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개인수준의 신뢰수준 변동요인

(1) 기본모델 및 자료

이미 앞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신뢰수준의 결정은 국가와 개 인수준에서 그 변동요인을 분석하는 것이 가능하다

.

사회적 신 뢰가 사회・제도적인 요인에 의해서 변동되는 것은 이미 앞 절 에서 그 이론과 실증을 살펴보았지만

,

개인수준에서 신뢰를 변 동시키는 요인은

Torpe and Lolle

(2009)이 지적한 바와 같이 개 인수준의 신뢰수준은 개인이 처한 상황과 관련되는 변수들을 주된 설명변수로 하여 분석한다

.

어떤 사람이 다른 사람을 더 신뢰하는가

?

첫째로 다른 사람을 신뢰한다는 것은 도덕적・문화적인 영향의 결과일 수 있다

.

그렇 다면 신뢰는 교육수준과 같은 개인적인 특성과 관련될 가능성 이 크고

,

또 종교가 다르면 사회적인 교감이나 시민을 대하는 태도 측면에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종교적인 신념도 중요한 신뢰 변동요인 중 하나이다

.

둘째로 신뢰는 과거의 경험에 기반을 둔 것일 수 있다

.

동료들로부터 공정하게 대우를 받은 사람은 다른 사람을 신뢰하게 된다

.

어떤 개인이 다른 사람과의 교감에서 상 처를 받은 경험이 있는 경우에 그들은 다른 사람을 덜 신뢰하게 될 것이다

.

어떤 그룹이 차별을 하였다면 그 그룹의 멤버는 미 래에도 공정하게 대우할 것이라고 기대하지 않을 것이고 따라 서 덜 신뢰하게 될 것이다

.

셋째로 사람들은 자신과 유사한 다

른 사람들을 신뢰할 수 있다

.

즉 가족이나 같은 사회적・인종적 으로 같은 그룹에 속하는 사람을 더 신뢰하게 된다

.

사실

,

가족 적 유대관계는 사회적 신뢰가 잘 발달되어 있지 않은 사회에서 매우 강하다

.

넷째로 사람들은 긴 기간 동안 유대관계를 가져온 사람들을 보다 많이 신뢰한다

.

또한 향후 반복적인 교감이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 사람에 대한 신뢰가 증가한다

.

단발적인 교감 은 신뢰에 크게 기여하지 못한다

.

이 같은 관점에서 한 공동체 에서 오래 지냈던 사람을 보다 신뢰할 가능성이 높다

.

총체적으 로 한 공동체가 보다 안정적이고 오래 지속된다면 신뢰는 더 높 아진다

.

다섯째로 법적인 제도는 신뢰에 영향을 준다

.

범죄행위 가 효과적으로 처리되는 사회에서 개인들은 보다 신뢰하게 될 것이다

.

그들이 극단적인 비협조적인 행동에 대해 보호된다고 느끼기 때문이다

.

41)

앞의 이론에 따르면 타인에게 개방적이고 긍정적인 태도를 갖는 사람은 다른 사람을 더 신뢰하게 되고 승자 편에 속하는 사람은 패자 편에 든 사람보다 더 다른 사람을 신뢰하는 경향이 있다

.

미국의 일반사회조사(General Social Survey: GSS) 자료를 이용한 연구로 다음과 같은 두 연구를 들 수 있다

.

우선

Glaeser et al.

(2000)는 일반사회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개인수준의 신뢰의 변

동요인을 분석하였다

.

미국의 부자와 교육을 많이 받은 사람인 경우 다른 사람을 신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대학 졸업자는 고

41) Alesina and La Ferrara(2002) 참조

등학교 졸업자보다 신뢰한다는 질문에 그렇다고 응답한 비율이

30%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흑인은 백인보다 다른 사람을 덜 신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결혼한 사람이 다른 사람을 더 신뢰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많은 교육을 받거나 또 종교를 갖고 있 는 사람들은 다른 사람을 더 신뢰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

유대 교도들은 높은 수준의 교육을 받은 종교인들이기는 하지만 타 인을 덜 신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또한

Alesina and La Ferrara

(2002)는

1974

1994

년 기간에 걸 쳐 실시된 일반사회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개인수준의 신뢰 변 동요인 분석결과를 보여주었다

.

이 분석결과에 의하면 연령이 많아지면서 더 신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교육을 덜 받은 사람보다 다른 사람을 더 신뢰하는 것으로 나타 났다

.

