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 1 월별 평균 기온 분포도
<4~6월 평균> <4월>
<5월> <6월>
평년보다 높음 평년과 비슷함 평년보다 낮음
※ 기온의 평년 비슷 범위: 평년평균±1σ 범위 내에 구간 자료: 기상청 및 국립농업과학원 자료를 활용하여 필자 작성
그림 2 월별 강수량 분포도
<4~6월 합계> <4월>
<5월> <6월>
평년보다 많음 평년과 비슷함 평년보다 적음
※ 강수량의 평년 비슷 범위: 평년강수량의 33~66퍼센타일에 해당하는 구간 자료: 기상청 및 국립농업과학원 자료를 활용하여 필자 작성
2 2022년 4~6월 북한의 농업기후지대별 기상 개요
그림 3 서해안수양산이북지대
<지역 구분> <평균기온(℃)>
<강수량(㎜)> <일사량(MJ)>
기상 요소
2022년 2021년 최근 5년
4월 5월 6월 평균/
누적 4월 5월 6월 평균/
누적 4월 5월 6월 평균/
누적 평균기온
(℃) 12.3 16.5 21.5 16.8 12.2 16.2 21.2 16.5 11.2 16.9 21.4 16.5 최고기온
(℃) 18.5 23.0 25.7 22.4 18.2 21.7 26.1 22.0 17.4 23.0 26.9 22.4 최저기온
(℃) 6.9 11.1 18.1 12.0 7.2 11.4 17.2 11.9 5.7 11.7 16.9 11.4 강수량
(㎜) 11.6 18.7 380.8 411.1 65.8 114.8 195.2 375.8 48.6 84.3 128.7 261.6 일사량
(MJ) 601.0 703.6 537.3 1841.9 559.6 637.9 619.4 1816.9 579.7 667.0 649.5 1896.2 자료: 기상청 및 국립농업과학원 자료를 활용하여 필자 작성
그림 4 수양산이남지대
<지역 구분> <평균기온(℃)>
<강수량(㎜)> <일사량(MJ)>
기상 요소
2022년 2021년 최근 5년
4월 5월 6월 평균/
누적 4월 5월 6월 평균/
누적 4월 5월 6월 평균/
누적 평균기온
(℃) 12.7 16.7 21.3 16.9 12.8 16.1 21.4 16.8 11.7 17.0 21.7 16.8 최고기온
(℃) 18.7 22.8 25.1 22.2 18.2 21.2 25.8 21.7 17.3 22.4 26.6 22.1 최저기온
(℃) 7.7 11.6 18.3 12.5 8.3 11.8 17.9 12.7 6.6 12.1 17.5 12.1 강수량
(㎜) 13.9 11.7 349.6 375.2 89.2 174.2 92.4 355.8 73.1 127.5 85.3 285.9 일사량
(MJ) 605.2 710.7 518.5 1834.4 559.8 616.7 625.3 1801.8 578.5 658.4 651.8 1888.7 자료: 기상청 및 국립농업과학원 자료를 활용하여 필자 작성
그림 5 동해안남부지대
<지역 구분> <평균기온(℃)>
<강수량(㎜)> <일사량(MJ)>
기상 요소
2022년 2021년 최근 5년
4월 5월 6월 평균/
누적 4월 5월 6월 평균/
누적 4월 5월 6월 평균/
누적 평균기온
(℃) 13.9 17.9 20.5 17.4 12.0 16.3 20.3 16.2 12.3 17.4 21.0 16.9 최고기온
(℃) 20.4 24.9 25.4 23.6 17.5 21.7 24.7 21.3 18.0 23.1 26.0 22.4 최저기온
(℃) 7.8 11.8 16.9 12.2 7.3 11.7 16.7 11.9 6.9 12.3 16.9 12.0 강수량
(㎜) 38.6 21.5 272.9 333.0 77.6 127.8 75.0 280.4 76.7 106.6 95.1 278.4 일사량
(MJ) 594.9 683.2 531.6 1809.7 571.5 615.4 614.6 1801.5 572.0 653.8 631.7 1857.5 자료: 기상청 및 국립농업과학원 자료를 활용하여 필자 작성
그림 6 중부산간지대
<지역 구분> <평균기온(℃)>
<강수량(㎜)> <일사량(MJ)>
기상 요소
2022년 2021년 최근 5년
4월 5월 6월 평균/
누적 4월 5월 6월 평균/
누적 4월 5월 6월 평균/
누적 평균기온
