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Development of dating violence prevention teaching-learning plan for high school Home Economics class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Development of dating violence prevention teaching-learning plan for high school Home Economics class"

Copied!
21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1) 교신저자: Han, Ju, Kangwon National University, Gangwondaehak-gil, Chuncheon-si, Gangwon-do, Republic of Korea Tel: 033-250-6742, Fax: 033-259-5601, E-mail: zoz20202@Kangwon.ac.kr

2018. Vol. 30, No. 4, pp.187-2071) http://dx.doi.org/10.19031/jkheea.2018.12.30.4.187

데이트폭력 예방을 위한 고등학교 가정과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한주*1)

강원대학교 가정교육과 조교수*

Development of dating violence prevention teaching-learning plan for high school Home Economics class

Han, Ju*

1)

Assistant professor, Dept. of Home Economics Educatio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teaching-learning plan applicable to high school technology・home economics and home science classes in order to prevent adolescents’ dating violence which is one of the serious social problems we are facing lately.

This research has following three steps: 1. Analyzing contents and selecting content elements, 2. Developing teaching-learning materials, and 3. Performing a pilot test and making corrections. In the first step, this author analyzes how the contents associated with dating violence are presented in the 2015 curriculum of technology・home economics and the textbooks and reviews related literatures to select content elements necessary to prevent dating violence for those going through adolescence. Based on that, in the second step, this researcher develops a teaching-learning plan for six lessons and then makes it verified by two experienced teachers of home economics. In the last step, the teaching-learning plan for six sessions developed is implemented to two high school classes, and then, based on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opinions of the teachers implementing the plan and students about the class, this researcher modifies and complements the parts of the plan showing low applicability to the field and develops the final dating violence prevention teaching-learning plan.

In order to prevent adolescents’ dating violence, it is necessary to create a social environment safe from violence

and provide violence prevention education before they begin to have relationship. This researcher expects that this

teaching-learning plan is applied in home economics class and it can contribute to enhancing students’ sensitivity about

violence and improving their competencies to make wise judgments in problematic situations and cope with them

properly.

(2)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남녀는 성인으로의 성장 과정에서 이성교제를 통하여 성숙한 대인관계 기술을 습득하며 사회적 자아를 확장시켜 나간다. 발 달심리학자 Havighust(1972)는 이성친구와 새로운 관계를 형성 하여 남성 혹은 여성으로의 역할을 학습하는 것을 청소년 시기 의 주요 발달 과업이라고 하였다. 청소년기는 자신에 대한 관심 뿐만 아니라 이성과 낭만적 사랑에 대한 호기심이 매우 높아지 는 시기이며 청소년기의 이성교제는 성인이 되었을 때의 배우 자 선택에도 영향을 주는 매우 중요한 사건이다.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이성교제 경험 비율은 점차 증가 추세 에 있으며, 용인시 중고등학생 2,134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 에서는 중학생의 49%, 고등학생의 67%가 이성교제 경험이 있 는 것으로 응답하였다(Park, 2017). 아하 청소년성문화센터 (2010)에서 10대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도 응답자의 61%

가 이성교제 경험이 있다고 응답하였다. 이와 같이 우리나라 청 소년들의 과반수 이상은 이성교제를 경험했거나 현재 경험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청소년은 이성교제 과정에서 상대방으로부터의 관심과 애정 을 통해 자존감과 정서적 만족감을 얻기도 하지만, 미성숙한 대 인관계 기술로 인한 갈등이나 원치 않는 성(性)적 행위 등 부정 적인 경험을 하기도 한다. 특히 최근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데이트폭력은 이성교제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가장 심각한 문제라고 할 수 있다.

