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The Journal of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Volume 57 Number 2 2022 Received April 28, 2021 Revised July 26, 2021 Accepted December 8, 2021 Correspondence to: Woo Chull Chung, M.D.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The Journal of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Volume 57 Number 2 2022 Received April 28, 2021 Revised July 26, 2021 Accepted December 8, 2021 Correspondence to: Woo Chull Chung, M.D."

Copied!
7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서 론

고관절 이형성증은 고관절 골관절염 발생에 중요한 인자로 알려

져 있다.1,2) 고관절 이형성증 환자에서는 비구순의 손상 및 과부 하, 비구 가장자리의 부하 및 그에 따른 관절연골의 퇴화로 인해 골관절염이 병발하는 것으로 생각된다.3,4)

측면 중앙 모서리 각도(lateral center edge angle, LCEA)이 15° 미만으로 정의되는 중증의 고관절 이형성증 환자에서는 비 구개를 재건해주는 골반 절골술이 좋은 임상적 결과를 나타낸다.

그러나 골반 절골술은 관련된 합병증(출혈, 침습성, 긴 수술 및 회복시간 등)으로 고관절 이상 증세가 경미한 환자들에게는 시행

Copyright © 2022 by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The Journal of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Volume 57 Number 2 2022 Received April 28, 2021 Revised July 26, 2021 Accepted December 8, 2021 Correspondence to: Woo Chull Chung, M.D.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St. Carollo Hospital, 221 Sungwang-ro, Suncheon 57931, Korea

TEL: +82-61-720-2130 FAX: +82-61-720-2484 E-mail: wctoilets@hanmail.net ORCID: https://orcid.org/0000-0001-7577-3575

경계성 고관절 이형성증에서 비구순 보존술을 통한 관절경적 처치 후 최소 5년 추시 결과

함동훈 • 정우철 • 허순호 • 정명철

성가롤로병원 정형외과

Minimum Five-Year Results of Arthroscopic Management with Labral Preservation in Borderline Hip Dysplasia

Dong Hun Ham, M.D., Woo Chull Chung, M.D. , Soon Ho Hun, M.D., and Myung Cheol Jung, M.D.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St. Carollo Hospital, Suncheon, Korea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patient-reported outcome scores at mid-term follow-up after arthroscopic labral preservation in patients

with borderline hip dysplasia.

Materials and Methods: Data were collected retrospectively from patients who underwent arthroscopic labral preservation. Among the

61 patients classified with hip dysplasia, patients with arthritis beyond Tönnis grade II were excluded, Patients with subchondral bony exposure were excluded even if they had arthritis of Tönnis grade I. Forty-two patients with borderline hip dysplasia were enrolled among patients whose lateral center edge angle (LCEA) was between 18° and 25°. The PRO scores including the modified Harris hip score (mHHS), hip outcome score activities of daily living (HOS-ADL), hip outcome score sport-specific subscale (HOS-SSS) and visual analog scale (VAS), were collected and compared preoperatively, and then at one year and a minimum of five years after surgery.

Results: The mean preoperative LCEA and Tönnis angle were 20.9° (range, 18° to 25°) and 6.3° (range, 0° to 18°), respectively. The mean

follow-up was 64.8 (range, 60 to 84) months. The mean mHHS increased from 73.5 before surgery to 86.2 in the fifth year after surgery (p<0.01), the mean HOS-ADL from 70.5% before surgery to 84.9% in the fifth year after surgery (p<0.01), and the mean HOS-SSS from 51.4 before surgery to 69.4 in the fifth year after surgery (p<0.01). The mean VAS score improved from 6.3 before surgery to 1.5 in the fifth year after surgery (p<0.01).

Conclusion: Arthroscopic labral preservation performed in appropriately selected patients with borderline dysplasia showed good results

at mid-term follow-up. In borderline hip dysplasia without the progress of osteoarthritis and subchondral bone exposure, arthroscopic labral preservation may be considered a good and less invasive option.