(℃) 11.3 15.1 20.2 15.5 10.8 14.8 20.2 15.3 10.1 15.9 20.6 15.5 최고기온
(℃) 18.8 22.6 25.0 22.1 17.7 21.1 25.9 21.6 17.2 22.7 26.8 22.2 최저기온
(℃) 4.2 8.0 16.1 9.4 4.5 9.0 15.5 9.7 3.4 9.7 15.3 9.5
강수량
(㎜) 24.6 46.7 417.2 488.5 79.4 173.6 159.1 412.1 67.1 119.8 121.6 308.5 일사량
(MJ) 614.9 719.3 558.2 1892.4 577.7 631.0 628.0 1836.7 588.8 666.5 651.3 1906.6 자료: 기상청 및 국립농업과학원 자료를 활용하여 필자 작성
그림 7 동해안북부냉해지대
<지역 구분> <평균기온(℃)>
<강수량(㎜)> <일사량(MJ)>
기상 요소
2022년 2021년 최근 5년
4월 5월 6월 평균/
누적 4월 5월 6월 평균/
누적 4월 5월 6월 평균/
누적 평균기온
(℃) 9.3 13.5 17.3 13.4 9.1 13.5 18.0 13.5 9.0 13.5 17.6 13.4 최고기온
(℃) 15.2 19.0 20.9 18.4 14.5 18.2 21.6 18.1 14.6 18.9 21.9 18.5 최저기온
(℃) 4.5 9.4 14.9 9.6 4.6 9.6 15.2 9.8 4.2 9.4 14.6 9.4
강수량
(㎜) 14.1 48.7 226.2 289.0 30.8 69.6 128.4 228.8 25.2 100.1 72.1 197.4 일사량
(MJ) 590.8 655.7 488.0 1734.5 569.5 628.1 566.7 1764.3 571.9 647.5 603.9 1823.3 자료: 기상청 및 국립농업과학원 자료를 활용하여 필자 작성
그림 8 북부내륙지대
<지역 구분> <평균기온(℃)>
<강수량(㎜)> <일사량(MJ)>
기상 요소
2022년 2021년 최근 5년
4월 5월 6월 평균/
누적 4월 5월 6월 평균/
누적 4월 5월 6월 평균/
누적 평균기온
(℃) 11.0 14.6 20.2 15.3 9.8 13.8 19.8 14.5 9.0 15.5 20.3 14.9 최고기온
(℃) 18.9 22.2 26.0 22.4 17.8 21.0 26.8 21.9 16.7 23.1 27.4 22.4 최저기온
(℃) 3.2 7.9 16.1 9.1 1.6 7.5 14.4 7.8 1.5 8.6 14.4 8.2
강수량
(㎜) 46.1 64.4 192.0 302.5 28.7 80.0 156.9 265.6 31.2 83.3 73.0 187.5 일사량
(MJ) 603.8 680.2 528.0 1812.0 591.7 636.7 617.2 1845.6 584.3 658.1 664.7 1907.1 자료: 기상청 및 국립농업과학원 자료를 활용하여 필자 작성
그림 9 북부고산지대
<지역 구분> <평균기온(℃)>
<강수량(㎜)> <일사량(MJ)>
기상 요소
2022년 2021년 최근 5년
4월 5월 6월 평균/
누적 4월 5월 6월 평균/
누적 4월 5월 6월 평균/
누적 평균기온
(℃) -15.1 -12.8 -2.5 -10.1 -15.8 -8.3 -1.0 -8.4 -14.8 -10.8 -2.5 -9.4 최고기온
(℃) -7.5 -5.8 3.4 -3.3 -8.7 -0.8 6.0 -1.2 -7.2 -3.4 4.5 -2.0 최저기온
(℃) -21.9 -19.6 -8.2 -16.6 -22.1 -15.5 -7.5 -15.0 -20.9 -17.9 -9.4 -16.1 강수량
(㎜) 3.0 4.8 35.0 42.8 8.6 7.7 25.1 41.4 10.3 19.5 21.0 50.8 일사량
(MJ) 244.8 310.9 431.5 987.2 240.7 315.5 468.1 1024.3 240.3 312.7 482.8 1035.8 자료: 기상청 및 국립농업과학원 자료를 활용하여 필자 작성
* 본 자료 가운데 기온 및 강수량은 기상청에서 제공되고 있는 북한 27개 관측 지점의 기상자료로 계산되었음. 단, 일사량은 관측값이 아니며, MT-CLIM 4.3(USA) 프로그 램에 의해 추정된 값으로 국립농업과학원에서 제공되었음.