학자들에 따라 데이트폭력의 개념과 범위를 규정하는 데에는 차이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데이트폭력이란 친밀한 교제 관계에 서 발생하는 다양한 종류의 정서적・언어적・신체적 폭력 및 사 이버 상에서의 폭력을 총칭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데이트폭력 은 그 자체로서 심각한 신체적・정신적 파괴력을 가지고 있으며

폭력으로 인한 외상 후 스트레스 증후군, 우울증, 자존감의 손 상 등 반영구적인 2차 피해를 동반한다. 미국 중・고등학교 청소 년을 대상으로 실시한 종단 연구결과, 청소년기에 데이트폭력 을 경험하지 않은 사람에 비해 데이트폭력을 경험한 여성들은 5년 후 더 많은 일시적 음주 및 우울증을 겪었고, 남성들의 경 우 반사회적 행동과 마리화나 사용 비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 나고 있다(Exner-Cortens, Eckenrode & Rothman, 2013).

데이트폭력을 성인 남녀 사이에 발생하는 문제로 인식해 온 기존의 통념과 달리 이성교제를 경험하는 청소년들이 늘어남에 따라 청소년들의 데이트폭력 피해 상황도 증가추세에 있다.

Yang과 Shin(2006)이 서울시의 고교생 1,196명을 대상으로 한 이성교제폭력 실태조사 결과, 이성교제 시 폭력을 경험한 고교 생은 22.6%로 나타났다. 이것은 기존의 성인 대상 연구에서 나 타난 데이트폭력 발생률이 20~50%이고 외국 연구에서의 발 생률이 9%~59%로 나타난 것과 비교했을 때 결코 낮은 수준 이 아니다.

그러나 데이트폭력은 친밀한 둘 사이에서 발생하는 폭력이기 때문에 가해자나 피해자가 이것을 폭력으로 정확하게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폭력으로 인지한다고 하더라도 애정 관계 에 있는 상대방과의 관계를 밖으로 드러내거나 신고하는 비율 은 매우 낮기 때문에 폭력이 발생할 경우 외부의 도움을 받기 어렵다. 청소년의 경우에는 성인에 비해 이성교제나 데이트폭 력에 대한 현실적인 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기회가 적고 데이트폭 력에 노출되어도 이성교제를 부정적으로 보는 사회적 시각으로 인해 적극적인 신고나 도움을 요청할 수 없다는 더 큰 문제가 있다. 즉, 청소년의 경우 성인에 비해 데이트폭력의 사각지대에 놓일 가능성이 더 높다.

따라서 청소년의 데이트폭력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데이트폭 력 상황을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는 능력, 친밀한 관계인 상대 방을 존중하는 능력, 데이트폭력 상황에서 외부에 도움을 요청 하고 대처할 수 있는 능력에 대한 교육이 모두 필요한 상황이 다. 데이트폭력을 예방한다는 것은 인식의 변화와 실천이 함께 Key words: 데이트폭력 예방교육 (dating violence prevention program), 청소년 데이트폭력(teen dating violence, TDV), 가

정과 교수・학습 과정안(Home Economics teaching-learning plan), 친밀한 관계에서의 폭력(intimate partner

violence, IPV)

(3)

따라야 하는 문제로 일회성의 교육으로 달성될 수 있는 목표는 아니다. 학교는 청소년에게는 가장 일반적이고 보편적 사회적 교육기관이기에 데이트폭력 예방 프로그램은 중등학교 교실 수 업을 통해 지속적으로 접근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일 것이다.

한국형사정책연구원(2015)은 데이트폭력 예방을 위해서는 전 생애에 걸쳐 각 연령대별 예방 프로그램이 갖추어져야 하며 특 히 처음으로 교제를 시작하게 되는 청소년기 학생들을 대상으로 범 정부차원에서 데이트폭력 예방 프로그램을 마련하는 것이 시 급하다고 지적하였다. Yoon, Yang과 Park(2012)은 데이트폭력 예방 교육은 중고등학생의 초기 청소년기부터 시작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며 청소년 상담실이나 전문 기관 보다는 교사 연수 프 로그램 등을 통해 교사들이 수업이나 학교생활에서 기본적으로 지도하는 방식이 접근성의 측면에서 바람직하다고 하였다. 이와 같이 데이트폭력과 관련한 선행 연구들(Suh, 2009; Yoon, Yang

& Park, 2012)은 데이트폭력 예방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청소년 시기부터 지속적인 인식 전환이 필요하며 중등학교 교실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미국의 경우 청소년이 건강한 관계를 구축하고 십대 데이트 폭력을 예방하기 위한 “Start Strong”과 같은 프로그램을 전국 적으로 광범위하게 실시하였으며,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데이트폭력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알아보는 연구들 (Exner-Cortens, et al., 2013; Foshee, et al., 2005; Kann, et al., 2014; Miller., et al, 2015; Niolon, et al, 2015; Taylor, Mumford & Stein, 2015; Wolfe, et al., 2009;) 역시 활발히 진 행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데이트폭력과 관련된 연 구의 대부분은 대학생 이상의 성인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데 이트폭력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분석하는 데 연구가 주를 이 루고 있다.