Key words: hip, labrum, acetabular dysplasia, arthroscopy

(2)

하기 어렵다.5)

최근 여러 연구에서는 경계성 고관절 이형성증을 LCEA가 18°

에서 25° 사이에 있는 환자로 정의하고 있었으며,6-9) 이러한 경계 성 고관절 이형성증에서 치료방법이 아직 정립되지 않았다. 여 러 연구들에서 경계성 고관절 이형성증 환자에서 관절경적 변 연 절제술을 시행한 경우 높은 재수술률 및 실패율이 보고되었

으나,10,11) 관절경적 비구순 보존술은 골관절염의 진행 속도를 늦

추고 재수술률을 낮추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고 보고되고 있었 다.7,12)

본 저자들은 경계성 고관절 이형성증 환자에서 관절경적 비구 순 보존술을 시행한 뒤 환자 보고 결과(patient reported out- come scores, PRO)의 단기 추시(최소 1년)에서 좋은 결과가 있 었음을 보고하였다.13) 본 연구는 경계성 고관절 이형성증 환자에 서 관절경적 비구순 보존술이 중장기 추시에서도 PRO 및 만족도 에 긍정적 결과가 있는지 평가하고, 어떤 요인들이 결과에 영향 을 미치는지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대상 및 방법

1. 대상

본 연구는 성가롤로병원 연구윤리위원회(Institutional Review Board)로부터 검토 및 승인을 받았으며(IRB no. 2020-12-3) 후 향적 연구로 환자 동의서 면제되었다. 2010년 8월부터 2016년 1월 사이에 비구순 파열에 대하여 진행된 관절경적 비구순 보존 술을 시행 받은 환자들에 대하여 후향적으로 조사되었다. 이 중 61명의 고관절 이형성증으로 분류된 환자 들에서 Tönnis 2등 급 이상의 관절염이 있는 환자 7명은 제외되었으며, Tönnis 1등 급의 관절염을 가진 환자이더라도 관절경상 연골하골 노출이 있 는 환자 12명은 제외되었다. 28명의 여성, 14명의 남성으로 구 성되었으며, 평균 연령은 40.1세(범위, 16–63세)로 LCEA가 18°

이상, 25° 이하인 경계성 고관절 이형성증 환자 4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2. 수술 방법

Ham 등13)이 발표한 논문에 기술된 방법을 이용하여 비구순 보 존술을 시행하였다. 모든 수술은 앙와위로 시행되었으며, 견인 테이블(table)을 사용하여 환측 고관절을 10° 내전, 20° 굴곡, 15° 내회전으로 유지시켰으며, 회음부 기둥을 두껍게 말아서 준 비하여 압박 손상이 없도록 유의하였다.

C-형 투시 장치(C-arm fluoroscopy) 유도하에서 긴 척추바늘 을 삽입하여 적절한 위치임을 확인한 뒤 전외측 삽입구(antero- lateral portal)를 확보하였으며, 전방 삽입구(anterior portal)를 관절경하에 적절한 위치에 형성하였다. 통상적으로 두 삽입구 사 이의 관절낭을 모두 절제하지 않고, 기구가 움직일 수 있을 정도 로 최소한의 관절 절개를 시행하였다.

관절 내로 관절 내 병변을 확인하여 관찰되는 병변에 따라 필 요한 술기를 시행하였다. 천공기(burr)를 이용하여 비구의 피질 을 최소한으로 깎아내어 비구순 치유가 증진될 수 있도록 하였 다. 봉합 나사못(Juggerknot; Biomet Sport Medicine, War- saw, IN, USA)을 비구순 기저부에 삽입하였으며, 수직 매트리스 봉합법 및 단순 봉합법을 이용하여 비구순 보존술을 시행하였다 (Fig. 1).

견인력을 제거한 다음 환자의 고관절을 굴곡, 외회전하여 변연 구획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대퇴골 경부와 충돌이 있는 경우 골 연골 성형술을 시행하고 필요한 경우, 12예의 환자에서 미세 불 안정성을 예방하기 위해 관절낭 봉합술을 시행하였다.

