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8 장. 집단의사결정 (Group Decision Making)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8 장. 집단의사결정 (Group Decision Making)"

Copied!
5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8 장. 집단의사결정 (Group Decision Making)

1. 무엇인가?

2. 집단극화 3. 집단사고

4. 집단에서의 경쟁과 협동

집단 속에 있게 되면 혼자 있을 때와는 다른 행동을 하게 된다. 혼자 있을 때는 도저히 할 수 없는 극단적 행동도 과감히 할 수 있게 되며, 다른 사람들이 자신을 보고 있으면 더 잘하고 싶은 동기가 생기고 더 열심히 일하는 경향이 있다.

집단에 관한 연구는 사회심리학의 초창기부터 가장 핵심적인 주제로 다루어져 왔으나 인지적 접근의 유행과 연구의 어려움 등으로 1960년대부터 서서히 쇠퇴하였다가 1980 년대 후반부터 다시 활성화되었다.

이 장에서는 먼저 집단의 정의와 특징을 살펴보고 집단의사결정과 관련된 주요 현상 인 집단극화, 집단사고 및 집단에서의 경쟁과 협동에 관해 알아본다.

1. 집단이란 무엇인가?

(1) 집단의 정의

경북고등학교 1학년 2반 학생들은 집단인가?

한 비행기에 탑승하여 비행중인 승객들은 집단이라고 할 수 있나?

- Shaw(1981): 서로 상호작용하며 영향을 주는 두 명 이상의 사람들.

- Turner(1985): 자신들을 ‘그들’이 아닌 ‘우리’로 지각하는 사람들.

이 정의들로부터 집단은 구성원들간의 상호작용과 상호의존성, 그리고 구성원이라는 인식이 중요한 특성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2) 집단의 특징

(2)

집단 내에서 형성되는 일련의 패턴을 집단의 사회적 구조(social structure)라고 부르 며, 사회적 구조를 이루는 주요 요소들로는 규범(norm)과 역할(role)을 들 수 있다.

- : 집단 구성원들의 행동에 관한 규칙과 기대이다. 공식적인 집단에서는 토의 등을 통해서 명시적으로 발전되기도 하고 친구들 사이에는 관행을 통해서 불문율로 자 리 잡기도 한다. 일단 집단규범이 형성되면 구성원의 특정 행동이 집단 전체적으로 인정 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규범을 위반하는 자에게는 직간접적 비판과 제재가 가해지기 때문에 집단규범은 구성원들의 행동을 조정하는 기능을 지닌다.

- 역할: 규범이 집단의 모든 구성원의 행동을 규제한다면 역할은 특정 직위에 대해서 만 적용되는 규칙이다. 즉, 역할은 특정 직위를 가진 사람에 대한 의무와 기대를 정의한 다. 집단에 따라서 역할이 공식적으로 정해져 있기도 하고, 명시적으로 역할이 규정되지 않아 다소 애매한 경우도 있다.

② 응집력(cohesiveness)

집단에 구성원들을 남아 있게 만드는 정적 및 부적 힘의 합(Festinger, 1950)을 말하 며, 각 개인의 집단에 대한 개입 수준을 합산한 집단 전체의 특성이다.

일반적으로 응집력이 크면 집단이 기능하는데 도움이 된다. 응집력이 높은 집단의 구 성원들은 응집력이 낮은 집단의 구성원들보다 사기와 동기가 더 높으며, 집단규범을 더 잘 준수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때로는 집단의 생산성을 저해하는 수도 있는데, 집단의 규범이 열심히 일하는 것이 아니라 일을 슬슬 하면서 잡담이나 하는 것이라면 높은 응집력은 오히려 생산성을 감소시킨다. 또한 집단 응집력이 지나치게 높을 때 졸렬한 판단을 하게 되는 경우도 있 다(‘집단사고’ 부분 참조).

③ 기능

- 집단이 구성원에게 제공하는 도움(Mackie & Goethals, 1987) 이는 곧 집단이 형성되는 이유이자 사람들이 집단에 가입하는 이유.

첫째, 생존을 위협하는 환경적 위험들로부터 개인을 보호하고 안정감을 제공한다.

