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설문지를 구성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변수별로 4개로 구분되어 있고 문항 수는 총 29개 이다. 모든 변수들은 기존의 연구에서 사용되었던 척도들을 사용하여 측

정하였으며, 설문 응답자들은 ‘전혀 그렇지 않다’=1에서 ‘매우 그렇다’=5 까지 각 문항들에 대하여 개인의 견해를 5점 척도에 따라 표시하도록 하 였다.

<표7> 설문지 문항 수와 출처

구분 측정변수 문항 수 출처

독립변수 심리적 계약위반 9 Robinson&Morrison(2000) 매개변수 개인-환경 적합성 8 Saks & Ashforth(1997)

종속변수 이직의도 5 Mobley(1982)

통제변수 인구통계 7

문항 수(계) 29

제4장 실증분석

제1절 표본의 선정 및 자료수집

본 연구는 신입직원의 심리적 계약위반과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 있어 개인-환경 적합성이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고자 가설검증을 위해 설문지법을 활용하였다. A공공기관에 근무하는 신입직원을 대상으로 404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이중 301부의 설문지가 회수되어 응답 률 74.5%를 보였다. 회수된 설문지 중 응답 누락 등 불성실 응답으로 판 단된 59부를 제외, 실제 분석에는 242부를 사용하였다. 통제변수로는 성 별, 결혼여부, 연령, 학력, 직급, 직렬, 근속년수를 설정하였다.

제2절 표본의 일반적 특성

본 연구의 실증분석에 사용된 표본의 특성은 아래와 같다.

<표8>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분석

구분 빈도(명) 비율(%)

성별 119 49.2

123 50.8

결혼여부 기혼 37 15.3

미혼 205 84.7

연령

20세 미만 3 1.2

20세 이상 ∼ 30세 미만 142 58.7

30세 이상 ∼ 40세 미만 95 39.3

40세 이상 2 0.8

학력

고졸 26 10.7

전문대졸 2 0.8

대졸 201 83.1

대학원졸 이상 13 5.4

직급

사원/주임(6급)이하 53 21.9

대리급(5급) 129 53.3

과장급(4급) 60 24.8

차장급(3급) - -

직렬

일반직(행정직) 237 97.9

연구직 4 1.7

기타 1 0.4

근속년수

1년 미만 15 6.2

1년 이상 ∼ 2년 미만 56 23.1

2년 이상 ∼ 3년 미만 55 22.7

3년 이상 ∼ 4년 미만 25 10.3

4년 이상 ∼ 5년 미만 40 16.5

5년 이상 51 21.1

합계 242 100.0

제3절 자료처리 및 분석

본 연구에서는 통계패키지 SPSS 23.0을 이용하여 앞서 설정한 가설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A공공기관 신입직원의 심리적 계약 위반, 개인-환경 적합성, 이직의도의 관계를 살펴보기 전에 본 연구는 채택한 측정도구가 유효 변수로 볼 수 있는지에 대한 검증을 실시하고 이후 가설검증을 실 시하였다.

먼저 실증연구의 표본에 대한 특성을 정리하기 위해 기초적인 분석으 로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하였고, 각 변수의 신뢰성 검증을 위 하여 Cronbach’s α값을 이용한 내적 일관성 검증방법(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을 이용하였다. 또한 각 변수 간의 구성개념 타당성(construct validity) 검증을 위하여 요인분석(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본 연구에서 설정한 가설검증을 위한 분석기법으로는 심리적 계약위반이 개인-환경 적합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 하여 상관관계 분석(correlation analysis)과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으며, SPSS 23.0 PROCESS macro model 4를 활용 하여 심리적 계약위반과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개인-환경 적합성의 매개 효과를 분석하였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