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Subject 01. 행렬의 곱셈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Subject 01. 행렬의 곱셈"

Copied!
9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기억해야 할 행렬의 성질 BEST 25

Subject 01. 행렬의 곱셈

(1) aA + bB = E이면 AB = BA이다. (단, ab≠0) ( True) [증명] aA + bB = E의 왼쪽에 A를 곱하면

A( aA) + A( bB) = A, aA2+b(AB)= A ……aA + bB = E의 오른쪽에 A를 곱하면

aA2+b(BA)= A ……㉡ ㉠-㉡을 하면 b( AB - BA) =O

그런데 b≠0이므로 AB - BA = O ∴ AB = BA

(2) AB = O이면 BA = O이다. ( False)

[반례] A =

(

0 00 1

)

, B =

(

0 10 0

)

라 하면 AB = O이지만 BA≠O이다.

(3) AB = BA이면 자연수 n에 대하여 AnB = BAn이다. ( True) [증명] AnB = (A․A․A․A․ … ․A․A)B

= B( A․A․A․ … ․A․A․A) ( ∵ AB = BA)

Example 1 M을 이차 정사각행렬 전체의 집합이라 하고 A =

(

0 - 1 1 0

)

이라 한다. Mn Mn={X ∈ M∣XAn= AnX}라 할 때, <보기>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르면?

(단, n = 1, 2, 3, …이고 E는 단위행렬이다.) ㄱ. X ∈ Mn, Y ∈ Mn이면 XY ∈ Mn이다.

ㄴ. M1⊂ Mn

ㄷ. X=

(

x y z w

)

∈ M1이면 X = xE + zA이다.

ㄱ,ㄴㄴ,ㄷㄱ,ㄴ,ㄷ

(4) A2= B2= E이면 ( AB)2= E이다. ( False) [반례] A2= B2= E를 만족하는 두 행렬 A, B를 각각

A =

(

10 - 10

)

, B =ꀌ

0 2 1 2 0

이라 하면

AB =

(

10 - 10

)

0 2 1 2 0

= ꀌ

0 2 -1

2 0 ( AB)2= ꀌ

0 2 -1

2 0

0 2 -1

2 0

=

(

- 10 - 10

)

=- E ≠E

An

Q

(2)

2

(5) ( AB)2= A2B2이면 AB = BA이다. ( False)

Example 2 다음 <보기> 중 이차 정사각행렬 A, B에 대하여 AB = B A가 성립하기 위한

충분조건을 모두 고르면? (단, E는 단위행렬이다.)

ㄱ. A + B = E ㄴ. AB = E ㄷ. (AB)2= A2B2 ① ㄱ ② ㄱ,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6) A3+ A2+ A +E = O이면 A4= E이다. ( True) [증명] 양변에 ( A - E)를 곱하면 A4-E= O ∴ A4= E

(7) A =

(

a bc d

)

일 때, An= O ( n = 1, 2, 3, …)이면 ad - bc = 0, a + d = 0이다. ( True)

(8) 2 이상의 자연수 n에 대하여 An= O이면 A = O이다. ( False) [반례] A =

(

1 - 11 - 1

)

이면 A2= A3= … = An= O이지만 A≠O이다.

(9) 2 이상의 자연수 n에 대하여 An= E이면 A = E이다. ( True) [증명] An= E의 양변에 A를 곱하면 An + 1= A

그런데 2 이상의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An= E이므로 An + 1= E이다. ∴ E =A

(10) 2 이상의 자연수 n에 대하여 An= A이면 A = O 또는 A = E이다. ( False) [반례] A =

(

1 01 0

)

이면 A2= A3= … = An= A이지만 A≠O이고 A≠E이다.

(11)

(12) Ak= Al= Am= E를 만족하는 자연수 k, l, m이 존재하면 A = E이다. ( False) C.F.) A12= E이고 An= E이면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A n=E이다. n = ? Sol) a12= 1, a= 1일 때, a( 임의의 자연수)= 1이다. △ = ?

이 때, a1= 1인 것을 밝히면 된다.

∴ △=(12와 공약수가 1인 수)= ( 12와 서로소인 수) 예를 들어, <a0= 1, a20= 1일 때>라고 가정하면 a8= 1, a4= 1, 를 더 이상 밝힐 수 없다.

a4n= 1(4n은 모든 자연수가 될 수 없다. 12, 20의 최대공약수의 배수이다.) (12-1) Ak= Al= Am= E를 만족하는 서로소인 자연수 k, l, m이 존재하면 A = E이다. ( True)

Q

(3)

Subject 02. 영인자

수의 성질과는 달리 A≠OA의 역행렬이 존재해서 A를 없앨 수 있다로 해석하면 안된다.