3. 연구 방법

환자 설문지를 통하여 변형 Harris hip score (modified Harris hip score, mHHS), 고관절 결과 점수-일상생활 활동(hip out- come score-activities of daily living, HOS-ADL), 고관절 결 과 점수-스포츠별 하위 척도(hip outcome score-sport-spe- cific subscale, HOS-SSS), 시각통증척도(visual analogue scale, VAS)를 술 전, 술 후 3개월, 술 후 6개월, 1년 및 이후로는 1년 단위로 추시하며 조사하였다. 술 전, 술 후 1년 및 술 후 5년

A B C

Figure 1. Labral tear was repaired using the labral base refixation technique. (A) The arrow shows a labrum tear. This shows a typical “inside-out”

pattern of cartilage damage caused by borderline dysplasia and hip instability. (B) The polydioxanone suture was passed through the labrum with a suture hook. (C) The labral base is sutured by vertical mattress method and fixed with a suture anchor.

(3)

에 시행한 PRO를 통계적으로 비교하였다.

모든 환자들은 술 전, 술 후에 표준적인 골반 전후 엑스레이, 변형 Dunn 영상 및 false-profile 영상을 촬영하여 LCEA, ante- rior center edge angle을 측정하고 고관절 이형성 정도와 관절 염의 진행 정도를 확인하였다. 또한, 술 전 관절 조영 자기공명영 상(magnetic resonance arthrography)를 촬영하여 비구순 파 열에 대하여 확인하였다. 신체검사로는 정형외과 전문의가 모든 환자에게 관절운동의 범위, C 징후(C-sign) 유무, 근력 검사 및 유발 검사, Patrick test 및 전방 충돌 검사를 시행하였다.

4. 통계적 방법

통계적인 분석은 술 전 및 술 후 5년 추시 시기에 시행된 PRO

를 비교하기 위해 SPSS 12.0 (SPSS Inc., Chicago, IL, USA)로 paired t-test를 이용하였다. 술 전 과 술 후 5년에 시행한 PRO 를 비교하여 paired t-test를 시행하였으며, 통계적 유의 수준은 p값이 0.05 미만인 경우로 하였다.

결 과

후향적으로 조사된 기간 동안 본원에서 비구순 보존술을 시행 받 은 166명 환자 중 42명의 환자가 대상이 되었다. 모든 환자들에 서 술 전 신체검사상 C 징후, Patrick test, 전방 충돌 검사 중 하 나 이상이 양성으로 관찰되었다. 평균 추시 기간은 64.8개월(범 위, 60–84개월)이였으며 평균 LCEA는 20.9° (범위, 18°–25°), Tönnis 각은 6.3° (범위, 0°–18°)였다.

동반된 대퇴비구 충돌은 집게발(pincer)형이 12명, 혼합형이 4명, 권총 손잡이(cam)형이 2명이였으며 이는 시행한 방사선학 적 검사상 crossover sign, prominent ischial spine sign, al- pha angle을 기준으로 확인하였다(Table 1). Pincer형 및 혼합 형 대퇴비구 충돌이 동반된 환자의 경우 수술적 처치 시에 비구 trimming은 시행하지 않고, 다른 증례들과 마찬가지로 피질 제 거술(decortication)만 시행하였다.

추시기간 동안 대퇴비구 충돌이 동반된 5예에서는 신체검사상 C 징후, Patrick test, 전방 충돌 검사 중 일부가 양성으로 잔존되 었으나 모두 증상이 호전되었다고 하며 추가적인 처치는 시행하 지 않기로 하였다. 방사선학적 검사상 관절 간격이 감소한 예는 없었으며, 피질골의 경화 및 약간의 골극 형성이 9예에서 관찰되 었으나 골관절염의 Tönnis 등급이 진행된 예는 관찰되지 않았 Table 1. Demographics of the Patients with Borderline Dysplasia

Treated with Arthroscopy

Variable Value

Tönnis angle (°) 6.3 (0–18)

Lateral CE angle (°) 20.9 (18–25) Anterior CE angle (°) 23.7 (16–42) Follow-up time (mo) 64.8 (60–84) Associated femoroacetabular impingement

Pincer 12

Cam 2

Mixed 4

Values are presented as the mean (range) or number only. CE, center edge.

