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사회 변화가 가속화되는 정보화 사회에 살고 있는 우리는 여러 가지 새로운 상황에 현명하게 대처하고 능동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과 창의력 및 판단력을 갖춘 사 회적 사고력이 요청되고 있다. 그러므로 현 시대의 사회는 정확한 판단력과 유연한 생각을 가지고 변화에 잘 적응해 나가는 사람을 기대하고 있다. 미래의 사회에서는 복잡한 사회적 사실간의 관계를 인식하고 직면한 문제를 해결하는 창의적인 사고를 가진 사람이라야 개인적으로는 참다운 인간적인 삶을 누릴 수 있고 행복한 생활을 영 위할 수 있을 것이며 국가, 사회적으로 볼 때에는 성숙한 사회인으로서의 국가 사회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사회과 수업의 목적은 사회의 제현상 즉 인간과 인간과의 관계, 인간과 자연과의 관계 및 인간생활의 변화과정을 대상으로 하여 미래의 시민으로서의 당면한 사회적, 개인적인 문제에 대한 합리적인 결정을 내릴 수 있는 자질을 육성하는데 있다. 그러 므로 사회과 교육에서는 학습자들이 사회현상을 바르게 인식하고 사회생활을 원활하 게 영위하는 데 중요한 요소인 사회적 사고력 즉 판단 능력의 신장을 강조하고 있다.

한편 현대사회는 소위 정보화 사회, 세계화 사회로 치닫고 있다. 오늘날은 천혜의 자연자원이나 자본이 아니라 정보와 그 정보처리를 위한 창의력, 사고력, 판단력 등을 포함하는 사회적 사고력이 사회를 지배하는 정보화 시대이다. 지식이 폭발적으로 증 가하고 그 생성, 소멸 주기가 짧아서 취득해야 할 정보의 양이 엄청난 사회가 되었다.

전통적인 지식 전달식의 교육이 감당할 수 있는 한계를 넘어선 지 오래되었다. 그리 고 사람들이 고통받지 않고 행복하게 살아가는 방법을 실천해 내는 높은 차원의 사고 력이 요청되는 것은 현대사회의 불확실성과 복잡성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현대의 사회과 교육은 사실적 지식이나 사회현상을 가르치기보다는 생각하는 힘, 즉 사고에 대한 사고, 인지에 대한 인지를 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주는 교육이 강조되 고 있다.1)

1) 車京守(1997), 「現代의 社會科敎育」, 學文社, p.193

앞으로는 더욱 이 분야의 연구가 필요한데 이제는 학습자 스스로가 자기 주도적으 로 학습의 방향을 찾고 복잡한 사회현상에 대한 자기의 입장에서의 문제를 주체적으 로 해결해나가는 자기 학습력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사회과 교육은 근본적인 이론을 추구하기 보다는 올바른 사회과학의 교육을 위한 방법적인 성향이 매우 짙다.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 에서 사회과 교육은 출발 되는 것뿐만 아니라 ‘무엇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의 ‘어떻게’ 가 더 강조되는 학문 이 바로 사회과 교육이다. 즉 사회과 교육은 판단능력의 배양이라고 하는 수단적인 성격이 매우 강조되는 학문이 되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사회과 교육은 사회생활 에 당면하는 문제해결을 중심으로 일면으로 사회과학적 지식을 탐구하고 일면으로는 가치․태도 교육을 실시하여 ‘전인으로서의 사회인을 기르는 교과교육’이라고 할 수 있으며 사회교육을 연구해 나가면 곳곳에서 어떤 방법으로 학습하는 것이 올바른 학 습인가 하는 문제가 꾸준히 대두된다.2)

현대사회가 복잡하고 다양하게 발전하면 인간생활은 편리하고 유익하게 될 것 같으 나 해결해야할 문제는 계속 속출되고 있다. 민주정치의 발전, 공동체의식의 고양, 인 간의 존엄, 자율적인 태도, 자원, 인구, 복지시설의 건설, 전통문화의 계승, 환경오염, 교통체증, 등의 문제가 사회발전과 인간생활의 향상을 위하여 계속하여 속출하고 있 다. 이와 같은 문제가 해결되면 또다시 새로운 문제가 대두되어 문제는 우리의 주변 에서 떠나지 않고 있는 것이다. 이러므로 인간들이 당면한 문제를 탐구한 지식을 기 반으로 과학적이면서도 현명하게 그리고 합리적인 절차에 따라 자기 스스로 잘 해결 할 수 있는 문제해결 기능과 사고력을 신장시켜줄 필요성이 등장하게 된 것이다. 3)

그러나 사회과 교육이 도입되어 실시되는 과정에서 사회과 학습의 방법이나 교과 의 목적과 방향 그리고 시대의 요구를 파악하는 올바른 사회과 교육에 대한 많은 연 구가 이루어져 왔으나 미흡한 실정이다. 특히 초등학교 교육의 현실에서 교사의 새로 운 인식 부족과 지식위주의 교육, 경직된 교육과정의 운영, 교사의 교육과정 운영의 미숙, 학습지도기술의 부족 등으로 인하여 사회과 교육의 질 향상을 더욱 어렵게 하 고 있다. 이러한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사회과 학습에 대한 문제점 및 개선방안의 연 구가 끊임없이 전개되었으며, 교사의 설명에 의존하는 일제 획일적인 수업 방법은 많 이 개선되어 가고 있다.

2) 權五定 外(1986), 「社會科敎育 (Ⅰ)」, 韓國放送通信大學 出版部, p. 14 3) 趙光濬 外(1994), 「韓國 社會科 敎育學 槪論」, 敎育科學社, p.58

그러나 사회현상을 바르게 인식하고 사회적 문제를 능률적으로 해결하며 사회 생활 을 원활히 해 나가는데 필요한 사회적 사고력의 향상을 위해서는 우리의 교실은 더 많이 달라져야 하며 학습자 스스로가 자기 주도적으로 학습의 방향을 설정하고 개별 화 과제를 선택하여 역동적으로 사고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교실 수업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수요자 중심의 평생 열린교육의 분위기가 확산되고 있는 추세에 발맞추 어 모든 교사가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는 학습 방법 및 학습 과정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취지에서 사회과 학습지도에서 자기 스스로 문제를 찾아 조사, 탐구, 토의, 분석, 종합하는 과정을 통하여 문제 해결력을 기르고 사고력을 신장시키기 위한 방 법을 모색하기 위해서 본 연구가 필요하다고 보아진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과 학습에서 사회적 사고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효율 적인 방법을 모색하고 자기 주도적 학습과정을 구안하여 제시하려는 것이다.

이 연구는 근래에 와서 비교적 관심이 많아진 열린교육과 일맥 상통하는 부분이므 로 선행연구가 많지 않은 편이다. 그러나 이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사회과 학습의 새로운 전환을 위해서는 이러한 시도가 불가피하며 앞으로의 학습은 이런 토대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그리고 본 연구는 문헌 분석을 통하여 사회적 사고력의 신장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사회과에서 기르려고 하는 사회적 사고력의 성격을 분석․비교하여 사고력을 신장시 키기 위한 학습방안의 개발을 위하여 자기 주도적 학습 이론 및 기존의 사고력 신장 을 위한 학습 프로그램을 비교 고찰하였다. 연구의 범위는 초등학교의 사회과 학습 에 한정하고 학습자의 자기 주도적 학습 과정안을 구안․제시하는 것에 주안점을 두 었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