(13) A≠O이고 AB = A이면 B = E이다. ( False)

(14) AB = AC이면 A = O또는 B = C이다. ( False)

(15) AB = AC이고 A≠O이면 B = C이다. ( False)

(16) AB = O이면 A = O 또는 B = O이다. ( False)

행렬의 경우는 A≠O, B≠O일 때 AB = O인 경우도 있다. 이 때, 두 행렬 A, B를 영인자라 한다.

(17) AB = O이고 B≠O이면 A = O이다. ( False)

(18) ( A - E)2= O이면 A = E이다. ( False)

(19) A2= B2이면 A = B 또는 A =- B이다. ( False)

Example 3 두 이차 정사각행렬 A, X( X - A)2= O를 만족시킬 때, 다음 <보기>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르면? (단, O는 영행렬이다.)

ㄱ. X = A

ㄴ. n≧3인 정수 n에 대하여 ( A - x)n= O이다.

ㄷ. X( X - A) = ( X - A)A

① ㄱ ② ㄴ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ㄴ, ㄷ

Q

(4)

4

Subject 03. 역행렬

A- 1이 존재하면 언제든지 A를 없앨 수 있다. 수의 성질에서 a≠0과 같은 것으로 이해!!!

(20) AB = E이면 BA = E이다. ( True)

(21) A- 1이 존재할 때, AB = A이면 B = E이다. ( True)

(22) A + B의 역행렬이 존재하면, A, B의 역행렬이 모두 존재한다. ( False) [반례] 두 행렬 A, B를 각각 A =

(

1 00 0

)

, B =

(

0 00 1

)

라 하면

A + B = E이므로 역행렬이 존재하지만 A, B는 역행렬이 존재하지 않는다.

(23) AB의 역행렬이 존재하면 A, B의 역행렬이 모두 존재한다. ( True)

[증명] AB의 역행렬을 C라 하면 ( AB) C = A( BC) = E이므로 A의 역행렬 BC가 존재한다.

또한, C( AB) = ( CA) B = E이므로 B의 역행렬 CA가 존재한다.

(24) A가 역행렬을 가지면 AB = BA이다. ( False)

(25) AB = O이고 B≠O이면 A의 역행렬은 존재하지 않는다. ( True)

Example 4 두 이차 정사각행렬 A =

(

a b c d

)

, E =

(

1 0 0 1

)

에 대하여 집합 L( A) = { rE + sA∣r, s는 실수}라 할 때, 다음 <보기>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르면?

ㄱ.

(

2 0 0 - 1

)

∈L( A)이면 s ≠ 0이다.

ㄴ. B ∈ L( A)이면 B- 1가 존재한다.

ㄷ. C ∈ L( A), D ∈ L( A)이면 C + D ∈ L( A)이다.

ㄱ,ㄷㄴ,ㄷㄱ,ㄴ,ㄷ

Example 5 이차 정사각행렬 A, B, C, O에 대한 다음 <보기>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르 면? (단, O는 영행렬이고 A- 1A의 역행렬이다.)

ㄱ. A2- B2= ( A + B)( A - B )를 만족하는 행렬 B가 존재하는 경우가 있다.

ㄴ. AB = OA = O 또는 B = O이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이다.

ㄷ. A- 1,B- 1 중 적어도 하나가 존재하면 AB의 역행렬이 존재한다.

ㄱ,ㄴㄴ,ㄷㄱ,ㄴ,ㄷ

Q

Q

(5)

Example 6 이차 정사각행렬 A, B에 대하여 다음 <보기>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르면?

ㄱ. A의 역행렬이 존재할 때, B=A-A- 1이면 AB = BA이다.

ㄴ. A2= O일 때, A - E의 역행렬이 존재한다.

ㄷ. AB의 역행렬이 존재하지 않으면 A 또는 B의 역행렬이 존재하지 않는다.

ㄱ,ㄴㄴ,ㄷㄱ,ㄴ,ㄷ

Example 7 이차 정사각행렬 A =

(

a b c d

)

에 대하여 f ( A ) = ad - bc라 할 때, 다음 <보기

>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르면? (단, A- 1A의 역행렬이다.) ㄱ. A =

(

2 - 1 1 3

)

이면 f ( A ) = 7이다.

ㄴ. f ( A + B ) = f ( A ) + f ( B ) (단, B는 이차 정사각행렬이다.) ㄷ. f ( A ) = 1인 행렬 A에 대하여 f ( A + A- 1) = ( a + d)2이다.

