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Giant Benign Schwannoma Involving Sacral Bone - A Case Report -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Giant Benign Schwannoma Involving Sacral Bone - A Case Report -"

Copied!
5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천골부에 발생한 거대 신경초종

*

- 증 례 보 고 -

대전 선병원 신경외과, 일반외과 **

오경섭·하성일·이현성·이종수·곽승수

**

·윤석훈

= Abstract =

Giant Benign Schwannoma Involving Sacral Bone

- - -

- A Case Report - - - -

Kyung Seup Oh, M.D., Sung Il Ha, M.D., Hyun Sung Lee, M.D., Jong Soo Lee, M.D., Seung Su Kwak, M.D.,** Suk Hoon Yun, M.D.

Department of Neurosurgery and General surgery,** Sun General hospital, Taejeon, Korea

acral schwannoma is a rare lesion with a tendency to reach large proportions. The benign schwannoma rarely involves the vertebral bodies extensively. The authors report a case of giant intrasacral schwannoma in 30- year-old woman who had intermittent lower back pain during 3 years period. CT and MRI showed a destructive mass lesion within the upper part of sacrum with a large mass extending into the presacral space. The patient under- went combined surgery consisted of anterior transabdominal approach and posterior sacral laminectomy and total removal of tum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lesion were discussed with a review of literatures.

KEY WORDS :Spinal schwannoma・Sacrum・Presacral space・CT・MRI.

서 론

척수 및 척추에 발생하는 신경초종은 대부분 경막내 척 수외에 위치하여 보통 수술로서 쉽게 제거되며 재발이 흔 하지 않은 양성 종양으로 10) 알려져 있으며 척추체를 광범 위하게 침범하여 골 파괴를 일으키는 경우는 극히 드문 것 으로 알려져 있다 4) . 더구나 신경초종이 천골부위에 발생하 는 경우는 척추 신경초종의 약 5% 미만으로 비교적 드문

질환이다 1)3-5) . 천골부에 발생하는 신경초종은 장기간 지속

되는 요추와 천골부위의 경한 통증과 좌골신경통 등의 증 상을 호소하여 간혹 추간판 질환으로 오인되는 경우가 있

1)3)5) . 방사선학적 검사상 단순 X선 촬영상 골용해성 병

소를 보이며 5)8)9) 전산화단층촬영 및 자기공명영상에서 천골 부위의 골침식과 주위 연부조직을 침범하는 거대 종괴의 소

견을 보인다 9) .

최근 본 신경외과에서는 간헐적인 요통과 좌골신경통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에서 천골부를 침범한 거대 양성 신경초 종 1례를 치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증 례

환 자:서○○, 30세, 여자.

주 소:간헐적인 요통.

병력 및 가족력:환자는 3년전부터 간헐적으로 요통이 있다가 심해지면 양측으로 좌골신경통의 증상까지 동반되 었는데 특별한 치료 없이 지내다가 내원 2개월 전 타병원 에서 정상 분만 후 시행한 복부 초음파 검사상 덩어리가 보 여 본원 산부인과에 내원하여 전산화단층촬영 시행 후 천골 부에 종양이 보이고 지속되는 요통이 있어 신경외과로 전 과되었다. 과거력 및 가족력상 특이 소견은 없었으며 내원 2개월 전에 타병원에서 정상 분만을 하였다.

SSSS

*1999년 추계 학술대회 포스터 발표되었음.

(2)

이학적 및 신경학적 소견:요추 및 천골부위의 피부에 이상 소견은 없었으나 촉진상 좌측 천골 2번째 부위로 약 4×5cm정도의 종괴가 만져지며 압통을 호소하였다. 직장 수지 검사상 종괴가 촉지되었으며 하지 직거상 검사상 음 성소견을 보였다. 운동 및 감각기능은 정상 범위였으며, 심 부건 반사도 정상범위이었다. 병적반사는 나타나지 않았다.

임상 검사 소견:심전도 검사는 정상이었으며 다른 말초 혈액검사, 뇨검사, 간기능검사, 혈액응고검사상에서도 이상 소견을 발견할 수 없었다.

