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大 韓 民 國 漢 字 敎 育 硏 究 會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大 韓 民 國 漢 字 敎 育 硏 究 會"

Copied!
12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제58회대한민국한자급수자격검정시험문제 가형

응시 부문

국 가 공 인 한자 1급

수험 번호 성명

※공지사항※

1. 시험시간 : 14:00~15:30(90분) 2. 합격자발표 : 2013년 3월 25일(월)

3. 합격자확인 : 인터넷 www.hanja.ne.kr / ARS 060-700-2130 4. 자격증수령기간 : 2013년 3월 25일(월) ~ 3월 29일(금) 5. 자격증수령방법

‣ 인터넷 접수자 - 택배발송(접수자 부주의로 반송 시 유료발급) ‣ 방문 접수자 - 수험표와 신분증 지참 후 방문수령

※주의사항※

1. 시험지와 답안지는 감독관에게 모두 제출하여야 합니다.

2. 객관식 : 답안지의 객관식 답안란에 정확하게 표기하시기 바랍니다.

3. 주관식 : 답안지의 주관식 답안란에 기재하되, - 한자의 표기는 정자로 또박또박 기재하셔야 합니다.

- 한글의 표기는 자음과 모음을 바르게 표기하고

국어어법(맞춤법)에 맞게 정확한 답을 기재하셔야 합니다.

※이에 부합하지 않을 경우 오답처리 됩니다.

주최 :

社團法人

大韓民國漢字敎育硏究會

주관 : 大 韓 檢 定 會

시행 : 全國漢文實力競試大會運營委員會

http://www.hanja.ne.kr

(2)

■ 다음 물음에 맞는 答의 번호를 골라 답안지의 해당 답란에 표시하시오.

※ 漢字의 訓音이 바르지 않은 것을 고르시오.

1. ( ) ①脆(연할 취) ②趣(취미 취) ③仄(기울 측) ④娶(모을 취) 2. ( ) ①凌(능가할 릉) ②冽(찰 렬) ③菱(마름 릉) ④凜(줄 품) 3. ( ) ①邂(건널 해) ②懈(게으를 해) ③偕(함께 해) ④楷(해서 해) 4. ( ) ①媤(시집 시) ②穩(숨을 은) ③碇(닻 정) ④昻(높을 앙)

※ 訓音에 맞는 漢字를 고르시오.

5. 방황할 황 ( ) ①滉 ②惶 ③煌 ④徨

6. 물을 순 ( ) ①詢 ②旬 ③殉 ④筍

7. 지도리 추 ( ) ①錘 ②楸 ③鄒 ④樞

8. 항아 항 ( ) ①娟 ②嫂 ③姮 ④媓

※ 밑줄 친 漢字의 訓音이 주어진 어휘의 의미에 가장 어울리는 것을 고르시오.

9. 劫掠 ( ) ①겁낼 겁 ②어수선할 겁 ③섬돌 겁 ④위협할 겁 10.叩冰 ( ) ①정성 고 ②조아릴 고 ③물을 고 ④두드릴 고

※ 물음에 알맞은 答을 고르시오.

11. 漢字의 제자원리(六書) 중 ‘形聲字’로 이루어진 것은? ( )

①本, 丹, 朱 ②亘, 岳, 閑 ③倣, 硯, 暢 ④安, 吹, 曰

12. 밑줄 친 ‘廓’의 讀音이 다른 것은? ( )

①外廓 ②輪廓 ③城廓 ④廓然

(3)

13. 漢字의 部首와 총획의 연결이 바르지 않은 것은? ( )

①塋-火, 총13획 ②沓-水, 총8획

③彔-彐, 총8획 ④摯-手, 총15획

14. ‘憙’의 類義字는? ( )

①僖 ②噫 ③熹 ④禧

15. ‘辞’의 本字로 바른 것은? ( )

①辣 ②辭 ③括 ④舒

16. “□亂, 動□, □之不動”에서 □안에 공통으로 들어갈 알맞은 漢字는?