ㄱ,ㄷㄴ,ㄷㄱ,ㄴ,ㄷ

Example 8 A, B가 이차 정사각행렬이고 A + B = AB를 만족할 때, 다음 <보기>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르면? (단, E는 단위행렬이다.)

ㄱ. E - B의 역행렬은 존재하지 않는다 ㄴ. AB = BA

ㄷ. A + B = E이면 A2- A = O이다.

ㄱ,ㄴㄴ,ㄷㄱ,ㄴ,ㄷ

Q

Q

Q

(6)

6

Subject 04. 행렬식

A =

(

a bc d

)

일 때, 행렬식 D( A) = ad - bc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D( E) = 1

D( kA) = k2(ad - bc) = k2D(A)

D( AB) = D( A)D( B)

D(An) = { D( A)}n

A- 1가 존재한다. ⇔ D( A)≠0

D( A- 1) = 1 D( A)

(7)

Example 해설

Example 1

ㄱ. (참) X∈Mn, Y∈Mn이면 XAn= AnX, YAn= AnY( XY)An= X( YAn) = X( AnY) = ( XAn)Y = An(XY)XY∈Mn

ㄴ. (참) X∈M1이면 XA = AX이므로 XA2= ( XA)A = ( AX)A = A(XA) = A( AX) = A2XX∈M2M1⊂M2

같은 방법으로 X∈M2이면 X∈M3M2⊂M3M1⊂Mn

ㄷ. (참) X =

(

x yz w

)

∈M1이므로 XA = AX

(

x yz w

) (

0 - 11 0

)

=

(

0 - 11 0

) (

x yz w

)

이므로

(

w - zy - x

)

=

(

- z - wx y

)

y = - z, x = w

X =

(

x - zz x

)

=

(

x 00 x

)

+

(

0 - zz 0

)

= x

(

1 00 1

)

+ z

(

0 - 11 0

)

= xE + zA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ꂼ ⑤ Example 2

ㄱ. (←) A + B = E에서 A =E - B이므로

AB = ( E - B)B = B - B2, BA = B( E - B) = B -B2AB =BA

(↛) (반례) A =

(

1 00 0

)

, B =

(

0 01 0

)

……㉠이면 AB = BA =

(

0 00 0

)

이지만 A + B =

(

1 01 0

)

≠E

따라서 충분조건이다.

ㄴ. (←) AB = E이면 AB는 서로 역행렬 관계에 있으므로 AB = BA = E (↛) (반례) ㉠에서 AB = BA이지만 AB = BA =

(

0 00 0

)

≠E

따라서 충분조건이다.

ㄷ. (↚) (반례) A =

(

1 00 0

)

, B =

(

0 10 0

)

이면

AB =

(

1 00 0

) (

0 10 0

)

=

(

0 10 0

)

, ( AB)2=

(

0 10 0

) (

0 10 0

)

=

(

0 00 0

)

= O

A2=

(

1 00 0

) (

1 00 0

)

=

(

1 00 0

)

, B2=

(

0 10 0

) (

0 10 0

)

=

(

0 00 0

)

= O

이므로 (AB)2= A2B2

그런데 BA =

(

0 10 0

) (

1 00 0

)

=

(

0 00 0

)

= O이므로 AB≠BA (→) AB = BA이면 (AB)2= ABAB = AABB = A2B2 따라서 필요조건이다.

(8)

8 따라서 충분조건인 것은 ㄱ, ㄴ이다.

ꂼ ② Example 3

ㄱ. (거짓) (반례) A =

(

2 12 4

)

, X =

(

2 13 4

)

라 하면 ( X - A)2= O이지만 X≠A ㄴ. (참) ( X - A)2= OX2- XA - AX + A2= O( A - X)2= O

(A- X)n= ( A - X)2(A - X)n - 2= O(A-X)n - 2= O ㄷ. (거짓) ( X - A)2= OX2- XA - AX + A2= O

X2- XA = AX - A2

X( X - A) = A( X - A) ≠( X - A)A 따라서 옳은 것은 ㄴ이다.

ꂼ ② Example 4

ㄱ. (참)

(

20 - 10

)

∈L( A)이므로

(

20 - 10

)

= rE + sA

이 때, s = 0이면

(

20 - 10

)

= rE = r

(

1 00 1

)

이므로 실수 r는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

20 - 10

)

∈L( A)이면 s≠0이다.