현재까지 청소년을 위해 개발된 데이트폭력 예방 프로그램으 로는 Jung과 Min(2013)의 ‘중학생을 위한 웹 활용 데이트폭력 예방 프로그램’이 유일한 실정이다. 이 프로그램은 합리적 정 서・행동치료(Rational Emotive Behavior Therapy, REBT) 기 법을 적용한 것으로 중학생의 데이트폭력 인식도를 증가시키고 성역할 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며, 갈등 상황에서 분노와 공격성을 감소시키는 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그 러나 이 프로그램은 회기별 수업 시간이 90분이기 때문에 45분, 혹은 50분의 중등학교 현장 수업에 적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

다.또한 모든 차시가 REBT 기법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이 기법 에 익숙하지 않은 현장 교사들은 쉽게 활용하기 어렵다는 한계 가 있다.

가정과 교육의 목표는 학생들의 삶 속에서의 실천적 문제 해 결 능력, 자립적 생활능력, 관계 형성 능력을 기르는 데 있으며 (Ministry of Education, 2015), 전통적으로 가정과 수업에서는 청소년의 발달 특성과 성(性), 사랑과 배우자 선택 등과 같이 이 성 교제와 관련된 인간 발달상의 주요한 과제들을 다루어왔다.

따라서 가정 교과는 중등학교 교실 수업에서 기존의 교과 내용 과 연계하면서 데이트폭력 예방 교육을 실시하기에 가장 적합 한 교과이다.

데이트폭력은 비단 성인들만이 겪는 문제가 아니라 청소년들 에게도 당면 과제가 되어 가는 만큼, 학교 교육을 통해 보편적 인 교육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관련 교과인 가정교과 수업을 통해 청소년들이 데이트폭력 문제를 예방할 수 있도록 양질의 교육 내용을 개발하여 제공해야 한다. 현재 중학생에 비 해 고등학생의 이성교제 비율이 높고 데이트폭력 문제에 더 많 이 노출될 것으로 예상되는 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데이 트폭력 예방 교육 내용의 개발이 시급하다.

이에 본 연구는 고등학교 가정과 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데 이트폭력 예방을 위한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하는 데 목적을 둔다. 개발된 교수・학습 과정안은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파일럿 테스트를 거쳐 학생들의 수준과 현장 실행에 적합하도록 수정・

보완하여 최종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학생들이 데이트폭력의 가해와 피해로부터 스스로를 지킬 수 있고 더 나아가 데이트폭 력 문제에 대해 자신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표현하여 사회적 목 소리를 내는 데 조화롭게 참여할 수 있게 되기를 기대한다.

2. 연구 내용

본 연구 목적을 달성을 위한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2015 개정 기술・가정 교육과정과 이에 따른 가정과 교 과서, 데이트폭력 관련 선행연구의 내용을 분석하여 데이트폭 력 예방 교육의 내용 요소를 선정한다.

둘째, 선정된 내용요소를 바탕으로 데이트폭력을 예방할 수

있는 가정과 교수・학습 과정안과 관련 수업 자료(학생 활동지,

(4)

프레젠테이션 자료-ppt, 교사 참고자료)를 개발한다.

셋째, 개발된 데이트폭력 예방 교수・학습 과정안을 현장에서 실행하고 수업 실행 교사와 학생의 반응을 참고하여 교수・학습 과정안과 수업 자료를 수정・보완하여 최종적으로 제시한다.