방사선학적 소견:단순 X-선 촬영상 특별한 이상소견이

발견되지 않았으며 CT에서 주위와 경계가 뚜렷한 종괴가 좌측 천골부에 있으며 이 종괴는 자궁과 소장을 앞, 좌우로 밀고 있는 소견을 보이며 좌측 천골부의 신경관 주위에 골 침식 소견이 관찰되었고 조영증강상에서는 잘 조영증강된 소견을 보이고 있다. MRI상에서는 T1강조영상 및 T2강조 영상에서 종괴는 동등신호강도와 고신호강도를 나타내었으 며 아령형의 분엽화된 종괴가 천골부에서 좌측 천골 2-3, 3-4번 신경관에 연결되어 천골을 침식시키며 골반강내 및 골반강외로 연장된 소견을 보이며 Gd-DTPA 조영증강상에 서 조영증강이 잘 되는 소견을 보이고 있다(Fig. 1A, B, C).

Fig. 1. A:Preoperative Sagittal T1-weighed MR image showing a 6×5cm sized Iso-signal intensity, smooth-round margined mass with multiseptated component in the presacral &

posterior sacral portion. The soft tissue mass is extending through greater sciatic foramen into presacral & posterior sacral portion. B:Preoperative Sagittal T2-weighed MR image showing hypersignal intensity changes of mass in the presacral & posterior sacral portion. C:Preoperative Gd-DTPA enhanced Sagittal MR image showing well en- hanced lobulated mass in the presacral & posterior sacral portion.

A A A

A B B B B

C C C

C

(3)

수술소견:환자는 일단 전방으로 일반외과에서 접근하였 다. 앙와위에서 하복부에 20cm가량의 횡 피부 절개를 시 행하고 근육을 박리한 후에 복막을 열고 장 및 자궁을 젖 힌 후, 후복막을 확인하고 종괴가 만져지는 부위에서 후복 막을 열었다. 이어서 신경외과에 의해 골반강내에 있는 종 양을 제거하였다. 종괴는 약 6×5cm정도의 큰 덩어리와 거 기에 연해서 몇 개의 분엽화된 덩어리들 모두를 제거하였다.

종괴는 육안적으로 약간 황색 및 노란 빛을 띠었으며 상당 히 탄력성이 있었고, 안에는 점액성의 물질이 관찰되었다.

일부를 냉동 생검을 보내어 조직 소견으로 신경초종임을 확 인하였다. 이어서 복강내 전방수술을 마친 후 환자를 복와위 에서 천추 1번 부위에서 좌측 엉덩이 부위로 확장되는 비 스듬한 피부 절개를 시행한 후에 근육을 박리하고 보니 천 추 1번 부위에 이중 모양으로 생긴 4×5cm정도의 종괴가 발견되어 제거하고, 이어서 그 종괴는 천추 2번의 좌측 신 경관으로 골을 침식시키며 파괴된 소견을 보이고 확장되어 있었다. 그 안에 남아 있는 종괴를 모두 제거하고 앞쪽과 뚫 려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어서 천추 제 3 번 부위까지 내

Fig. 2. Postoperative Sagittal T1-weighed MR image showing removal of previous mass on the presacral & posterior sacral portion.

Fig. 3. A:It consists of spindle cells which are arranged in short bundles or interlacing fascicles(100×H-E). B:Some neuclei of neoplastic cells discloses neuclear hyperchromasia with pleomorphism(400×H-E).

A A A

A B B B B

(4)

려간 종양도 모두 제거하였다. 종양의 양상은 골반강내에 서 전방경유법으로 제거한 것과 같은 형태이었다.

수술 후 경과:환자는 수술 후 3주경에 퇴원하였다. 퇴 원시 환자는 신경학적 이상 소견 없이 정상 생활을 영유할 수 있었으며, 현재 외래 통원 치료 및 추적 조사중이다. 수 술 후 약 4개월만에 검사한 MRI상 종괴는 모두 제거된 소 견을 보이고 있다(Fig. 2).

병리학적 소견:육안적으로 황색을 띤 단단한 조직으로 안에는 점액성의 물질이 있었으며 현미경 소견상 비전형적 인 핵을 가진 밀집된 방추세포의 책상배열을 볼 수 있었고 기질내의 부종과 미세낭 형성이 동반되었다. 면역조직화학 염색상 S-100 단백에 대하여 종양세포의 세포질에 미만 성으로 양성 소견을 보였다. 이상의 소견으로 신경초종으 로 진단되었다(Fig. 3A, B).

고 찰

천골부위에 발생하는 종양의 빈도는 상당히 드물어 근골 격계 종양의 약 1~2%로 알려져 있다 2) . 특히 천골부에 발 생하는 경우는 척추 신경초종의 5% 미만으로 드물다 1)3)5)9) . 천골부 신경초종은 천골의 척추관에서 기원하며 천골의 근 위부를 침범하고 중심성으로 느리게 자라는 종양으로 골파 괴를 동반한다. 종괴는 대부분 천골 전방에서 방추모양으 로 천골공을 확장하면서 골반강 내로 자라며 이 때 생기는 골융해는 경계가 명확하다 1)2) .