* 평년은 1991~2020년을 의미하며, 최근 5년은 2017~2021년을 의미함.
* 27개 관측 지점은 다음과 같은 농업기후지대로 구분하였음.
농업기후지대 지역
서해안 수양산 이북지대 신의주, 구성, 안주, 평양, 남포, 사리원, 용연
수양산 이남지대 해주, 개성
동해안 남부지대 함흥, 원산, 장전
중부산간지대 수풍, 희천, 양덕, 신계, 평강
동해안 북부 냉해지대 선봉, 청진, 김책, 신포
북부 내륙지대 중강, 강계
북부 고산지대 삼지연, 혜산, 풍산, 장진
북한의 대외 교역 동향
북중 교역 동향
북중 교역 동향
1 최근 북중 교역 추이 및 개황
최근 북중 교역 추이
○ 북한의 대중국 전체 수출입 규모는 2013년에 정점을 기록한 이후 2017년 말 대북제재 의 영향으로 급감한 뒤 2018~2019년 수입을 중심으로 다소 회복세를 보이는 듯했으나, 2020년 이후로는 중국 또는 북한지역의 코로나19 확산세에 따라 중단 또는 일시적으로 재개되고 있음.
- 북한의 대중국 전체 수입액은 2013년 4분기 정점(10억 3,400만 달러)을 기록한 뒤 2017 년 4분기 큰 폭으로 하락하였으며, 2018~2019년 다소 회복세로 전환되는 듯했으나, 2020년 코로나19의 영향으로 다시 급격히 감소하였음. 2021년 2분기 이후 코로나19 확 산세에 따라 교역이 제한적으로 이루어졌으나 2022년 5월 북한 코로나19 확진자 발생으 로 국경이 재봉쇄되면서 2022년 2분기 수입은 1분기 대비 소폭 하락함.
- 북한의 대중국 전체 수출액은 수입규모와 비슷하거나 약간 하회하다가 2017년 대북제재 실시 이후 크게 하락한 뒤 100만 달러 이하 수준에 머물렀으며, 2020년에는 코로나19 확 산 방지를 위한 국경 봉쇄로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다 2021년 2분기를 기점으로 회복세를 보였음. 그러나 2022년 5월 북한 내 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하면서 국경 봉쇄를 강화함에 따라 2분기 수출은 1분기 대비 절반 수준으로 감소함.
○ 북한의 대중국 농림축산물 수출입 규모는 전체 수출입 추이와 대체로 유사한 양상을 보 임. 특히 2017년 4분기 이후 2019년 4분기까지 농림축산물 수입은 증가하는 추세를 보 였던 반면 농림축산물 수출은 급격히 축소되었고 2018년 2분기 이후 거의 실적이 없다가 2020년 이후로는 코로나19 확산세에 따라 중단 또는 일부 품목에 한해 재개되고 있음.
- 북한의 대중국 농림축산물 수입액은 2017년 1분기 이후 계절성을 제외하고 상당한 폭의
증가세를 보이며 2019년 4분기에는 2억 5,691만 달러로 정점을 기록하였음. 그러나 2020 년 들어 코로나19 유입을 막기 위해 국경을 봉쇄하면서 크게 하락하거나 거의 수입이 이루 어지지 않았음. 2021년 1분기 이후 소폭 증가하는 듯 했으나, 2022년 5월 북한 코로나 확 진자 발생으로 접경지역 방역이 강화됨에 따라 2분기 수입액은 1분기 대비 소폭 감소함.
- 북한의 대중국 농림축산물 수출액은 2017년 4분기에 정점을 기록하고 큰 폭으로 하락한 뒤 변화 없이 낮은 수준을 유지하다가 코로나19로 국경이 봉쇄되면서 2020년 4분기~
2021년 1분기에는 거의 수출이 이루어지지 않았음. 2021년 2분기를 기점으로 소폭 회복 세를 보였으나 2022년 5월 북한지역 코로나 확진자 발생으로 국경 봉쇄가 재개되면서 2022년 2분기 농림축산물 수출은 6천 달러 수준에 그침.