Ⅱ. 선행 연구 고찰

국내의 데이트폭력에 대한 연구들은 주로 대학생 이상의 성 인을 대상으로 해서 데이트폭력에 영향을 주는 가정 내 요소를 중심으로 관련 변인들이 데이트폭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를 알아보는 연구들(Ahn, 2006; Choi & Song, 2014; Kim, 2009; Kim & Om, 2010; Lee & Lee, 2005; Shin & Kim, 2016; Yoon, Yang & Park, 2012)이 활발히 수행되어 왔다. 이 연구들은 공통적으로 가정에서의 가정 폭력 경험, 가정폭력 목 격 경험이 데이트폭력 가해 현상과 연관성이 있다고 언급하고 있었다.

Ahn(2006)은 데이트폭력에 영향을 주는 심리적인 요인으로 개인적 요소와 상황적 요소를 들었는데, 개인적 요소에는 친밀 한 관계에서 이미 경험한 폭력, 폭력허용태도, 성격 특성이, 상 황적 요인으로는 스트레스 요인과 관계 내 갈등을 꼽았다.

Yoon, Yang과 Park(2012)은 남자 대학생의 경우 가정폭력경 험과 가부장적인 성역할 태도, 자신 부모 가정에 대한 열등감이 모두 데이트폭력 허용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히고 있다.

Choi와 Song(2014)은 가정폭력 경험이 암묵적 성 고정 관념, 데이트폭력 피해 경험과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었다고 보고하면 서, 성 고정관념이 데이트폭력의 피해요인이 될 수 있음을 언급 하였다. Kim과 Om(2010)역시 남녀 차별적인 가부장적 성역할 태도가 성 고정관념화 되고, 이는 데이트 성폭력을 당하거나 행 사할 가능성으로 연결되어진다고 하였다. Lee와 Lee(2005)는 이를 성역할 고정관념이 여성의 성적 자기주장성을 약화시켜서 피해를 유발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이런 선행 연구 결과들은 데이트폭력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들은 가정폭력의 경험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으며, 가정폭력은 성역할태도, 성적 자기결 정권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적인 방식으로도 데이트폭력에 영향

을 주고 있음을 보여준다.

Jung, Lim과 Lee(2011)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데이트폭력에 대한 편견이 데이트폭력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데이트폭력에 대한 편견이 높을수록 폭력에 대한 허 용적 태도를 지니며 이런 허용적 태도는 관계갈등을 증가시킴 으로써 궁극적으로 데이트 신체폭력과 성폭력 가해행동을 증가 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에서 이루어진 데이트 폭력에 대한 연구들을 개관한 Suh(2009)는 우리나라의 데이트 폭력 실태가 서양과 마찬가지 로 국민의 정신건강과 신체건강을 위협하는 심각한 수준이라고 보았다. 또한 우리나라의 연구들이 대부분 가정폭력의 경험이 나 폭력에 대한 태도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점에서 한계를 지적하고 한국문화에 맞는 데이트 폭력 중재나 예방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검증 연구가 시급하다고 제언하였다.

청소년의 데이트 폭력과 관련된 연구로는 남녀 고교생이 이 성교제 단계에서 경험하는 심리적, 성적 폭력의 내용을 연구한 Kim과 Kim(2001)의 연구, 고등학교 청소년의 데이트폭력 경험 과 데이트상황의 지각을 살펴본 Baek(2010)의 연구, 청소년 데 이트폭력에 영향을 주는 설명 요인을 분석한 Cho와 Lee(2013) 의 연구, 가정폭력과 사회적 지지가 청소년 데이트폭력에 미치 는 영향을 검증한 Lee와 Shin(2015)의 연구 등이 있었다. Kim 과 Kim(2001)은 우리나라 인문계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이성교 제에서의 심리적, 성적 폭력 정도를 확인하였는데 심리적 폭력 은 8명 가운데 1명꼴로, 성적 폭력은 3.5명 가운데 1명꼴로 가 해 또는 피해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러 선행연구들 과 마찬가지로 폭력의 대물림현상을 지지하는 결과를 보여주었 다. Beak(2010)은 인문계와 전문계 고등학생의 데이트 폭력 경 험 빈도와 이때의 영향, 갈등상황에서의 데이트관계 지각 등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인문계와 전문계 고등학생의 데이트 폭력 빈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정서적, 신체적, 성적 폭력 중 정서적 폭력을 가장 많이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데이 트폭력을 경험한 후 누구와 상의하느냐에 대한 질문에 대해서 는 1순위가 ‘동성친구’(43.1%), 2순위가 ‘아무에게도 말하지 않 는다’(32.8%)로 나타나, 청소년들은 데이트폭력에 노출되더라 도 전문가나 어른에게 도움을 요청하는 비율이 매우 낮은 것이 라는 사실을 추측할 수 있다.