소득수준이 높은 사람은 소득수준이 낮은 사람에 비해 다 른 사람을 더 신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다른 사람을 신뢰하는 데 있어서 종교적인 영향의 차이는 없었으며

,

종교는 다른 사람 을 신뢰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수는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

다른 사람으로부터 차별받은 사람은 타인을 덜 신뢰하는 것으로 나타난 점이다

.

즉 흑인과 여성의 추정계수 는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미한 음으로 나타나

,

다른 사람을 신뢰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또한

Roumeliotou and Rontos

(2009)는 그리스의 설문조사 결 과를 이용한 개인수준의 신뢰 변동요인 분석에서 개인적인 소 득

,

교육수준

,

연령

,

성 등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

이들의 연구 에서는 교육수준이 높고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타인을 더 신뢰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개인수준에서 신뢰의 변동요인을 분석할 수 있는 방법은 로 짓(logit)분석이다

.

본 연구에서 종속변수

y

는 어떤 개인

i

가 신뢰 한다면

1,

신뢰하지 않는다면

0

의 값을 가지며

,

설명변수를 벡 터

x

로 나타낼 경우 개인

i

가 신뢰할 확률은 다음과 같은 이항 로짓 모형으로 나타낼 수 있다

.



    

   

 

(3)

이를 정리하면 다음의 식을 얻을 수 있다

.

이 식에서

F(.)

는 누적분포함수로서 로지스틱 분포를 갖는다

.

,

           

 

(4)

본 분석에서는 로짓방법을 이용하여 신뢰의 변동요인을 분석 을 한다

.

다음과 같은 실증모델을 정식화할 수 있다

.

       

    

(5

)

여기서

,

개인수준에서 신뢰(Trust)는 나이(AGE)

,

이념성향(IDEOL)

,

성별(SEX)

,

교육수준(EDU)

,

직업(OCCUP)

,

결혼 여부(MARR)

,

가톨 릭교(CATH)

,

개신교(PROT)

,

이슬람교(MUS)등을 설명변수로 사용 하였다

.

(5)

를 추정하는 데 있어서 기본적으로 신뢰와 경제성

장을 분석하는 데 이용하였던 기초자료에 의존하였으며

,

대상국 가수는 마찬가지로

64

개국의 개인별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였 다

.

로짓분석은 기본적으로 개인수준의 분석이기 때문에

1989

2008

년 모든 분석은 개인별 세계가치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분 석하였다

.

실제 세계가치조사의 변수를 이용하여 회귀분석할 때 세계가 치조사에서 사용된 변수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여 사용하였다

.

신뢰지수(TRUST)는 신뢰는

1,

불신은

0

으로 하여 전체 조사대상 자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나타낸 것이다

.

나이(AGE)를 신뢰를 결 정하는 변수로 고려하였으며 나이의 제곱(AGE)을 변수로 추 가하여 나이가 들면서 신뢰에는 어떤 영향을 주는가를 분석하 였다

.

이념성향(IDEOL)을 나타내는 변수로 보수는

1,

진보는

0

으로 나타냈다

.

또한 성별(SEX)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남자는

1,

여자는

0

으로 남녀를 구분하여 변수로 사용하였다

.

교육정도 (EDU)를 구분하여 실증분석에 사용하였다

.

초등학교 졸업은

1,

중등학교 졸업은

2,

전문대학 이상의 졸업은

3

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

또한 직업(OCCUP)을 나타내기 위해서 화이트칼라 는

1,

블루칼라는

0

으로 하는 변수를 분석에 포함하였다

.

결혼 (MARR)에 대해서는 결혼과 동거는

1,

이혼・별거・사별은

0

으로 구분하였다

.

종교도 분석에 포함하여 추정하였다

.

이 보고서에 서는 다른 연구에서 구분하고 있는 종교의 방식대로 가톨릭 (CATH)

,

개신교(PROT)

,

이슬람교(MUS)로 구분하였으며

,

기타 소수의 종교는 기타 종교로 구분하여 분류하였다

.

이들을 더미 변수 형태로 추정식에 포함하여 분석하였다

.

이들이 신뢰수준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를 검토하였다

.

(2) 실증분석 결과

<

9>

는 로짓방법과 함께 프로빗방법을 이용하여 개인수준

에서 신뢰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이다

.

