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가족건강성과 학교생활적응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가족건강성

학교생활적응 .419 80.345

.063 .059 .069 1.081

자아탄력성 .589 .062 .608 9.505***

3. 가족건강성과 학교생활적응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1) 남학생의 경우, 가족건강성과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 전체의 매개효과

연구대상 중, 남학생의 경우 가족건강성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자아탄력 성 전체 변인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Baron & Kenny(1986)가 제안 한 매개효과 검증 절차에 따라 3단계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표

Ⅳ-3>과 같고 이를 도식화하면 <그림 Ⅳ-1>과 같다.

<표 Ⅳ-3> 남학생의 경우, 가족건강성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탄 력성 전체의 매개효과

***p<.001

1단계는 독립변인이 가정된 매개변인을 유의미하게 예언하는지에 대해 알아보 는 과정으로, 남학생의 경우, 가족건강성이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 기 위하여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남학생의 가족건강성은 자아탄 력성에 미치는 영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β=.595, p<.001), 이는 독립변인 이 매개변인을 설명하는 변인으로 작용한다는 가정을 설명한다고 할 수 있겠다.

2단계는 독립변인이 종속변인을 유의미하게 예언하는지를 알아보는 과정으로, 남학생의 가족건강성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단순회

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남학생의 가족건강성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β=.431, p<.001), 이는 위의 회귀모형이 적합하 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남학생의 가족건강성이 학교생활적응을 유의미하게 예 언한다는 가정을 만족한다고 볼 수 있다.

3단계로 독립변인과 매개변인이 동시에 종속변인을 예언하는지를 알아보는 과 정으로 남학생의 가족건강성과 자아탄력성 함께 독립변인으로 투입하여 학교생 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남학생의 자아탄력성의 영향력을 통제한 상태에서 남학생의 가족건강성이 학교 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고(β=.069, p>.05), 매개변인 인 남학생의 자아탄력성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 났다(β=.608, p<.001). 이 때 남학생의 가족건강성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이 2단계에서는 유의하게 나타났지만, 3단계에서는 남학생의 가족건강성이 학교 생활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난 것을 통해 남학생의 경 우, 자아탄력성은 가족건강성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림Ⅳ-1> 남학생의 경우, 가족건강성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탄력성 전체의 완전매개효과

또한 다음의 <표 Ⅳ-4>에서처럼 위계적 회귀분석에서 남학생의 자아탄력성이 어떠한 매개효과를 갖는지 알아보기 위해 Baron & Kenny(1986)가 제시한 Sobel-test 방법을 사용하였다.

<표 Ⅳ-4> 남학생의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검증(Sobel-Test)

변수의 경로 단계 매개효과

(Z-value)

가족건강성 → 자아탄력성 → 학교생활적응 7.206(.000)

*p<.05, **p<.01, ***p<.001

Sobel-test 분석 결과, 남학생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는 다음과 같다. 남학생의 가족건강성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는 Z=7.206, p<.001 으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여학생의 경우, 가족건강성과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자아탄 력성의 매개효과

연구대상 중, 여학생의 경우 가족건강성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자아탄력 성 변인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Baron & Kenny(1986)가 제안한 매 개효과 검증 절차에 따라 3단계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표 Ⅳ-5>

와 같고 이를 도식화하면 <그림 Ⅳ-2>와 같다.

1단계는 독립변인이 가정된 매개변인을 유의미하게 예언하는지에 대해 알아보 는 과정으로, 여학생의 경우, 가족건강성이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 기 위하여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여학생의 가족건강성은 자아탄 력성에 미치는 영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β=.593, p<.001), 이는 독립변인 이 매개변인을 설명하는 변인으로 작용한다는 가정을 설명한다고 할 수 있겠다.

2단계는 독립변인이 종속변인을 유의미하게 예언하는지를 알아보는 과정으로, 여학생의 가족건강성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단순회

단계 독립변인 종속변인

R

2

F B SE β t

1 가족건강성 자아탄력성 .349 127.790 .506 .045 .593 11.304***

2 가족건강성 학교생활적응 .289 97.149 .402 .041 .540 9.856***

3

가족건강성

학교생활적응 .499 119.054

.150 .042 .201 3.529***

자아탄력성 .498 .050 .571 10.007***

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여학생의 가족건강성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β=.540, p<.001), 이는 위의 회귀모형이 적합하 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여학생의 가족건강성이 학교생활적응을 유의미하게 예 언한다는 가정을 만족한다고 볼 수 있다.

<표 Ⅳ-5> 여학생의 경우, 가족건강성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탄력 성 전체의 매개효과

***p<.001

3단계로 독립변인과 매개변인이 동시에 종속변인을 예언하는지를 알아보는 과 정으로 여학생의 가족건강성과 자아탄력성 함께 독립변인으로 투입하여 학교생 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여학생의 자아탄력성의 영향력을 통제한 상태에서 여학생의 가족건강성이 학교 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β=.201, p<.001), 매개변인인 여학생의 자아탄력성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력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 다(β=.571, p<.001). 이 때 여학생의 가족건강성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이 2단계에서는 유의하게 나타났고, 3단계에서도 여학생의 가족건강성이 학교생활적 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그 영향력이 감소한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여학생의 경우, 자아탄력성은 가족건강성과 학교생활적응의 관 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림Ⅳ-2> 여학생의 경우, 가족건강성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탄력성 전체의 부분매개효과

또한 다음의 <표 Ⅳ-6>에서처럼 위계적 회귀분석에서 여학생의 자아탄력성이 어떠한 매개효과를 갖는지 알아보기 위해 Baron & Kenny(1986)가 제시한 Sobel-test 방법을 사용하였다.

<표 Ⅳ-6> 여학생의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검증(Sobel-Test)

변수의 경로 단계 매개효과

(Z-value)

가족건강성 → 자아탄력성 → 학교생활적응 7.456(.000)

*p<.05, **p<.01, ***p<.001

Sobel-test 분석 결과, 여학생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는 다음과 같다. 남학생의 가족건강성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는 Z=7.456, p<.001 으로 나타 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