( )

①搖 ②瑤 ③擾 ④遙

17. 모양이 비슷한 漢字의 訓音이 바르지 않은 것은? ( )

①諦(맺을 체)∥締(살필 체) ②膿(고름 농)∥濃(짙을 농)

③綺(무늬비단 기)∥錡(가마솥 기) ④懦(나약할 나)∥儒(선비 유)

※ 어휘의 讀音이 바르지 않은 것을 고르시오.

18. ( ) ①軋轢(알력) ②夙願(숙원) ③墩臺(돈대) ④鞏固(혁고) 19. ( ) ①滑翔(활상) ②陋醜(비추) ③揀擇(간택) ④呪術(주술) 20. ( ) ①頒曆(분력) ②凋落(조락) ③牲犢(생독) ④粘液(점액) 21. ( ) ①猥濫(외감) ②痘痕(두흔) ③柰麻(내마) ④鴦衾(앙금)

(4)

※ 어휘의 뜻으로 알맞은 것을 고르시오.

22. 罵倒 ( )

①꾸짖으며 떠드는 소리. ②심하게 욕하며 나무람.

③물건의 소유권을 넘김. ④쓰러져 허물어짐.

23. 蔓衍 ( )

①흐릿한 모양. ②길고 멀어 막연하게.

③게으르고 태만함. ④널리 퍼짐.

※ 낱말의 뜻에 맞는 어휘를 고르시오.

24. 핍박: 바싹 죄어서 몹시 괴롭게 굶. ( )

①驅迫 ②乏縛 ③逼迫 ④毆縛

25. 담박: 욕심이 없고 마음이 깨끗함. ( )

①澹泊 ②淡薄 ③淡白 ④澹博

※ 밑줄 친 어휘에 알맞은 讀音을 고르시오.

26. 세상에는 과학으로도 설명이 불가능한 奇跡이 종종 일어난다. ( )

①대역 ②기적 ③기역 ④대적

27. 賑貸는 재난이나 흉년 든 해에 어려운 백성에게 나라의 곡식을 꾸어 주

던 일이다. ( )

①신대 ②전대 ③선대 ④진대

28. 성현이 주창한 三綱領은 불후의 명언이다. ( )

①삼강영 ②삼강령 ③삼통령 ④삼망령

(5)

※ 밑줄 친 부분을 漢字로 바르게 쓴 것을 고르시오.

29. 세손 저하께서 심려하실 일이 못 되는 줄로 압니다. ( )

①底下 ②邸荷 ③邸下 ④低荷

30. 머슴은 시비를 밀고 들어와 평상에 걸터앉았다. ( )

①柴扉 ②柹扉 ③柴庇 ④柹庇

※ 물음에 알맞은 答을 고르시오.

31. 어휘의 짜임이 다른 것은? ( )

①謙遜 ②擡頭 ③功勳 ④鸚鵡

32. 類義語의 연결로 바르지 않은 것은? ( )

①恢弘=廣闊 ②祠堂=祠宇 ③椿堂=慈堂 ④煩悶=煩惱

33. ‘緊張’의 反義語는? ( )

①崇拜 ②弛緩 ③收縮 ④緊密

34. 첫 글자가 길게 소리 나는 어휘는? ( )

①嫉妬 ②腋臭 ③摩擦 ④腕力

35. 成語의 쓰임이 적절하지 않은 것은? ( )

①그는 모든 일을 一瀉千里로 진행했다.

②방학기간 切磋琢磨하여 늦잠을 잤다.

③백성들이 탐관오리의 苛斂誅求에 시달렸다.

④없다고 무시당하는 바람에 나도 모르게 悲憤慷慨하였다.

36. “三人行에 必有我□焉”에서 □안에 들어갈 알맞은 漢字는? ( )

①敵 ②親 ③友 ④師

37. “□角殺牛”에서 □안에 들어갈 알맞은 漢字는? ( )

①膠 ②訂 ③調 ④矯

(6)

※ 물음에 알맞은 答을 고르시오.