그림 1 북한의 대중국 교역 현황(2013년 1분기~2022년 2분기)
단위: 백만 달러
자료: 한국무역협회(http://www.kita.net)
2022년 2분기 북한의 대중국 교역 개황
○ 2022년 2분기 북한의 대중국 무역액은 1억 4,388만 615달러로, 전분기 대비로는 26.9%
감소했으며, 전년 동기 대비로는 198.5% 증가함.
- 2022년 2분기 북한의 대중국 수입액은 1억 3,195만 6,874달러로 2022년 5월 12일 북한 에서 코로나19 첫 감염사례가 나타남에 따라 국경 봉쇄가 재개되면서 수입규모는 전분기 대비 23.9% 감소했으며, 전년 동기 대비로는 201.4% 증가하였음. 주요 수입 품목은 사탕 수수당(HS CODE 1701), 밀가루(HS CODE 1101), 글루탐산나트륨(HS CODE 2922), 합성스테이플섬유(HS CODE 5503), 고무타이어(HS CODE 4011), 대두유와 그 분획물 (HS CODE 1507) 등임.
- 2022년 2분기 북한의 대중국 수출액은 1,192만 3,741달러로 전분기 대비 49.3% 감소했 으나 전년 동기 대비로는 170.1% 증가하였음. 주요 수출 품목은 전기에너지(HS CODE 27161)), 페로실리콘(HS CODE 7202), 플로트 유리(HS CODE 7005), 탄화규소(HS CODE 2849), 잉곳(ingot)(HS CODE 7206), 생사(HS CODE 5002) 등임.
- 2021년 4분기 북한의 대중국 무역수지 적자 규모는 1억 2,003만 3,133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로는 204.9% 증가하였지만 전분기 대비로는 19.9% 감소하였는데, 이는 2022년 5월 북한에서 코로나19 확진자 발생으로 국경 봉쇄를 재개함에 따라 교역 규모가 줄어들었기 때문임.
○ 2022년 2분기 대중국 농림축산물 교역액은 4,040만 5,426달러로, 전분기 대비로는 14.2% 감소하였으나 전년 동기 대비로는 593.7% 증가함.
- 2022년 2분기 농림축산물 수입액은 3,976만 6,850달러로 전분기 대비로는 4.0% 감소하 였으나 전년 동기 대비로는 크게 증가함. 주요 수입품으로는 사탕수수당(HS CODE 1701), 밀가루(HS CODE 1101), 대두유와 그 분획물(HS CODE 1507), 대두(HS CODE 1201), 잎담배(HS CODE 2401), 제조 담배(HS CODE 2403) 등임.
- 2022년 2분기 중국으로의 농림축산물 수출액은 6,385달러로 5천만 달러를 상회했던 전분기 대비 88.7% 하락함. 주요 수출품으로는 생사(HS CODE 5002), 견 웨이스트(HS CODE 5003), 기타 조제식료품(HS CODE 2106), 기타 식물성 수액과 추출물(HS CODE 1302) 등임.
1) 압록강 유역 북·중 합작 수력발전소(수풍댐)에서 생산되는 전기 중 일부를 중국으로 송전한 것임.