ㄴ. (거짓) (반례) A =

(

10 - 10

)

, B =

(

2 00 0

)

이라 하면 B =E + A이므로 r = 1, s = 1이다.

따라서 B∈L( A)이지만 B- 1는 존재하지 않는다.

ㄷ. (참) C∈L( A), D∈L( A)이므로 네 실수 r, s, r', s '에 대하여 C = rE + sA, D = r'E + s 'A

C + D= ( r E + sA) + ( r'E + s 'A) = ( r + r')E + ( s + s')A∈L( A)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ꂼ ③ Example 5

ㄱ. (참) B = E ( E는 단위행렬)이면

( A + B) ( A - B) = ( A + E) ( A - E) = AA - AE + EA - EE = A2- E2= A2- B2 ㄴ. (거짓) (반례) ( ↛) A =

(

- 13 - 62

)

, B =

(

4 22 1

)

이면

AB =

(

- 13 - 62

) (

4 22 1

)

= O이지만 A≠O, B≠O이다.

ㄷ. (거짓) (반례) A =

(

0 00 0

)

, B =

(

1 23 4

)

이면

B에서 1×4 - 2 ×3≠ 0이므로 B의 역행렬은 존재하지만 AB = O이 되어 AB의 역행렬은 존재 하지 않는다.

따라서 옳은 것은 ㄱ이다.

ꂼ ①

(9)

Example 6

ㄱ. (참) AB = A( A -A- 1) = A2- E, BA = ( A - A- 1)A = A2- EAB = BA

ㄴ. (참) A2= O이므로 A2- E =O -E =- E 한편, E2= E이므로

A2- E = A2- E2= ( A + E) ( A - E)( A + E) ( A - E) =- E

( - A - E) ( A - E) = E( A - E)- 1=- A- E

ㄷ. (참) AB의 역행렬이 존재한다고 하면 (AB )(B- 1A- 1) = A( BB- 1)A- 1= AEA- 1= AA- 1= E(AB)- 1= B- 1A- 1

따라서 AB의 역행렬이 존재하지 않으면 A 또는 B의 역행렬이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ꂼ ⑤ Example 7

ㄱ. (참) A =

(

2 - 11 3

)

이므로 f( A) = 2․3 - ( - 1) ․1 = 7 ㄴ. (거짓) (반례) A =

(

1 00 1

)

, B =

(

- 1 11 0

)

이면

A + B =

(

- 1 22 0

)

이므로 f( A) = 1, f( B) = 1, f( A + B) = 4f( A + B)≠f( A) + f( B)

ㄷ. (참) A =

(

a bc d

)

에서 f( A) =1이면 A- 1=

(

- cd - ba

)

이므로

A + A- 1=

(

a bc d

)

+

(

- cd - ba

)

=

(

a + d0 a + d0

)

f(A + A- 1) = ( a + d)2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ꂼ ③ Example 8

ㄱ. (거짓) A + B = AB에서 AB - A - B = O

양변에 E를 더하면 AB - A -B +E = E( E - A) ( E - B) = E 따라서 E - B의 역행렬 E - A가 존재한다.

ㄴ. (참) E -A, E - B가 서로 역행렬이므로

( E - A) ( E - B) = ( E - B) ( E - A) = E - B - A+ AB = E -A - B + BAAB = BA

ㄷ. (거짓) A + B = E에서 B =E - A 그런데, A + B = AB이므로 AB = E

즉, AB = A(E -A) = A -A2= EA2- A =- E

따라서 옳은 것은 ㄴ이다. ꂼ ②

참조

관련 문서

한국천문학회보 제36권 2호, 2011년 10월 / 51 [구GC-01] Precise measurements of distance using large

It may help a repository administrator to build an IDR (Institutional Digital Repository) integrated with SKOS-enabled multilingual subject access systems for

[r]

Minsu suggested that I sell my bookmarks to the book club members, so I first gave a free bookmark to Sujin, the

이때 위의 그림에서 빗금친 두 부분의 넓이는 서로 같으므 로 구하고자 하는 색칠된 도형의 넓이는 평행사변형 ACDB 의 넓이와

자의 길이와 자의 그림자의 길이가 만드는 직각삼각형과 나 무의 높이와 나무의 그림자의 길이가 만드는 직각삼각형이 서로 닮음이므로 다음과

다른 나무들은 각각 바오밥 나무에게는 없는 것을 갖고 있었고, 그래서 바오밥 나무는 그 나무들을 부러워했다.. 바오밥 나무는 종려나무의 키와 불꽃나무의

In the 1960s, the word paparazzo entered English as a word for an annoying photographer wh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