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 보고책임(accountability)

사회심리학에서 보고책임이란 '자신의 견해가 정당하다는 것을 다른 사람에 게 규명하도록 요구받는 일종의 사회적 압력'18) 또는 '다른 사람에 의하여 자 신의 견해가 평가되어지는 것에 대한 우려'19)라고도 정의된다.

사람들은 스스로의 행동계획에 따라 행위를 하고 그 행위를 인식할 수 있는 힘을 가지고 있다는 가정은 사회심리학의 분야에서 널리 인정되고 있다. 스스 로의 행동계획에 따라 행위를 하고 그 행위를 인식할 수 있는 힘을 가지고 있 는 사람들 사이에서 어떻게 관계를 설정하고 유지할 것인가 하는 문제에 직면 한 특정의 개인이 사회문화적으로 적응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행위에 대한 책 임을 스스로 인식하는 것이 불가피해진다. 왜냐하면 자신의 행동은 다른 사람 들을 자신의 행동에 반응하도록 만들 것이며, 만약에 그들의 반응이 자신에게 불리한 방향으로 전개된다면, 자신의 행동에 대하여 그 정당성을 설명하여 다 른 사람들을 이해시켜서 그들의 반응을 자신이 의도한 방향으로 돌려놓으려

17) Ashton, A. H., and Ashton., R. H., op. cit.

18) P. E. Tetlock, and J. I. Kim, "Accountability and Judgement Processes in a Personality Prediction Task,"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2, 1987, pp.700-709.

19) I. Simonson, and P.Nye, "The Effect of Accountability on Susceptibility to Decision Errors,"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 51, 1992, pp.416-446.

하기 때문이다. 만약 다른 사람들의 반응이 계속 자신에게 불리한 방향으로만 전개된다면 그 개인은 다른 사람과 지속적인 관계를 유지할 수 없게 된다. 따 라서 대부분 의사결정환경 가운데 하나의 특성으로 개인은 자신 및 타인에게 자신의 판단을 정당화시키고자 한다는 것이다.

조직화된 사회는 어느 정도의 규제없이 존재할 수 없다. 이러한 규제는 서 로간의 규율이나 규범 ․ 관습 등으로 구성되어진다. 보고책임은 이러한 규제를 강화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20). Tetlock(1985)은 보고책임에 대하여 다음 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21). 보고책임은 중요한 규칙 및 규범을 강요하는 메카 니즘이다. 이러한 메카니즘은 개인적 의사결정과 그들이 소속한 사회제도간의 사회심리학적 관계라는 것이다. 사람들이 자신의 의사결정에 대해 책임을 진 다는 사실은 그들이 수행한 모든 결과에 대해 명시적 또는 암묵적 제약이 있 다는 것이다. 만약 개인이 다른 사람들이 용인할 수 없는 의사결정을 한 경우 에는 조직의 규범과 용인할 수 없는 정도에 따라 다양한 규제가 가해지게 된 다.

특정 개인이 의사결정시에 보고책임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고, 그 의사결정 의 결과가 자신과 직접적인 관계가 없다면, 그 사람은 그 의사결정을 함에 있 어서 최소한의 정신적 노력만을 투입하려 할 것이다. 왜냐하면, 추가적인 정보 분석 등의 정신적 노력이 투입된다면, 그 자신에게 그 만큼의 부의 효용만 창 출될 뿐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추가적인 정신적 노력을 투입하지 않음으로 인 하여 의사결정이 불합리하게 이루어질 가능성이 그 만큼 커지게 된다.

반면에 특정 개인이 보고책임을 인식하게 되면, 피보고책임자의 다양한 반응 을 예상하고 그것에 대항할 수 있는 증거를 스스로 준비하는 등 추가적인 노력 을 기울이게 된다. 보고책임을 인식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추가적인 노 력을 투입하는 이유는, 추가적으로 투입되는 정신적 노력에 대한 부의 효용보다

20) J. Pfeffer, "Management as Symbolic Action : The Creation and Maintenance of Organizational Paradigms," Research in Organizational Behavior vol. 3, 1981, pp.641-653.

21) P. E. Tetlock, "Accountability: The Neglected Social Context of Judgement and Choice." In Research in Organizational Behavior (Vol. 7), eds. B. M. Staw and L. Cummings. Greenwich ct: JAI Press, 1985.

정신적 노력을 추가로 투입하지 않음으로 인해 보고책임을 이행하지 못하게 되 고 그로 인하여 피보고책임자로부터의 불이익(예를 들면, 비난이나 보류, 법적 책임 등)으로 인한 부의 효용에 대한 기대값이 더 크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특 정의 개인이 앞에서 언급한 것과 같은 상황에서 어느 정도 추가적으로 정신적 노력을 더 투입할 것인가 하는 것은 전적으로 보고책임의 강도와 보고책임을 수행하지 못할 가능성에 의존하게 된다. 즉 보고책임의 강도가 클수록, 보고책 임을 수행하지 못할 가능성이 클수록 추가적으로 투입되는 정신적 노력은 더 커지게 된다. 일반적인 경우 정신적 노력이 커지면 커질수록 정보처리과정이 정 교해질 것이며, 의사결정의 질은 향상된다.22) 의사결정의 질이 향상된다는 것 은 최신효과와 같은 의사결정시의 편의가 줄어든다는 것을 의미한다. 기존의 연 구결과에 의하면, 보고책임이 모든 의사결정시의 편의를 완화 또는 제거하는 것 은 아니다.

Kennedy(1993)는 보고책임에 의한 편의의 희석화모형을 제시하였다. 모형 을 수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23).

