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健康情報 데이터베이스 評價基準 마련

Ⅷ. 健康情報 데이터베이스 活用方案

7. 健康情報 데이터베이스 評價基準 마련

□ 인터넷의 무한한 잠재력과 정보의 개방성을 고려해 볼 때 제공되 는 정보의 양이 많은 반면, 정보의 질은 통제할 수 없으며, 특히 건강정보는 사람의 생명과 불구와 같은 핵심적인 문제와 결부되어 있기 때문에 인터넷에서 제공되는 건강정보가 부정확하거나 불완 전하게 제공될 경우 국민건강중진에 심각한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우려가 있음.

□ 따라서 인터넷 건강정보가 가지는 잠재적 중요성을 고려해 볼 때 인터넷상의 검증된 건강정보 전달의 활성화를 위해 제공되는 건강

정보를 평가하고 건강정보의 질 관리를 위한 도구를 개발하는 것 이 요구됨.

□ 우리나라의 건강정보에 대한 인증과 질에 관한 평가는 우선적으로 국내의 민간과 공공을 포함하여 신뢰성 있는 건강정보가 충분히 보유하고 있는가를 조사한 후 이루어져야 하며, 앞으로 이 분야에 대한 보다 세밀한 연구와 기준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보임.

Ⅰ. 序 論

1. 硏究의 背景 및 必要性

최근 인터넷의 급격한 보급으로 일반인 및 보건의료전문가들의 인 터넷을 이용한 건강정보 수집이 증가하고 있다. Media Metrix사의 조 사에 의하면 미국은 2000년 1월 인터넷 사용자의 25% 이상이 건강관 련 사이트를 방문한다고 보고하고 있고, 우리나라도 2000년 9월 현재 건강관련 웹사이트 수가 3,416개로 1999년 10월 747개에 비해 4.5배 증가하였으며 인터넷 이용자의 4.2%가 건강의학사이트에 접속하는 것 으로 보고되고 있다(한국전산원, 2001).

지금까지 이러한 보건의료 관련지식은 대부분 공급자에게 편중되어 있었으며 소비자는 이에 대해 무지한 것으로 인식되어 왔으나, 소득 수준 향상에 따른 의료이용의 증가와 의학 기술의 발달은 소비자로 하여금 건강에 대한 관심과 요구를 증가시켰으며 이는 의료정보의 비 대칭적인 특성에 변화를 초래하게 되었다. 환자와 환자가족뿐 아니라 이제는 일반인들도 의학지식을 포함한 다양한 건강관련 정보를 다양 하게 요구하고 있으며, 이러한 소비자의 요구에 건강정보 서비스 산 업은 수익을 올릴 수 있는 가능성이 많은 분야로 인식되어 의료인이 나 병‧의원, 또는 대기업, 언론사를 포함한 많은 공급자들이 시장진입 에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특히 인터넷은 이러한 정보요구를 충족시 켜줄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채널로서 최근 급격한 인터넷 이용률의 증가는 인터넷 건강정보 이용을 더욱 가속화시키는 촉매제의 역할을 하고있다.

그러나 인터넷의 특징 중의 하나인 개방성 및 공개성은 부정확하거 나 불완전할 가능성이 있는 정보를 적절한 검증이나 평가 절차 없이 확산시킬 수 있으며, 전문지식이 부족한 일반인의 경우 이를 판단하 기가 쉽지 않고 잘못된 정보는 건강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 따라 서 인터넷을 통해 제공되는 건강정보는 무엇보다도 자료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보장되어야 하며, 이는 건강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함으 로써 보장1)받을 수 있다.

국가차원의 정보화, 특히 국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보건의료정 보화를 추진하기 위해서는 건강정보의 데이터베이스 구축은 필수적이 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건강정보의 데이터베이스의 구축과 운영에 는 상당한 비용과 시간이 소모되므로 무분별한 데이터베이스 구축은 자원의 낭비 및 정보의 혼란을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국민의 건강증진에 기여하고 관련 전문가들의 효율적인 업 무지원을 위해서는 국가차원의 멀티미디어 건강정보 데이터베이스의 구축이 요구되어진다.

2. 硏究 目的

본 연구는 멀티미디어 건강정보를 개발하고 건강증진과 관련된 데 이터베이스를 종합적으로 구축‧제공함으로써 국민들에게 올바른 건강 지식의 보급과 국가건강증진 정책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웹서비스 기반의 정보서비스를 제공하며 현재 구축되어 있는 데이터 베이스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연계할 수 있는 종합적인 활용방안을

1) 데이터베이스는 정보를 체계적으로 수집‧축적하여 의사결정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 하는 것으로, 정보에 대한 정확성과 신뢰성이 보장되어야 하며 손쉽게 정보를 검 색할 수 있어야 한다.

序論 57

제시하고자 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외 건강정보 데이터베이스 현황을 파악하고 정보 수요를 분석하여 문제점 및 데이터베이스 개발 방향을 제시한다.

둘째, 현 단계에서 구축이 가능한 범위 내에서 수요도 조사를 바탕 으로 우선적으로 구축해야 할 건강정보 데이터베이스의 분야별 내용 및 범위를 확정하고, 최신정보기술을 이용하여 구축한다.

셋째, 구축된 건강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운영하 며, 지속적으로 갱신‧이용할 수 있는 종합적인 활용방안을 제시한다.