Preoperative 1 yr 5 yr

100

80

60

40

20

DurabilityofPROs(score)

Time 0

mHHS HOS-ADL HOS-SSS

mHHS HOS-ADL HOS-SSS

Preoperative 73.5 70.5 51.4

1 yr 88.5 86.7 74.4

<0.01

<0.01

<0.01 p-value 5 yr

86.2 84.9 69.4

Preoperative 1 yr 10

8

6

4

2

DurabilityofPROs(score)

Time 0

VAS Satisfactory

VAS Satisfactory

Preoperative 6.3

-

1 yr 1.6 7.7

<0.01

<0.01 p-value 5 yr

5 yr 1.5 7.3

Figure 2. Durability of patient-reported outcomes (PROs) over time for all patients with PRO scores at the preoperative, one-year, and minimum five- year time points. The p-value is a comparison between the preoperative group and the minimum five-year follow-up group. Values are shown as the mean±standard deviation. mHHs, modified Harris Hip Score; HOS-ADL, hip outcome score-activities of daily living; HOS-SSS, hip outcome score- sport-specific subscale; VAS, visual analog scale.

(4)

다.

mHHS는 수술 전 평균 73.5점(±5.9)에서 5년 추시 후 86.2 점(±6.3)으로 증가하였으며(p<0.01), HOS-ADL는 평균 70.5%

(±6.0)에서 84.9% (±5.2)으로 증가하였으며(p<0.01), HOS- SSS는 평균 51.4 (±7.3)에서 69.4 (±9.3)으로 증가하였으며 (p<0.01), VAS는 평균 6.3 (±1.2)에서 1.5 (±0.8)으로 감소하였 다(p<0.01). 또한 만족도 점수는 수술 후 7.7점에서 5년 후 7.3 점으로 다소 감소하였으나 지속적으로 만족스러운 결과가 유지 되었다. 환자 만족도 점수는 5년 추시 결과값은 단기 1년 추시 결 과와 비교 시 일부 감소 소견이 관찰되었으나, 수술 전과 비교하 여 모두 유의미한 증가된 결과를 보였다(Fig. 2).

고 찰

본 연구에서 관절경적 비구순 보존술을 시행 받은 경계성 고관절 이형성증 환자들은 단기 추시뿐만이 아니라 중기 추시(최소 5년 추시)에서도 지속적으로 만족스러운 결과를 보였다.

경계성 고관절 이형성증은 약간의 비정상적인 구조를 가지며 이로 인한 접촉 부하의 증가가 미세 불안정의 발생 및 증상을 일 으키게 된다.7) 경계성 고관절 이형성증에서 연골 손상이 적고, 관 절 일치성이 양호하여 골반 절골술의 적절한 적응증이 되는 경우 를 제외하고는 정립된 치료방법이 없으며, 대퇴비구 충돌이 동반 된 경우에는 골반 절골술이 이차적인 충돌과 과교정 등으로 나쁜

결과를 보이기도 한다.14-16)

경계성 고관절 이형성증의 치료로써 고관절 관절경 수술이 많 이 시도되고 있으나 아직 확실히 정립된 바는 없다. Parvizi 등10) 은 34명의 고관절 이형성증 환자에서 관절경을 시행하였을 때 70.6%에서는 증상호전이 없었고, 39%에서는 관절염이 진행하 였으며, 36%에서는 대퇴골두의 전위가 발생하였다고 보고하였 다. 그러나 이때 환자들은 LCEA<20°였으며, 비구순 절제술을 포 함하여 시행하였다. 본 저자들은 경계성 고관절 이형성증 환자에 서 관절경적 비구순 절제술 후 급속한 관절염의 진행으로 인공 고관절 치환술을 시행한 1예가 있었다. 이후 비구순 절제술은 시 행하지 않았고, 현재까지 관절염이 급격하게 진행하는 환자는 없 었다.