JQ = F(capacity, motivation, internal data, external data) JQ = 의사결정시의 질(judgement quality)을 말함

의사결정의 질(judgement quality)은 노력(effort)이라는 요소와 자료(data) 라는 두 가지의 요소로 결정되며, 노력은 다시 능력(capacity)과 동기 (motivation)의 함수이며, 자료는 내부적 자료(internal data)와 외부적 자료 (external data)의 함수가 된다. 따라서 의사결정의 질은 능력, 동기, 내부적 자료, 외부적 자료의 함수가 된다. 이 모형에서 능력은 의사결정자가 의사결정 시점에 보유하고 있는 개인적인 능력을 말하는 것이며, 동기는 의사결정자가 의 사결정과정상에 투입하게 되는 정신적 노력의 양을 결정하게 되는 유인을 말한 다. 내부적 자료는 의사결정자가 가지고 있는 정보 및 정보체계 즉 지식을 말하 며, 외부적 자료란 의사결정과정에서 외부에서 제공되어지는 정보를 말한다.

22) R. h. Ashton, "Effect of Justification and a Mechanical Aid on Judgment Performance."

Organization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vol 52, 1992, pp.292-306.

23) J. Kennedy, "Debiasing Audit Judgement with Accountability: A Framework and Experimental Results." Journal of Accounting Research 31, Autumn 1993, pp.231-245.

능력과 의사결정의 질의 관계를 보면, 동일한 사람이 여러 개의 의사결정에 투입되면 그 사람의 능력은 분산되므로 특정의 의사결정의 질은 저하된다. 따 라서 여기에 대한 대처방안으로는 능력이 뛰어난 사람에게 의사결정을 맡기든 지 또는 다른 의사결정에 참여하지 말도록 하여 하나의 의사결정에만 참여하 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장기적으로는 볼 때, 능력은 키울 수 있는 요소이므 로 능력이 증대될 수 있도록 교육 등이 이루어져야 한다.

동기와 의사결정의 질의 관계를 보면, 의사결정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더 많은 노력의 투입이 필요하며, 더 많은 노력의 투입을 위해서는 의사결정자로 하여금 더 많은 노력을 투입할 수 있도록 동기부여를 해야 한다. 동기부여란 결국 투입되는 노력에 따른 부의 효용을 상쇄시킬 수 있는 유인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한 유인의 예로 금전적 혜택과 보고책임이 제시될 수 있다.

내부적 자료와 의사결정의 질의 관계를 보면, 의사결정의 질을 높이기 위해 서는 교육 등을 통하여 의사결정자가 가지고 있는 지식의 수준을 높이든지, 의사결정도구를 제공하여 가지고 있는 지식을 더욱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 도록 하여야 한다.

외부적 자료와 의사결정의 관계를 보면, 의사결정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더 많은 자료가 제공되어져야 하며, 제공되어지는 자료는 체계적으로 정리 요 약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비관련자료의 제거도 중요하다. 외부적 자료와 내부적 자료의 차이점은 의사결정시점에 의사결정자의 지식 체계속에 포함되 어 있었는가 하는 것이다. 즉 의사결정자의 지식 체계속에 특정의 정보가 포 함되어 있다면, 그것은 외부적 자료로서의 가치가 없으므로 그러한 정보의 추 가제공은 의사결정의 질을 향상시키지 못한다.

최신효과를 위의 이론에 대응시키면, 최신효과가 발생하는 것은 의사결정자 가 의사결정과정에서 자료의 처리시 추가적인 노력을 투입하지 않기 때문에 발생하는 편의이지 자료의 불충분에 기인하는 편의가 아니다. 따라서 최신효 과를 완화하기 위해서는 의사결정자의 노력을 증대시키도록 하는 동기유발이 필요하며, 그 방법 중 하나로 보고책임이 제시될 수 있다.

보고책임은 특정 전문직업인에 대한 판단과정에서 특히 중요하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이들 분야의 전문직업인들은 자신의 판단이나 행동에 대해 책임 을 진다는 상황에 항상 처해 있게 된다. 이러한 환경에서 전문감사인은 책임 을 지기 위해 자신의 판단이나 의사결정을 정당화시킬 태세가 되어 있어야 한 다.

감사인의 판단을 체계적으로 분석한 첫 연구를 Ashton24)에 의해서 이루어 졌다. 그 이후 감사판단과정과 관련된 다수의 문제들을 조사하여 왔는데, 그 결과 감사인들은 인지심리학에서 구체화된 직관과 편의가 감사인의 여러 측면 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Smith & Kida)25). Tetlock(1985)은 인지연구 패러다임이 판단과 의사결정을 이해하기에는 한계가 있음을 지적하고, 특히 의사결정자에게 직면하는 사회적 환경의 영향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 였다26). 그는 의사결정 환경의 본질적 특성에 상응하여 발전되어온 행위전략 을 구체화할 필요성이 있음을 제안하고 있다. 사회적 환경의 영향요인 가운데 보고책임은 중요한 요인의 하나로 볼 수 있다.

감사인의 판단과정에서 보고책임의 중요성은 Gibbins & Emby(1984)에 의해 수행한 연구에서 잘 나타나고 있다. 그들의 연구는 전문감사인의 판단의 질과 그 결과를 조사하였다. 실무감사인들에 의한 전문적 판단에서 중요하다

감사인의 판단과정에서 보고책임의 중요성은 Gibbins & Emby(1984)에 의해 수행한 연구에서 잘 나타나고 있다. 그들의 연구는 전문감사인의 판단의 질과 그 결과를 조사하였다. 실무감사인들에 의한 전문적 판단에서 중요하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