3. 硏究 內容

본 연구는 건강정보 데이터베이스 현황 및 수요도 조사, 데이터베 이스 요구분석, 건강정보 데이터베이스 구축, 건강정보 데이터베이스 활용방안 도출의 네부분으로 나누어진다.

가. 健康情報 데이터베이스 現況 및 需要度 調査 1) 國內外 健康情報서비스 現況 分析

국내 및 국외에서 제공되는 건강정보 제공내용 및 정보센터 현황을 데이터베이스를 중심으로 분석한다.

2) 最新 情報技術 및 先行課題 分析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사용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 데이터웨 어하우스 기술 동향을 분석하고 데이터베이스의 법적 보호 및 표준에 대해 검토한다.

3) 健康情報 利用實態 및 需要調査

일반인 및 전문가를 대상으로 인터넷 건강정보 이용실태 및 수요조 사를 실시하여 건강정보 데이터베이스의 중요도 및 개발의 우선 순위 를 결정한다.

나. 健康情報 데이터베이스 要求分析

현황분석과 수요도 조사에 따라 구축대상 데이터베이스를 결정하고 설계하는 과정으로 시스템 요구사항을 분석하고 데이터 흐름도, 이벤 트 모델, 데이터 모델을 분석한다.

다. 健康情報 데이터베이스 構築

1) 健康生活/疾病과 症狀 데이터베이스 構築

흡연, 음주, 영양, 운동, 정신건강, 체중조절, 암, 당뇨병, 간질환, 심 혈관질환, 성, 성병, AIDS, 여성건강, 아동건강, 구강관리, 환경과 건 강, 노인건강을 내용으로 하는 건강생활/질병과 증상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다.

2) 保健醫療資源 데이터베이스 構築

병원, 약국, 보건소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보건의료자원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한다.

3) 健康增進 硏究事業報告書 데이터베이스 構築

국민건강증진 연구사업은 국민건강증진법 25조 1항 제3호에 의한 국민건강증진 및 만성퇴행성 질환 예방을 위한 조사‧연구사업으로

序論 59

1998년 이후 현재까지 실시되고 있으며, 위 사업의 결과물인 연구실 적 요약 및 연구보고서 전문을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다.

4) 保健敎育資料 電子圖書館 데이터베이스 構築

보건교육자료 소재정보 및 웹 상에서 자료를 제공할 수 있는 보건 교육자료 전자도서관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다.

5) 統計情報 데이터베이스 構築

보건의료와 관련된 통계정보를 인터넷 상에서 제공할 수 있는 통계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다.

라. 健康情報 데이터베이스 活用方案 提示

건강정보 데이터베이스 구축의 제한점 및 향후 활용방안을 제시한다.

4. 硏究 方法

본 연구는 국내외 건강정보 데이터베이스 현황 분석, 건강정보 데 이터베이스 이용실태 및 정보수요조사, 건강정보 데이터베이스 요구 분석을 바탕으로 건강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며, 구축된 건강정 보 데이터베이스를 인터넷을 통해 일반인과 관련 전문가에게 제공하 고, 이를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활용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국내외 건강정보 데이터베이스 현황을 분석하기 위해 국내외 건강 사이트의 정보 서비스를 분석하며 관련 문헌을 검토한다. 일반인과 보건의료 전문가를 대상으로 건강정보 데이터베이스 이용실태 및 정 보수요조사를 실시하고 전문가 자문회의를 거쳐 건강정보 데이터베이

스의 중요도 및 개발 우선순위를 결정한다. 또한 시스템 개발업체와

Ⅱ. 健康情報 데이터베이스 現況

1. 先行硏究

보건의료정보 데이터베이스 구축과 관련되어 진행되었던 연구들을 보면 대부분의 연구가 단기적으로 진행되었으며, 그 결과 관련 정보 데이터베이스가 산발적으로 구축되어 이에 대한 지속적이고 효율적인 운영에는 한계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건강정보 관련 국내 선행연구로는 박효순 등의 󰡔국민건강정보망 구 축을 위한 데이터베이스의 개발(1996)󰡕, 이규백 등의 󰡔보건의료정보의 수요조사와 제공된 정보의 유용성 평가(2000)󰡕, 하은희 등의 󰡔인터넷 을 활용한 보건교육 정보서비스 제공을 위한 요구도 조사(1999)󰡕, 김 은정의 󰡔인터넷 이용자들의 인터넷 의료정보서비스 이용행태에 관한 연구(1999)󰡕가 있다.

󰡔국민건강정보망 구축을 위한 데이터베이스의 개발󰡕에서는 국내외 보건의료 및 복지 관련 데이터베이스의 종류를 문헌조사, PC 통신망, 인터넷을 이용하여 조사한 후 일반인에게는 일반인용 데이터베이스의 중요인식도 및 개발 우선 순위를, 전문가에게는 전문가 및 일반인용 데이터베이스 중요인식도 및 개발 우선 순위를 조사하였다.

󰡔보건의료정보의 수요조사와 제공된 정보의 유용성 평가󰡕에서는 설 문조사를 위한 홈페이지를 구축, 1년간 운영하면서 일반인과 의료인 에게 종류별 의료정보의 유용성을 5점 척도(0점, 0.25점, 0.5점, 0.75점, 1점)로 측정하였다.

󰡔인터넷을 활용한 보건교육 정보서비스 제공을 위한 요구도 조사󰡕

는 인터넷을 이용한 보건교육 정보서비스 제공을 위해 초‧중‧고등학

는 인터넷을 이용한 보건교육 정보서비스 제공을 위해 초‧중‧고등학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