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海外 健康情報 데이터베이스 現況

Ⅱ. 健康情報 데이터베이스 現況

4. 海外 健康情報 데이터베이스 現況

□ 미국

— 미국 연방 정부는 66개의 Clearinghouse와 정보 센터를 운영하며 이들은 출판물 배포, 조회, 질문에 대한 응답 등의 서비스를 제 공하며 상당수가 무료 전화번호를 제공함.

— 주요 건강정보 데이터베이스로는 CHID(Combined Health Information Database), DIRLINE(Directory of Information Resource Online), MCHLine®이 있음.

— CHID는 미국연방정부의 보건의료 관련기관에서 구축하는 서지 데이터베이스로 1985년부터 건강정보와 보건교육자원정보를 제 공하고 있음.

— DIRLINE(Directory of Information Resource Online)은 기관, 연구, 사업 등 광범위한 내용을 제공하는 미국의학도서관의 온라인 데이터베이스로 보건의료와 생의학에 중점을 두고 있음.

— MCHLine®은 Georgetown 대학의 도서관 시스템의 하나인 the Mary C. Egan Maternal and Child Health Library의 출판물 및 기 타 자료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온라인 데이터베이스로 모자 보건에 관한 광범위한 서지사항정보를 제공함.

□ 영국

— 영국에서는 1998년 9월 NHS 현대화를 위하여 “Information for Health"라는 정보화전략계획을 발표하였으며 정보화전략계획의 일환으로 환자 및 일반국민들의 보건의료정보 요구를 충족시키 기 위한 정보서비스가 계획되어 NHS Direct와 NHS Direct On-line 웹사이트가 개발되어 운영중임.

— NHS Direct는 영국의 NHS에서 국민들이 건강상의 문제에 직면했 을 때 보다 빠르고 쉽게 보건의료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도록 운영 되는 24시간 콜센터로 주로 간호사들과의 상담으로 이루어짐.

— NHS Direct On-line 웹사이트는 건강과 관련되어 최근 이슈화되 고 있는 문제에 대한 전문의료진들의 견해와 여러 가지 뉴스, 건강한 삶을 위한 식이요법이나 체중조절, 운동, 음주, 금연, 스 트레스관리, 치아관리, 작업관리, 퀴즈, 위해성 감소 등의 건강정 보, 건강관리지침서 등을 제공함.

— NHS 홈페이지는 각 지역의 NHS 서비스와 연결망을 구축하고, 사용법이나 어떤 일을 하는 지 등 NHS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

□ 호주

— 호주 정부에서는 다수의 건강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으로 일반인 및 관련 전문가에게 제공하고 있음.

要約 27

— NHMD(National Hospital Morbidity Database)는 호주의 공공병원 과 사립병원을 방문한 환자들의 기록을 데이터베이스화한 것으 로 자료는 주 및 준주(準州)의 정부에 의해 수집됨.

— NCDD(National Cardiovascular Disease Database)는 호주 보건복지 기구, 국립심혈관질환모니터링센터에서 운영하는 데이터베이스 로 심혈관질환으로 인한 사망, 심혈관질환 위험요인, 호주에서의 심혈관질환 관련 처치 및 수술에 대한 정보를 제공

— Perinatal Database는 호주의 출생 및 주산기 사망의 전국적인 자 료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로 주산기 자료 수집은 전국적인 Perinatal Minimum Data Set에 근거함.

— NDI(National Death Index)는 호주 보건복지기구(AIHW)에서 운영 하는 데이터베이스로 1980년 이후 호주에서 발생한 모든 사망자 료를 포함하고 있으며, 각 주 및 준주(準州)의 출생, 사망, 결혼 신고자료에 바탕을 두고 있음.

□ 일본

— 2000년 일본 후생성(MHW: The Ministry of Health & Welfare)에 서는 21세기의 보건정책으로 “건강일본 21”을 천명하고 관련 정 책을 입안, 실시, 평가하는 데 정보가 반드시 필요하며 과학적이 고 양질의 정보를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해서는 “건강일본 21”

의 전략적 정보시스템이 필요하다고 밝힘.

— 사망에 관한 정보는 주로 인구동향통계에 의해서 수집될 수 있고, 인구동향통계는 전국적으로 집계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都道府縣 별, 2차 의료권별, 사업소별, 市町村별까지도 집계가 가능함.

— 질병의 발생상황에 관한 정보는 현시점에서는 국가전체의 통계 는 파악할 수 없고, 몇 都道府縣나 지역에 있어서 암 등록이나 뇌졸중 등록을 하는 것에 그치고 있음.

— 음주, 흡연, 운동 등 보건 행동에 관한 정보는 국민영양조사에 의해 국가 수준으로 파악할 수 있음.

— 보건의료서비스 이용자 측면에서의 ‘주민들의 서비스의 이용 상 황’에 관한 정보 즉, 국민 생활에 관한 정보는 국민생활 기초조 사나 보건복지동향조사 등에서 일부 파악되는 것도 있지만 지속 적으로 조사가 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시계열적인 정보의 확보 가 어려움.

— 보건의료서비스의 제공 상황에 관하여는 기존의 위생 행정 업무 보고(都道府縣별 집계까지 가능), 보건소 운영보고(보건소별 집 계가 가능), 노인보건 사업보고(市町村별 집계가 가능)에 의해 파악할 수 있음.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