표 1 북한의 대중국 농림축산물 교역 현황
단위: 백만 달러, %
분류
2021년 2022년 2분기
증감률 (B/A) 1분기 2분기
(B) 3분기 4분기 합계 1분기 4월 5월 6월 2분기 (A) 7월
전체
무역액 17.6 48.2 119.6 133.8 319.2 196.9 102.3 19.7 21.8 143.9 72.7 198.5
수출 4.5 4.4 24.6 24.3 57.9 23.5 4.2 5.2 2.5 11.9 13.0 170.1
수입 13.0 43.8 95.0 109.5 261.3 173.4 98.1 14.5 19.3 132.0 59.7 201.4
수지 -8.5 -39.4 -70.3 -85.3 -203.4 -149.8 -93.8 -9.3 -16.9 -120.0 -46.8 204.9
농 림 축 산 물
무역액 0.0 5.8 34.7 23.9 64.4 47.1 26.0 8.6 5.8 40.4 19.8 593.7
수 출
농산물 0.0 0.5 4.5 1.4 6.4 5.6 0.6 0.0 0.0 0.6 1.6 -100.0
임산물 0.0 0.0 0.0 0.0 0.0 0.0 0.0 0.0 0.0 0.0 0.0 -
축산물 0.0 0.0 0.0 0.0 0.0 0.0 0.0 0.0 0.0 0.0 0.0 -
합계 0.0 0.5 4.5 1.4 6.4 5.6 0.6 0.0 0.0 0.6 1.6 33.0
수 입
농산물 0.0 4.7 28.4 16.7 49.9 40.4 24.7 8.5 5.7 38.9 17.4 728.6
임산물 0.0 0.0 0.0 0.0 0.0 0.0 0.0 0.0 0.0 0.0 0.0 -
축산물 0.0 0.6 1.8 5.8 8.2 1.0 0.6 0.1 0.1 0.9 0.8 32.2
합계 0.0 5.3 30.2 22.5 58.1 41.4 25.4 8.6 5.8 39.8 18.3 644.0
수지 0.0 -4.9 -25.7 -21.1 -51.7 -35.8 -24.7 -8.6 -5.8 -39.1 -16.7 704.3
비중
무역 0.0 12.1 29.0 17.9 20.2 24.8 25.4 43.5 26.7 28.1 27.3 132.4
수출 0.0 10.9 18.3 5.7 11.0 26.2 15.0 0.0 0.0 5.4 12.1 -50.8
수입 0.0 12.2 31.8 20.6 22.2 24.6 25.9 59.1 30.1 30.1 30.6 146.9 주: 1) 비중은 전체 무역/수출/수입액에서 농림축산물 무역/수출/수입액이 차지하는 비중을 의미함.
2) 위의 수치 및 합계는 반올림한 것임.
3) 백만 달러 미만의 숫자를 반올림한 수치이므로 표에 나타난 수치들의 단순 합계와 실제 합계가 다를 수 있음.
자료: 한국무역협회(http://www.kita.net)
2 곡물 및 비료 수입 동향
곡물
○ 2022년 2분기 북한의 대중국 곡물 수입액은 1,103만 1,220달러로 전분기 대비 186.5%
증가하였으며, 수입이 전무했던 전년 동기 대비로도 크게 증가함.
- 곡물별 수입 비중(누적 금액 기준)으로 살펴보면 2분기에는 밀가루 67.7%, 대두 26.9%, 쌀 3.6%, 보리 1.9% 순으로 수입되었으며, 옥수수는 수입되지 않았음.
- 수입 실적이 전무했던 2021년 2분기 대비 2022년 2분기에는 곡물 수입이 이루어지긴 했 으나 아직 코로나19 이전 대비 절반 수준에 불과함.
표 2 북한의 대중국 곡물 수입
단위: 천 달러 품목
(HS 코드)
쌀(1006) 밀가루(1101) 보리(1107) 옥수수(1005) 대두(1201) 합계
금액 금액 금액 금액 금액 금액
2020년 1분기 589 12,703 175 317 0 13,784
2020년 2분기 0 21,097 314 44 0 21,455
2020년 3분기 0 1,676 241 0 0 1,917
2020년 4분기 0 0 0 0 0 0
2020년 합계 589 35,476 730 361 0 37,156
2021년 1분기 0 0 0 0 0 0
2021년 2분기 0 0 0 0 0 0
2021년 3분기 0 0 306 0 3,400 3,706
2021년 4분기 0 340 279 0 2,504 3,123
2021년 합계 0 340 585 0 5,904 6,829
2022년 1월 0 2,214 0 0 361 2,575
2022년 2월 0 1,536 174 0 0 1,710
2022년 3월 111 512 157 0 142 923
2022년 1분기 111 4,262 331 0 503 5,207
2022년 4월 393 3,731 206 0 0 4,331
2022년 5월 0 847 0 0 2,968 3,815
2022년 6월 0 2,886 0 0 0 2,886
2022년 2분기 393 7,464 206 0 2,968 11,031
2022년 7월 5,156 1,056 0 0 495 6,707
2022년 소계 5,660 12,782 537 0 3,966 22,945
총계 6,249 48,598 1,852 361 9,870 66,930
주: 백만 달러 미만의 숫자를 반올림한 수치이므로 표에 나타난 수치들의 단순 합계와 실제 합계가 다를 수 있음.
자료: 한국무역협회(http://www.kita.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