척수에서 발생하는 신경초종은 양성이며 피낭을 형성하 고 있어 쉽게 척수와 분리되고 발생부위는 대부분 척추강 을 따라 동등하게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2) . 경우에 따라서는 경추부나 요추부에서 호발하는 것도 보고되고 있 다 2) . 또한 척수 신경초종은 추간공 내에서 신경과 신경근 의 결합부위에서 발생하며 대부분은 척수와 척수경막간의 신경에서 발생하나 2)10) 약 30%에서는 척수경막내외의 또 는 척수경막외에서 발생한다 2) . 이 경우 특히 경추부에서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2) . 또한 척수신경근을 따라 추간 공을 통하여 성장하여 척추강외에 있을 때 아령형 종양을 형성한다 2) .

척수 신경초종의 증상은 감각장애 및 통증이 주 증상이 다. 이것은 주로 척수후근에서 발생하여 척수신경후근을 침 범함으로써 감각계의 장애가 나타나는 것이고 인접한 신경 구조를 압박해서 통증을 유발하는 것으로 되어있다 7) . 특히 천골부위에서 발생하는 거대 신경초종의 임상증상은 요통 및 하지 방산통 그리고 반사소실 등이 나타나며 이런 경우

부위에 발생하는 종양의 일반적인 증상인 제 1 번 천추 신경 근 또는 요천추부 신경체간의 자극에 의한 요통과 하지의 방산통, 근력저하, 반사소실, 요실금, 성적무능력과 항문주 위 감각소실과 거의 비슷하다 3)9) .

Salvant등에 의하면 천골부 거대 신경초종의 호발연령은 30~50대이며 남녀에서 거의 같은빈도로 발생된다고 한다 9) . 본 례에서는 30세의 여성에서 3년간 지속되는 요통을 호 소하였다.

천골부 거대 신경초종의 진단에서 직장 수지검사는 천골 전방부로 전이된 종괴를 촉지할 수 있는 필수적인 검사이 며 7) 단순 X-선 상에서 이상소견과 골용해성 병소를 대부 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1)3)5)8)9) CT 및 MRI상에 서 천골부위에 골 파괴를 동반하며 전후방으로 피질골을 뚫 고 자라나 있으며 6)9) , 수액을 포함한 낭종 및 신경근의 전 이와 확장 등을 보인다 2) . 저자들의 증례에서는 직장 수지 검사상 양성소견이었으나 단순 촬영상 특이 소견이 발견되 지 않았고 CT와 MRI상 천골 부위에 골침식을 동반한 거 대한 종괴를 확인하였다.

천골부 거대 신경초종과 감별진단해야 하는 종양은 성인 에서 천골에 가장 흔한 거세포종양, 마미총에 발생하는 일 차성 종양으로 상의세포종 등이고, 젊은 연령에서는 유골 골종, 골모세포종, 동맥류성 골낭 등이다 6) .

신경초종은 조직학적으로 Antoni A형과 Antoni B형으로 나누어지며 Antoni A형은 방추형세포의 핵 배열이 책상배 열하는 것이 특징이며 Antoni B형은 세포수가 적으며 거품 같은 세포가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2)10) . 본 례에서는 병리 학적 검사상 Antoni B형의 신경초종으로 진단되었다.

신경초종은 주위 신경조직과 비교적 명확한 경계를 보이

므로 외과적 수술에 의한 완전 박리 적출이 가장 좋은 방

법으로 되어 있으며 현미경적 박리 및 수술중 신경생리학

적 감시를 통해 이러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으로 되

어있다 2) . 수술적 치료를 결정하는 요소로 환자의 임상상태

가 가장 중요하며 조직학적으로 양성이거나 신경학적 증상

이 심한 경우에는 적극적인 완전 적출을 시행하라고 Aber-

nathey등은 보고하였다 1) . 수술 전에 시행하는 검사로서는

척수조영술과 CT 그리고 MRI 등이 있는데 척수조영술은

경막내의 병소 유무와 척수강 상방으로의 종양의 확장 정도

를 알 수 있고, CT는 천골부위와 골반강으로 확장된 종양

의 경계 그리고 주변 장기와의 관계를 알 수 있다. MRI는

척수 및 신경근과 후복막으로의 침범 정도를 알 수 있고 감

별진단하는데 유용하다 1)3)8)9) . 수술방법은 종양의 골반강 안

으로 확장 및 천골의 파괴 정도에 따라 복부를 경유한 전방

(5)

의 완전 적출을 위해 동시에 전, 후방 접근법을 시행하기도 한다 1)3) . 본 례에서는 일반외과의 도움을 얻어 동시에 완전 적출을 위한 전방 및 후방 접근 법을 시행하였다.