Byrd와 Jones6)는 경계성 고관절 이형성증(20°<LCEA<25°)와 고관절 이형성증 (LCEA<20°)이 있는 환자 48명의 환자에서 관 절경적 비구순 변연 절제술을 시행하였으며, 평균 27개월 추시 결과 mHHS가 77점으로 향상되는 결과를 보였다. Nawabi 등17)은 경 계성 고관절 이형성증(18°<LCEA<25°)이 동반된 대퇴비구 충돌 환자 및 고관절 이형성증이 동반되지 않은 대퇴비구 충돌 환자들 에서 관절경적 비구순 보존술 및 관절낭 봉합술을 시행하였고, 평균 31.3개월 추시 결과 두 군 모두 여러 PRO (mHHS, HOS- SSS, HOS-ADL, 국제 고관절 결과 도구-33 [International Hip Outcome Tool-33, iHOT-33])에서 유의할 만한 증진을 보이 며,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음을 보고하였다. Larson 등8)

A B

C D E F

R

R

Figure 3. (A) Plain X-ray shows borderline dysplasia and mild osteoarthritis of the right hip (Tönnis grade I). (B) Magnetic resonance arthrogram shows a labral tear. (C) The arrow refers to delamination. (D) The star indicates damage to the cartilage of the femoral head due to osteoarthritis. (E) Labral preservation was done. No subchondral bone exposure was observed in this patient. (F) On the X-ray at the five-year follow-up, there was a slight occurrence of a bony spur, but osteoarthritis was no longer progressing and the joint condition was maintained (Tönnis grade I).

(5)

고관절 이형성증 환자에서 비구순 보존술 혹은 비구순 변연 절제 술을 포함한 관절경적 처치를 시행했을 때 비교적 높은 실패율 (32%)을 보였으나 경계성 이형성증 환자(평균 LCEA=21°, 평균 Tönnis 각=11°)에서 관절경적 관절낭 봉합술 및 비구순 보존술 을 시행했을 때는 낮은 실패율(18%)를 보고하였다.

각 연구마다 경계성 고관절 이형성증에 대한 정의가 다양했고, 적용한 관절경 시술이 달랐으나 비교적 심하지 않은 이형성증을 대상으로 하였을 때 관절경적 비구순 보존술은 좋은 결과들을 보 였다. 본 연구에서도 마찬가지로 LCEA가 18° 이상, 25° 이하인 경계성 고관절 이형성증에서 관절경적 비구순 보존술은 좋은 결 과를 보였다.

Domb 등7)은 경계성 고관절 이형성증(18°≤LCEA≤25°) 환 자 22명에서 관절경적 비구순 보존술과 관절낭 중첩술(capsular plication)을 시행하였으며, 술 후 약 26개월에 mHHS, 비관절 염 고관절 점수(Non-arthritic Hip Score, NASH), HOS-SSS, VAS의 상당한 증진을 보고하였으며, Domb 등18)은 이후 최소 5 년 추시 후에도 술 전과 비교하여 유의미한 PRO의 증진이 지속 됨을 보고하였다. 여러 연구들에서 비구순을 보존하고 관절낭 중 첩술을 시행하는 것이 관절의 안정성에 기여한다는 이론적인 근 거를 주장하였으나,8,17,18-20) Hwang 등21)은 162명의 경계성 고관 절 이형성증 환자들에서 관절경적 치료 후 평균 87.4개월 추시 결과 PRO (mHHS, NASH, HOS-ADL, VAS)의 유의미한 증가가 중장기에서도 지속됨을 보고하였다. 이들은 관절낭 중첩술 혹은 관절낭 봉합술을 시행하지 않고도 좋은 결과를 보고하였고, 본 연구에서도 관절낭 봉합술을 시행한 환자 12예와 시행하지 않은 환자 30예가 포함되었고 중장기 추시에서 좋은 결과를 보였다.

이는 관절낭 절제술을 최소로 시행하여 관절의 안정성에 크게 영 향을 주지 않기 때문이라고 생각되며 Hevesi 등22) 또한 관절낭 봉합술을 시행한 환자와 시행하지 않은 환자 간에 결과에 차이가 없었다고 보고하였다.

Hatakeyama 등23)은 보다 나쁜 결과를 예측하게 하는 수술 중 인자로는 비구 및 대퇴골의 연골 손상이라고 하였으며, 이외에도 연골 손상이 실패에 대한 예측자라는 여러 연구들이 있었고,24-26) 이러한 연구들에서 연골 손상 이외에 공통적으로 실패와 관련된 인자로는 붕괴된 Shenton 선, 비만(체질량 지수>23 kg/m2), 진 행된 골관절염, 관절경 평가상 연골하골의 노출 등이 있었다.

