 영양은 지속가능한 개발의 활력을 유지하는 근원이며 더욱 지속가능하고 풍요로 운 미래를 위해 필요한 변화를 이끈다. 아동의 발육장애를 줄이고 생애 최초 6개월간 모유수 유를 증가시키는 약간의 진전이 이루어 졌다. 하지만 5세 미만 아동의 과체중 유병률은 최근 몇 년 동안 크게 변화하지 않았고, 성인 비만은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세계의 가임 연령 여성 3명 중 1명은 빈혈이다.

키에 비해 체중이 작은 어린이는 사망 위험이 더 높다. 2017년에 5세 미만 어린이의 7.5%가 이런 영양 부족의 형태로 영향을 받았는데, 지역적인 비율은 라틴계에서의 1.3%부터 아시아에서의 9.7%까지 큰 차이가 난다.

많은 나라에서 여러 가지 형태의 영양불량이 발생한다. 식품, 특히 건강에 좋은 식품에 대한 접근이 나쁘면 영양부족이 될 뿐만 아니라 과체중, 비만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로 인해 비만, 저체중 출산의 위험이 증가하고, 유아기의 성장부진, 가임기 여성의 빈혈을 높일 위험이 있으며, 특히 중상위 및 고소득 국가에서 학령기 소녀의 과체중과 여성 비만과 도 연관된다. 영양가 높은 식품은 값이 비싸고 식량 불안정한 삶은 스트레스를 주며, 식량 부족에 대해서도 심리적으로 적응해야 한다는 점은 식량불안 가정이 왜 과체중과 비만의 위험이 더 높은지를 설명하는데 도움이 된다. 더욱이 어머니 배속에서 그리고 유아기/아동 기에 식량부족을 겪게 되면 태아기와 유아기의 신진대사적인 각인(metabolic imprinting)’

을 초래하게 되어 성장하면서 비만과 식단관련 비전염 질병의 위험을 높이게 된다.

□ 기후의 빈번한 변화와 극단적 기후에 노출되면 기아와 영양불량을 근절하려고 그동안 얻은 성과를 침해하고 되돌릴 위협이 되고 있다.

작년에는 분쟁(conflict)의 영향을 철저하게 조사한데 이어, 2018년 보고서에는 기후의

문서에서 세계농업 (페이지 82-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