花潭이 出이라가 ㉠偶失家而泣於㉡塗者하고 曰 爾奚泣고 對曰 我五歲而

㉢瞽한대 今二十年矣라 朝日出往이라가 忽見天地萬物淸明이라 喜而欲歸 하니 阡陌多岐하고 門戶相同하여 不辨我家라 是以泣耳라 先生이 曰 我㉣

誨39)若歸리니 還閉汝眼이면 卽便爾家리라 於是에 閉眼하고 扣40)相信步 卽到러라

*陌(두렁 맥), 扣(두드릴 구)

38. 위 글의 밑줄 친 ㉠∼㉣ 중 잘못된 漢字를 바르게 고친 것은? ( )

①㉠偶 - 遇 ②㉡塗 - 途 ③㉢瞽 - 盲 ④㉣誨 - 悔

39. 위 글의 밑줄 친 ‘若’의 쓰임과 같은 것은? ( )

①若使吾値五代六朝 ②男若女 出而頌萬德之恩

③不若人有其寶 ④虞兮 虞兮 奈若何

40. 위 글의 밑줄 친 ‘相’을 바르게 풀이한 것은? ( )

①서로 ②지팡이 ③정승 ④바탕

41. 위 글의 核心語로 알맞은 것은? ( )

①萬物淸明 ②喜而欲歸 ③我誨若歸 ④扣相信步

※ 漢詩를 읽고 물음에 알맞은 答을 고르시오.

山含雨氣水生煙인데 靑草湖邊白鷺眠이라 路入海棠花下轉하니 滿枝44)香雪落45)揮鞭이라

42. 위 詩의 배경으로 옳지 않은 것은? ( )

①물안개 ②호숫가 ③첫눈 ④달리는 말

43. 위 詩에서 韻字가 아닌 것은? ( )

①煙 ②眠 ③轉 ④鞭

(7)

44. 위 詩의 밑줄 친 ‘香雪’이 상징하는 것은? ( )

①빗물 ②해당화 꽃잎 ③눈보라 ④백로

45. 위 詩의 밑줄 친 ‘揮鞭’의 풀이로 알맞은 것은? ( )

①휘두른 채찍 ②빛나는 가죽

③가죽으로 된 옷 ④채찍 소리

※ 물음에 알맞은 答을 고르시오.

46. “人性本善하니 無古今智愚之□(이)라”에서 □안에 들어갈 알맞은 漢字는?

( )

①特 ②別 ③殊 ④差

47. “月滿則□하고 物盛則衰니라”에서 □안에 들어갈 알맞은 漢字는?

( )

①貿 ②夷 ③圓 ④缺

48. 우리 선조들의 공동체 의식과 관련된 말이 아닌 것은? ( )

①禮俗相交 ②與民同樂 ③過失相規 ④德業相勸

49. “積功之塔”와(과) 뜻이 통하는 것은? ( )

①가뭄에 콩 나듯 한다. ②선무당이 사람 잡는다.

③달면 삼키고 쓰면 뱉는다. ④티끌모아 태산이다.

50. ‘端午’와 관련된 것이 아닌 것은? ( )

①씨름 ②팥죽 ③그네타기 ④부채선물

(8)

■ 물음에 맞는 答을 답안지의 해당 답란에 쓰시오.

※ 漢字의 訓音을 쓰시오.

51. 凞 ( ) 52. 囊 ( ) 53. 瓷 ( ) 54. 葵 ( ) 55. 珵 ( ) 56. 渶 ( ) 57. 璜 ( ) 58. 咎 ( ) 59. 躬 ( ) 60. 鉍 ( ) 61. 雰 ( ) 62. 馹 ( )

※ 訓音에 맞는 漢字를 쓰시오.