본 연구의 대상 환자 중 1예에서는 마찬가지로 단순방사선 검 사상 Tönnis 1등급의 골관절염 소견을 보이는 경계성 고관절 이 형성증 환자였으나 관절경상에서 연골하골 노출이 없었던 환자 의 경우 단기 및 중장치 추시에서 골관절염이 더 이상 진행하지 않았고, 만족스러운 결과를 보였다(Fig. 3).

우리의 연구는 몇 가지 제한점들이 있다. 첫째로, 한 술자가 오 랜 기간 동안 시행하였으며, 후향적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선택하 여 편향(bias)이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두 번째로, 환자

마다 관절 내 병변이 다양함에도 불구하고 단지 LCEA만을 가지 고 환자를 선택하였으며, 관절경적 처치 시에도 다양한 관절 내 병변에 대하여 그에 맞는 처치를 시행하여 환자군의 선택에 일관 성이 다소 부족하다고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경계성 고관절 이 형성증 기준은 상대적으로 모호하고 아직 확립되지 않았다. 우 리의 연구에서는 LCEA를 기준으로 18° 이상, 25° 이하의 경우로 정의하였으나, 고관절 이형성증은 삼차원적으로 연구되고 좀더 객관적으로 정의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결 론

경계성 고관절 이형성증 환자에서 관절경적 비구순 보존술은 중 기 추시에서 좋은 결과를 보였다. 골관절염이 진행되지 않았고, 관절경 평가상 연골하골의 노출이 없는 환자들에서 만족스러운 추시가 가능할 것으로 생각되며, 비구순 절제술보다 비구순 보존 술을 시행하였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CONFLICTS OF INTEREST

The authors have nothing to disclose.

ORCID

Dong Hun Ham, https://orcid.org/0000-0001-9803-6826 Woo Chull Chung, https://orcid.org/0000-0001-7577-3575 Soon Ho Hun, https://orcid.org/0000-0001-9659-5886 Myung Cheol Jung, https://orcid.org/0000-0003-2477-3975

REFERENCES

1. Murphy SB, Ganz R, Müller ME. The prognosis in untreated dysplasia of the hip. A study of radiographic factors that pre- dict the outcome. J Bone Joint Surg Am. 1995;77:985-9.

2. Goldstein RY, Kaye ID, Slover J, Feldman D. Hip dysplasia in the skeletally mature patient. Bull Hosp Jt Dis (2013).

2014;72:28-42.

3. Weinstein SL, Mubarak SJ, Wenger DR. Fundamental con- cepts of developmental dysplasia of the hip. Instr Course Lect. 2014;63:299-305.

4. Wyles CC, Heidenreich MJ, Jeng J, Larson DR, Trousdale RT, Sierra RJ. The John Charnley Award: redefining the natural history of osteoarthritis in patients with hip dysplasia and impingement. Clin Orthop Relat Res. 2017;475:336-50.

5. Zaltz I, Baca G, Kim YJ, et al. Complications associated with

(6)

the periacetabular osteotomy: a prospective multicenter study. J Bone Joint Surg Am. 2014;96:1967-74.

6. Byrd JW, Jones KS. Hip arthroscopy in the presence of dys- plasia. Arthroscopy. 2003;19:1055-60.

7. Domb BG, Stake CE, Lindner D, El-Bitar Y, Jackson TJ.

Arthroscopic capsular plication and labral preservation in borderline hip dysplasia: two-year clinical outcomes of a sur- gical approach to a challenging problem. Am J Sports Med.

2013;41:2591-8.

8. Larson CM, Ross JR, Stone RM, et al. Arthroscopic manage- ment of dysplastic hip deformities: predictors of success and failures with comparison to an arthroscopic FAI cohort. Am J Sports Med. 2016;44:447-53.

9. Lodhia P, Chandrasekaran S, Gui C, Darwish N, Suarez-Ahe- do C, Domb BG. Open and arthroscopic treatment of adult hip dysplasia: a systematic review. Arthroscopy. 2016;32:374- 83.