이 표는 개 인수준의 신뢰가 무엇에 의해 변동되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개 인별 특성변수를 설명변수로 하여 분석한 것이다

.

42)

첫째로 나이변수 분석결과 나이가 먹어감에 따라 타인에 대 한 신뢰가 증가하는 것을 나타낸다

.

그러나 어느 정도 나이가 듦에 따라 타인에 대한 신뢰는 매우 적은 비율로 감소한다는 것 을 보여준다

.

43)

둘째로 이념성향은 일부 식에서

10%

유의수준에서 유의한 변 수로 나타났다

.

보수적인 성향의 사람일수록 다른 사람을 신뢰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셋째로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다른 사람을 더 신뢰하는 것으 로 나타났다

.

일반적으로 말해서 대부분의 연구는 교육수준과 신 뢰 사이에 양의 관계가 있음을 밝히고 있다

.

교육수준이 높은 사 람은 교육수준이 낮은 사람보다 더 신뢰한다는 것이다

. Putnam

도 교육이 신뢰에 큰 영향을 준다고 지적한 바 있다

.

교육받은

42) Deaton(1985), Gassner(1998)의 방법에 따라 각 웨이브별로 개인별 자료 를 세대별로 구분하여 패널자료 형태로 만들어 추정하는 Pseudo Panel 분석방법을 사용하여 실증분석해 보았으나, 추정방법에 따라 비일관적인 추정결과를 보여 본 연구의 본문에 포함하지는 않았다.

43) 개인별 수준의 연구에서 Glaeser et al.(2000), Alesina and la Ferrara(2000) 은 일반적으로 나이 많은 사람들은 더욱 신뢰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미국 에서 이루어진 신뢰 연구에 따르면 나이가 많은 미국인들은 높은 신뢰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연령은 사회적인 신뢰와 양의 관계가 있다.

사람은 경제적으로 보다 잘 사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다른 사람 을 신뢰하는 경향이 있다고 지적하였다

.

넷째로 결혼 여부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추정계수를 나 타냈다

.

결혼하였거나 동거하는 경우 다른 사람을 더 신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다섯째로 종교가 신뢰에 미치는 영향은 종교에 따라 달라진 다

.

개신교는 매우 유의한 양의 추정계수를 나타내는 반면에 가 톨릭교이나 이슬람교 더미변수는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한 음으 로 나타나고 있다

.

가톨릭교도과 이슬람교도는 다른 사람을 신 뢰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

개신교도는 다른 사람을 신뢰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44)

Inglehart

(1999)는 가톨릭이나 동방정교 회의 조직체계는 수직적이고 중앙집권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어 서 이러한 조직체계는 수평적이기보다는 수직적이고 중앙집권 적인 특성을 형성시켜왔다는 점을 지적한 바 있다

.

수직적인 인 간관계가 중심을 이루는 사회에서 정직한 정보의 흐름이 불가 능하게 되고 정직한 정보를 나누어 갖지 못하는 사람 사이에 신 뢰가 구축되는 것을 기대하기는 어렵다

.

또한 가톨릭 사회가 프 로테스탄트 사회보다 낮은 신뢰를 보여주는 이유는 중앙통제적 인 조직구조로 인하여 지역단위의 자율성이 매우 낮기 때문이 44) La Porta et al.(1997), Berggren and Jordahl(2006)은 위계적인 성향을

갖는 종교는 음의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Zak and Knack(2001) 은 가톨릭교도와 이슬람교도는 덜 신뢰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에 Uslaner (2002)는 개신교는 신뢰에 양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하였다. Putnam (1994), La Porta(1997)는 사회에서 수직적인 복종을 하게 하는 데 있어 서 위계적인 종교가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종교적인 전통과 규준 의 차이는 일반화된 신뢰를 형성하는 데도 영향을 준다.

.

개인의 자율적 사회 참여가 신뢰 축적의 원천이기 때문에 중앙통제적인 가톨릭 사회에서 낮은 신뢰가 나타난 것으로 보 인다

.

45)

여섯째로 성별 변수의 추정계수는 양으로 나타났지만

,

이 변 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

남녀 간 성 차이에 따라 신 뢰 행태에 차이가 없다는 연구결과를 뒷받침하는 분석으로 보 인다

.

직업변수도 역시 양의 추정계수를 나타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수는 아니었다

.

45) 장수찬(2002) 참조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