결 론

본 신경외과에서는 요통과 좌골 신경통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에서 천골부와 골반강에 위치한 거대 신경초종 1례를 전방 및 후방 경유법을 동시에 시행하는 병합적인 수술적 가료로 좋은 결과를 얻었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논문접수일:1999년 12월 3일

심사완료일:2001년 3월 6일

책임저자:이 종 수

301-725 대전광역시 중구 목동 10-7번지 대전 선병원 신경외과

전화:042) 220-8854, 전송:042) 222-7573 E-mail:Jslee@sunhospital.com

References

1) Abernathey CD, Onofrio BM, Scheithver B, Pairolero PC, Shives TC:Surgical management of giant sacral schwannoma,

J Neurosurg 65286-295, 1986

2) Ban JY, Shin YG, Kim HK, Rteu TH, Lee JS, Yoon SH:A

case of asymtomatic giant benign schwannoma involving cervical vertebral body. J Kor Neurosurg Soc 28273-279, 1999

3) Feldenzer JA, McGauley JL, McGilicuddy JE:Sacral and

Presacral tumorsProblems in diagnosis and management.

Neurosurgery 25884-891, 1989

4) Kim YT, Jho HD, Yoo YR, Kim NK, Chung HY:Wide-

spread benign schwannoma involving multiple cervical verte- bral bodies. J Kor Neurosurg Soc 9615-618, 1980

5) Lee JH, Byun YW, Yim MB, Kim IH:A case of malignant

schwannoma in the sacrum. J Kor Neurosurg SOC 11289- 395, 1982

6) Park HK, Shin WH, Kim BT, Lee DW, Byun BJ, Choi SK:A

case of giant intrasacral schwannoma. J Kor Neurosurg Soc 28398-401, 1999

7) Park KS, Lee SO, Choi CS, Park KY, Ju MB:A case of

cervical schwannoma in a child. J Kor Neurosurg Soc 11105-109, 1982

8) Rengachary SS, O Boynick P, Batnitzky S:Giant intrasacral

schwannomaCase report. Neurosurgery 9573-577, 1981

9) Salvant Jb, Yoing HF:Giant intrasacral schwannoma

An unusual cause of lumbosacral radiculopathy. Surg Neurol 41411-413, 1994

10) Vinken PJ, Bruyn GW:Handbook of clinical Neurology. Inc.

New York. Part 2American Elsevier Publishing Co., 1976,

pp238-289

수치

Fig. 1. A:Preoperative Sagittal T1-weighed MR image showing  a 6×5cm sized Iso-signal intensity, smooth-round margined  mass with multiseptated component in the presacral &
Fig. 2. Postoperative Sagittal T1-weighed MR image showing removal of previous mass on the presacral & posterior sacral portion

참조

관련 문서

Recently, for lumbar disc herniation, Trans-Sacral Epiduroscopic Laser Decompression (SELD) has been a minimally invasive procedure before surgery.. Especially,

Table 2. Schatzker and Lambert assessment --- 18.. A), B) Preoperative anteroposterior and lateral radiograph of the left knee of a sixty-two-year-old man who

(c) Partial listing of a Data Specific Table (DST) showing data sets and associated attributes derived from (b). Attribute Type Domain

Comparison of sagittal balance, spinal curvature, spinopelvic parameters, and lower limb parameter between EOS and WSX in sagittally imbalanced group A number

Preoperative evaluation of pelvic lateral lymph node of patients with lower rectal cancer: comparison study of MR imaging and CT in 53 patients?.

A and E, In control group, a small amount of new bone was observed at the margin of bone defect (40×); B and F, In experimental group 1, a large amount of new bone was formed

Purpose: Giant cell tumor of the tendon sheath are the most common tumors after ganglionic cysts in benign soft tissue tumors which could be recurred after surgical

Utility of T1-and T2-weighted high-resolution vessel wall imaging for the diagnosis and follow up of isolated posterior inferior cerebellar artery dissection wi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