63. 헤아릴 감 ( ) 64. 산굴 수 ( ) 65. 의자 의 ( ) 66. 총명할 민 ( ) 67. 권할 유 ( ) 68. 물흐를 영 ( ) 69. 칠 설 ( ) 70. 클 혁 ( ) 71. 호미 기 ( ) 72. 모래 사 ( ) 73. 문빗장 건 ( ) 74. 넓을 부 ( ) 75. 비파 비 ( ) 76. 영리할 령 ( ) 77. 헤엄칠 유 ( ) 78. 섬 서 ( ) 79. 샘솟을 집 ( ) 80. 글지을 찬 ( )

※ 밑줄 친 말의 뜻을 가진 漢字를 주어진 音에 맞게 쓰시오.

“道라는 것은 81)잠깐이라도 82)떠날 수 없는 것이니, 떠날 수 있으면 道가 83)아니니라. 이런 84)고로 85)군자는 그 보지 않은 86)바에도 87)경 계하고 88)삼가하며 그 89)듣지 않은 바에도 90)두려워하는 것이니라.”

『中庸』

81. 유 ( ) 82. 리 ( ) 83. 비 ( ) 84. 고 ( ) 85. 군 ( ) 86. 소 ( ) 87. 계 ( ) 88. 신 ( ) 89. 문 ( ) 90. 구 ( )

(9)

※ 물음에 알맞은 答을 쓰시오.

91. 異音同字인 ‘齋’의 音이 다른 訓音을 쓰시오. ( ㉠ , ㉡ ) 92. “空名帖”에서 밑줄 친 ‘帖’의 訓音을 주어진 어휘의 의미에 맞게 쓰시오.

( )

93. “夬卦”에서 밑줄 친 ‘夬’의 訓音을 주어진 어휘의 의미에 맞게 쓰시오.

( )

94. ‘暾’의 部首와 총획수를 쓰시오. ( , )

95. ‘髓’의 部首와 部首의 訓音을 쓰시오. ( , ) 96. ‘俛’와(과) 어휘를 이룰 수 있는 反義字를 쓰시오. ( ) 97. ‘瑟’와(과) 어휘를 이룰 수 있는 類義字를 쓰시오. ( )

98. ‘廚’의 本字를 漢字로 쓰시오. ( )

99. ‘彌’의 本字를 漢字로 쓰시오. ( )

100. “성품이 올곧은 자네가 중전에 기대어 □假虎威를 하다니…”에서 □안

에 들어갈 알맞은 漢字를 쓰시오. ( )

※ 어휘의 讀音을 쓰시오.

101. 楮錢 ( ) 102. 愆滯 ( ) 103. 瞰臨 ( ) 104. 諷刺 ( ) 105. 蕩盡 ( ) 106. 腫瘍 ( ) 107. 猿臂 ( ) 108. 駕御 ( ) 109. 迂遠 ( ) 110. 陶冶 ( ) 111. 妖艶 ( ) 112. 堡壘 ( )

(10)

※ 밑줄 친 낱말을 漢字로 쓰시오.

‘기구를 사용함. 또는 그 기구’를 113)용기라고 하고, ‘씩씩하고 굳센 기 운. 또는 사물을 겁내지 아니하는 기개’도 114)용기라 하며, ‘물건을 담는 그릇’을 115)용기라 하고, ‘물이 솟아남’도 116)용기라고 한다.

113. ( ) 114. ( ) 115. ( ) 116. ( )

※ 어휘의 뜻을 쓰시오.

117. 葛藤 ( )

118. 讒言 ( )

119. 掩襲 ( )

120. 捷徑 ( )

※ 成語의 속뜻을 쓰시오.

121. 宋襄之仁 ⇒ ( )

122. 駭怪罔測 ⇒ ( )

※ 밑줄 친 部分의 文章을 직역하시오.

123. “耳懸鈴鼻懸鈴이라”(반드시 직역할 것.)

( )

124. “狡兎死하면 良狗烹이라”(반드시 직역할 것.)

( )

(11)

※ 낱말의 뜻에 맞는 어휘를 쓰시오.