(예) 힘을 합쳐 외부의 위협이나 약탈로부터 방어, 일을 나눔으로써 쉽고 효율적으로 과제를 수행.

둘째, 개인의 중요한 심리적ㆍ사회적 욕구를 충족시켜 준다.

(예) 친화욕구(need for affiliation), 권력욕구(need for power) 셋째, 지식과 정보를 제공한다.

(예) 사람들은 애매한 상황에서는 현실에 관해 정확하게 이해하기 위해서 타인들과

(3)

있고 싶어한다(Schachter, 1959).

넷째, 중요한 사회적 지지원이 된다.

다른 구성원들의 지지와 호의를 받음으로써 개인은 스트레스를 경감시킬 수 있고 고 독감을 해소할 수 있다.

다섯째, 혼자서는 이룰 수 없는 목표를 달성하는데 도움을 준다.

(예) 다른 사람들의 도움을 받지 않고 혼자서 에베레스트에 오를 수는 없다.

2. (group polarization)

A여대 탁구팀 주장이자 기량이 가장 뛰어난 선수이다. A여대 탁 구팀은 전국대학탁구대회 단체결승전에 진출해 있으나 김양은 준결승전에 서 입은 부상으로 출전이 불투명한 형편이다. 그러나 김양이 출전하지 않 으면 전력에 큰 공백이 생기고 다른 선수들의 사기도 저하되어 창단 후 최 초의 우승과 국제대회 출전기회를 놓칠 가능성이 커진다. 김양의 부상을 치료한 의사는 만일 결승전에서 또다시 부상을 입게 되면 영원히 탁구를 못하게 될지도 모른다고 경고하였다.

당신이 만약 김양이라면 또다시 부상을 당하지 않을 확률이 얼마나 되면 결승전에 출전하겠는가?

① 1% ②10% ③20% ④30% ⑤40% ⑥50%

⑦60% ⑧70% ⑨80% ⑩90% ⑪99%

- Stoner(1961)의 실험

피험자들에게 12가지 딜레마 상황을 제시하고 딜레마에 빠진 인물에게 조언을 한다면 어떻게 할 것인가를 물었다. 그런 다음 5명 정도의 집단을 구성하여 각 딜레마에 대해 토론하고 합의된 의견을 내도록 하였다. 개인의 의견과 집단의 의견을 비교한 결과, 전 반적으로 집단의 의견이 개인 의견보다 더 모험적이었고, 이 현상을 ‘모험이행’(risky shift)이라고 명명했다.

- 모험이행에 관한 후속 연구들

그러나 후속 연구들로부터 집단이 개인보다 반드시 더 모험적인 것은 아니어서 경우 에 따라서는 더 보수적인 결정을 내려지기도 하는 것이 밝혀지고, 이 현상은 ‘보수이 행’(conservative shift)으로 불리어졌다.

이에 따라 이 현상에 대한 새로운 개념 정의가 필요하게 되었다. 즉, 집단의사결정은

(4)

모험 쪽이든 보수 쪽이든 더 극단적으로 흐르는 경향이 있다.

Moscovici와 Zavalloni(1969)는 모험이행과 보수이행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집단극화’

라는 명칭을 제안하였다.

즉, 집단극화는 ‘집단 상호작용 이후 집단이 합의하여 결정한 반응 또는 개인 반 응의 평균이 상호작용 이전의 개인 반응 평균보다 동일한 방향으로 더 극단적인 현상’으로 정의된다(Myers & Lamm, 1976).

이 현상은 주로 실험실에서 검증되어 왔지만, 배심원의 판단, 도박이나 경마, 테 러집단의 폭력행위 등 실세계의 다양한 장면에서 관찰된다.

- 어떤 경우에 모험이행이 일어나고 어떤 경우에 보수이행이 나타나는가?

‘토의 전 개인들의 평균적인 경향’이 결정적 요인으로서 어떤 문제에 대해서 개인들의 의견이 대체로 모험적이면 토의 후 더 모험적인 결정을 하게 되고, 반면에 개인들의 토 의 전 경향이 보수적이라면 토의 후 더 보수적인 결정을 하게 된다.