10. Parvizi J, Bican O, Bender B, et al. Arthroscopy for labral tears in patients with developmental dysplasia of the hip: a cautionary note. J Arthroplasty. 2009;24(6 Suppl):110-3.

11. Kalore NV, Jiranek WA. Save the torn labrum in hips with borderline acetabular coverage. Clin Orthop Relat Res.

2012;470:3406-13.

12. McCormick F, Slikker W 3rd, Harris JD, et al. Evidence of capsular defect following hip arthroscopy. Knee Surg Sports Traumatol Arthrosc. 2014;22:902-5.

13. Ham DH, Chung WC, Jung BH, Jung DU, Kang KR. The effectiveness of arthroscopy in borderline hip dysplasia. J Ko- rean Orthop Assoc. 2017;52:146-52.

14. Nakayama H, Fukunishi S, Fukui T, Yoshiya S. Arthroscopic labral repair concomitantly performed with curved periac- etabular osteotomy. Knee Surg Sports Traumatol Arthrosc.

2014;22:938-41.

15. Nassif NA, Schoenecker PL, Thorsness R, Clohisy JC. Peria- cetabular osteotomy and combined femoral head-neck junc- tion osteochondroplasty: a minimum two-year follow-up cohort study. J Bone Joint Surg Am. 2012;94:1959-66.

16. Siebenrock KA, Schaller C, Tannast M, Keel M, Büchler L.

Anteverting periacetabular osteotomy for symptomatic ac- etabular retroversion: results at ten years. J Bone Joint Surg Am. 2014;96:1785-92.

17. Nawabi DH, Degen RM, Fields KG, et al. Outcomes after arthroscopic treatment of femoroacetabular impingement for patients with borderline hip dysplasia. Am J Sports Med.

2016;44:1017-23.

18. Domb BG, Chaharbakhshi EO, Perets I, Yuen LC, Walsh JP, Ashberg L. Hip arthroscopic surgery with labral preservation and capsular plication in patients with borderline hip dyspla- sia: minimum 5-year patient-reported outcomes. Am J Sports Med. 2018;46:305-13.

19. Yeung M, Kowalczuk M, Simunovic N, Ayeni OR. Hip ar- throscopy in the setting of hip dysplasia: a systematic review.

Bone Joint Res. 2016;5:225-31.

20. Fukui K, Briggs KK, Trindade CA, Philippon MJ. Outcomes after labral repair in patients with femoroacetabular impinge- ment and borderline dysplasia. Arthroscopy. 2015;31:2371-9.

21. Hwang DS, Kang C, Lee JK, Park JY, Zheng L, Hwang JM. The utility of hip arthroscopy for patients with pain- ful borderline hip dysplasia. J Orthop Surg (Hong Kong).

2020;28:2309499020923162.

22. Hevesi M, Hartigan DE, Wu IT, Levy BA, Domb BG, Krych AJ. Are results of arthroscopic labral repair durable in dyspla- sia at midterm follow-up? A 2-center matched cohort analy- sis. Am J Sports Med. 2018;46:1674-84.

23. Hatakeyama A, Utsunomiya H, Nishikino S, et al. Predictors of poor clinical outcome after arthroscopic labral preserva- tion, capsular plication, and cam osteoplasty in the setting of borderline hip dysplasia. Am J Sports Med. 2018;46:135-43.

24. Bryan AJ, Poehling-Monaghan K, Krych AJ, Levy BA, Trousdale RT, Sierra RJ. Factors associated with failure of hip arthroscopy in patients with hip dysplasia. Orthopedics.

2018;41:e234-9.

25. Uchida S, Utsunomiya H, Mori T, et al. Clinical and radio- graphic predictors for worsened clinical outcomes after hip arthroscopic labral preservation and capsular closure in developmental dysplasia of the hip. Am J Sports Med.

2016;44:28-38.

26. Shah A, Kay J, Memon M, et al. Clinical and radiographic predictors of failed hip arthroscopy in the management of dysplasia: a systematic review and proposal for classification.

Knee Surg Sports Traumatol Arthrosc. 2020;28:1296-310.