125. 소급: 거슬러 올라감. ( )

126. 와해: 조직·기능이 무너져 흩어짐. ( )

127. 낭비: 돈․물건․시간을 헛되이 씀. ( )

128. 포말: 물거품. ( )

129. 박멸: 모조리 잡아 없앰. ( )

130. 부임: 임명을 받아 일자리로 감. ( )

131. 진품: 보배로운 물품. ( )

132. 투영: 환히 속까지 비추어 보임. ( )

※ □안에 들어갈 알맞은 漢字를 쓰시오.

133. 矛□: 말이나 행동의 앞뒤가 맞지 않음. ( )

134. □足: 조금도 모자람이 없을 정도로 넉넉하여 만족함. ( )

135. □像權: 자기의 초상을 사용하는 데 관한 독점권. ( )

(12)

※ 밑줄 친 부분에 알맞은 讀音이나 漢字를 쓰시오.

壬戌年 가을 7월 136)기망에 蘇子가 客과 함께 배를 띄워 赤壁江 아래 에서 노니, 맑은 바람은 서서히 불어오고 파도는 일어나지 않았다. 술잔 을 들어 客에게 권하고 明月詩를 외우며 137)窈窕장을 노래하였는데, 조 금 있다가 달이 동산의 위로 떠올라 斗星과 牛星의 사이에 138)徘徊하니, 흰 이슬은 강을 가로질러 있고 물빛은 하늘을 접해있었다. 갈대만한 작은 배의 가는 바를 따라 만경의 아득한 물결을 타고 가니, 浩浩함이 마치 허 공에 의지하고 바람을 타고 가는듯하여 그칠 바를 모르겠고, 139)飄飄함 이 세상을 버리고 홀로 서서 학이 되어 신선으로 오르는 듯하였다. 이에 술을 마시며 몹시 즐거워 뱃전을 두드리고 노래하니, 그 노래에 이르기를

“140)계수나무와 노와 141)목란 상앗대로 물속에 비치는 달그림자를 치며 흐르는 강물을 거슬러 올라간다. 아득하고 아득한 내 마음이여! 미인을 바라보니 하늘 한 쪽에 있도다.”하였다.

客 중에 퉁소를 부는 자가 있어 노래에 맞추어 부니, 그 소리가 142) 嗚咽하는 듯하여 원망하는 듯, 143)사모하는 듯, 우는 듯, 하소연하는 듯 하고, 144)여운이 가냘프고 길게 이어져 끊이지 않음이 실 끝과 같으니, 그윽한 강 골짝의 잠겨 있는 교룡을 춤추게 하고, 외로운 배의 145)과부 를 울게 하였다. 蘇子가 초연히 옷깃을 여미고 무릎 꿇고 앉아 客에게 묻 기를 “어찌하여 그렇게 슬피 퉁소를 부는가?”하자, 客은 다음과 같이 말 하였다. “달이 밝고 별이 드문데 146)烏鵲이 남쪽으로 날아간다는 것은 147)曹操의 시가 아닌가? 서쪽으로 하구를 바라보고 동쪽으로 무창을 바 라보니, 산천이 서로 엉켜 148)鬱蒼하니 이는 曹操가 149)周瑜에게 150)곤

궁하던 곳이 아닌가?” <前赤壁賦>

136. ( ) 137. ( ) 138. ( )

139. ( ) 140. ( ) 141. ( )

142. ( ) 143. ( ) 144. ( )

145. ( ) 146. ( ) 147. ( )

148. ( ) 149. ( ) 150. ( )

♣ 수고하셨습니다.

참조

관련 문서

This paper discovered the Korean native Chinese characters which were flowed in Japanese, discussing the necessity of setting up the standards for judging

以古法으로 爲其國이면 與此 同이라.. 時已徙矣어늘 而法不徙하니

[r]

[Key Words] Chinese character dictionary, definition, meaning explication, parts-of-speech, tone, particle, Modern Chinese. * Associate Professor, Seoul

[r]

日久不勝38)困苦하고 就富家請賣身爲婢하여 得米十餘石하고

[r]

As detailed types of Korean in the 「 dictionary of compound words of Korean made of Chinese characters (1997) 」 , it was checked that there are “Gugyeol Idu hap-j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