탁구선수에 관한 위의 딜레마에 대해서는 대체로 확률 50% 이상의 보수적 의견이 지 배적이어서 보수이행이 나타난다.

(1) 집단극화의 원인

① 설득주장이론(persuasive argument theory; Vinokur & Burnstein, 1974) 집단극화는 토의 중에 타인들이 제시하는 설득력 있는 주장을 수용함으로써 일 어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집단 토의를 하면서 개인들은 토의 전에는 미처 고려하 지 못했던 새롭고 그럴듯한 주장들을 접하게 되고, 이와 아울러 집단구성원들의 전 반적 성향(예를 들면, 모험 또는 보수)도 파악하게 된다. 그리고 새로 접한 주장들 중에서 집단의 전반적 성향과 일치하는 주장들은 반대되는 주장들보다 일반적으로 더 설득력 있다고 지각된다.

따라서 설득적 주장의 영향을 받아서 토의 후 개인의 의견은 집단의 전반적 성 향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바뀌게 된다. 결국 집단 토의 후 개인들의 반응 평균은 토 의 전 개인 반응의 평균보다 더 극단화된다.

② 사회비교이론(social comparison theory; Myers, 1978)

사람들은 자신을 타인과 비교하는 경향이 있으며, 비교를 통해서 자신을 긍정적 으로 지각하고 타인으로부터 인정받고자 하는 욕구가 있다. 집단 상호작용 전에 사 람들은 일반적으로 자신의 입장이나 견해가 타인들이 지닌 입장이나 견해보다 더 바람직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5)

그런데 집단 상호작용을 통해서 비교한 결과, 자신의 의견이 타인보다 덜 바람직 하다는 사실을 알게 되면 타인보다 더 바람직한 방향으로 자신의 입장을 바꾸게 된다. 따라서 집단 상호작용 후 구성원 전체의 입장은 사회적 가치의 방향으로 이 동하여 극단화된다.

③ 자기범주화이론(self-categorization theory; Turner 등, 1987)

집단극화를 극단화된 집단규범에 대한 동조 현상으로 해석한다. 구체적으로 말 하면 개인이 어떤 집단에 소속하여 집단에 동일시하게 되면 내집단규범에의 동조 압력을 크게 받게 된다. 그런데 내집단규범은 내집단구성원 입장들의 평균과 반드 시 일치하지는 않는데, 내집단평균과 내집단규범이 일치하면 동조가 일어나고, 일 치하지 않으면 극화가 일어난다.

내집단평균과 내집단규범의 일치 여부는 내집단평균이 준거 연속선(예를 들면 진 보-보수 또는 좌익-우익)의 어느 지점에 위치하느냐에 달려있다. 만약 내집단평균 이 연속선의 중앙(예, 척도의 중간점)에 위치하면 내집단규범도 내집단평균과 일치 해서 동조 현상이 나타난다. 그러나 내집단평균이 연속선의 중앙으로부터 벗어날수 록 내집단규범은 평균과 동일한 방향으로 더 극단적으로 지각되는 경향이 있어서 이 경우 내집단규범에 동조하는 것은 곧 집단극화 현상으로 나타나게 된다. 그리고 외집단은 이와 같은 영향력을 행사하지 못한다.

참조

관련 문서

Therefore, we conducted a multi-center survey to investigate the acceptability of HPV vaccine among Chinese college students, expose potential obstacles towards and

The suitability assessment concept of the FPMA technique differs from the existing assessment method where the design alternative with high performance value receives a

In this study, based on the hypothesis that unhealthy behaviors negatively affect the decision-making process regarding participation in gastric cancer screening, we

Materials and Methods: A qualitative study using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as conducted to capture the decision making process of women with early breast cancer in

Along similar lines, states participating in conducting the reviews, for the most part, have contributed to the working group process by making clear, constructive,

8 Rowishan group Automobiles, banking, commodities, shipping,

Government retention of an ownership stake in an institution meant de facto control by government, decision-making subject to political objectives, and more

for having integrated insights from psychological research into economic science, especially concerning human judgment and decision-making under uncertainty. f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