(7)

경계성 고관절 이형성증에서 비구순 보존술을 통한 관절경적 처치 후 최소 5년 추시 결과

함동훈 • 정우철 • 허순호 • 정명철

성가롤로병원 정형외과

목적:

본 연구는 경계성 고관절 이형성증 환자에서 관절경적 비구순 보존술을 시행 후 중기 추시 환자 보고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비구순 파열에 대하여 진행된 관절경적 비구순 보존술을 시행 받은 환자들에 대하여 후향적으로 조사되었다. 이 중 61명의 고관절 이형성증으로 분류된 환자들에서 단순 방사선 검사상 Tönnis 2등급 이상의 관절염이 있는 환자들은 제외되었으 며, 또한 Tönnis 1등급의 관절염을 가진 환자이더라도 관절경상 연골하골 노출이 있는 환자는 제외되었다. 측면 중앙 모서리 각 도(lateral center edge angle, LCEA)가 18° 이상, 25° 이하인 환자를 기준으로 하여 경계성 고관절 이형성증 환자 42명을 대상으 로 하였다. 환자 설문지를 통하여 변형 Harris 고관절 점수(modified Harris hip score, mHHS), 고관절 결과 점수-일상생활 활동 (hip outcome score-activities of daily living, HOS-ADL), 고관절 결과 점수-스포츠별 하위 척도(hip outcome score-sport- specific subscale, HOS-SSS), 시각통증척도(visual analogue scale, VAS)을 술 전, 술 후 1년 및 술 후 5년에 시행한 환자 분석 결과를 통계적으로 비교하였다.

결과:

평균 추시 기간은 64.8개월(범위, 60–84개월) 이였으며 평균 LCEA는 20.9° (범위, 18°–25°), Tönnis 각은 6.3° (범위, 0°–

18°) 였다. mHHS는 수술 전 평균 73.5에서 5년 추시 후 86.2로 증가하였으며(p<0.01), HOS-ADL는 평균 70.5%에서 84.9%으 로 증가하였으며(p<0.01), HOS-SSS는 평균 51.4에서 69.4으로 증가하였으며(p<0.01), VAS는 평균 6.3에서 1.5으로 감소하였 다(p<0.01).

결론:

적절하게 선별된 경계성 고관절 이형성증 환자들에서 시행한 관절경적 비구순 보존술은 중기 추시에서 좋은 결과를 보였다.

골관절염이 진행되지 않았고, 연골하골 노출이 없는 경계성 고관절 이형성증에서는 관절경적 비구순 보존술이 덜 침습적인, 좋은 선택 사항으로 고려될 수 있다.

색인단어: 고관절, 비구순, 비구 이형성증, 관절경

접수일 2021년 4월 28일 수정일 2021년 7월 26일 게재확정일 2021년 12월 8일 책임저자 정우철

57931, 순천시 순광로 221, 성가롤로병원 정형외과

TEL 061-720-2130, FAX 061-720-2484, E-mail wctoilets@hanmail.net, ORCID https://orcid.org/0000-0001-7577-3575

Copyright © 2022 by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대한정형외과학회지:제 57권 제 2호 2022

참조

관련 문서

1 John Owen, Justification by Faith Alone, in The Works of John Owen, ed. John Bolt, trans. Scott Clark, &#34;Do This and Live: Christ's Active Obedience as the

In a dense scenario, the number of events may be huge, so the time points when events happen may be extremely close to one another (i.e., quite successive on the time

success rates of dental implants placed at the time of or after alveolar ridge augmentation with an autogenous mandibular bone graft and titanium mesh: a 3-to

Incheon is also developing smart tourist city contents, selected for the first time among the cities in Korea, in the whole area of the open port area by April 2021

Findings from a six-year longitudinal study which examined the effects over time of using the William and Mary language arts for gifted learners in a

Number employed Month and

The below analysis of the bilateral trade flows between the EU and Korea is based on a comparison of data for the third year of implementation of the FTA (July 2013 – June 2014)

Given that, the economy can be expected to grow at a similar rate this year and next year, and Latvijas Banka has revised the GDP growth forecast for 2022 downwards 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