Cho와 Lee(2013)는 청소년이 경험한 아동기 신체학대 경험

(5)

과 공격성이 청소년 데이트폭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준다고 밝 히고 청소년의 건전한 이성교제 프로그램 개발 및 체게적 성교 육이 필요하다고 강조하였다. Lee와 Shin(2015)의 연구에서도 청소년이 경험한 가정폭력은 데이트폭력에 대해 직접적인 영향 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들에 대한 정서적, 물질적, 정보적 지지 등, 사회적 지지는 데이트폭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는 않는다고 하였다. 하지만 가정폭력과 데이트폭력의 인 과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완충효과가 나타났기에 청소년들의 데이트폭력에 대한 예방적이고 치료적인 서비스들인 사랑, 이 해, 격려, 신뢰, 관심, 청취 등을 비롯한 사회적 지지망의 확대 등을 포함한 통합적인 형태가 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이상의 선행연구들은 데이트폭력 예방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언급하고 있었으나 우리나라에서 청소년을 위해 개발된 데이트 폭력 예방 프로그램은 아직 부족한 실정이었다 . Jung과 Min(2013) 은 중학생을 대상으로 합리적 정서・행동치료(Rational Emotive Behavior Therapy, REBT) 기법을 적용한 데이트폭력 예방 프 로그램을 개발한 바 있다. 이 프로그램은 자아 찾기, 성과 건강, 사춘기의 신체 심리 발달, 이성교제, 성역할 태도 및 양성평등, 성적 자기결정, 임신 피임 낙태, 성매매, 미혼모. 분노와 공격성, 분노와 공격성 다스리기, 폭력, 데이트 폭력이라는 총 13개의 주제로 구성되어 있으며 수업 결과 중학생의 데이트폭력 인식 도를 증가시키고 성역할 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며, 갈등

상황에서 분노와 공격성을 감소시키는 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선행 연구들을 살펴보았을 때,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 는 데이트폭력 예방 교육 내용을 개발하고 실행하는 것이 매우 시급하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청소년들에게 데이트폭력 예방 교육 경험을 제공하는 것은 이들에 대한 관심과 이해, 신 뢰 등의 사회적 지지를 보낸다는 측면에서도 긍정적 효과를 기 대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Ⅲ. 연구 절차

본 연구는 [Figure 1]과 같이 내용 분석 및 내용 요소 선정 단계, 교수・학습 자료 개발 단계, 파일럿 테스트 및 수정 단계의 3단계의 절차를 거쳤다.

1. 내용 분석 및 내용 요소 선정 단계

첫 번째 단계에서는 데이트폭력 예방 교수・학습 과정안의 차

Figure 1. Development process of dating violence prevention teaching-learning plan

(6)

시별 학습 목표와 학습 주제를 선정하기 위하여 2015 기술・가 정 교육과정과 교과서 내용 중 데이트폭력과 관련성이 있는 내 용은 무엇이며 이 내용은 교과서에서 어떤 방식으로 제시되어 있는지 분석하였다. 이 외에 데이트폭력 관련 선행연구 내용을 참고하여 청소년기 데이트폭력 예방 교육에 필요한 내용요소를 선정하였다.

2. 교수・학습 자료 개발 단계

두 번째 단계에서는 첫 번째 단계에서 선정된 내용 요소를 바 탕으로 데이트폭력 교수・학습 과정안에서 다루어야 할 핵심 주 제를 결정하고 주제별로 고등학교 1차시 수업에 적합하도록 학 습 목표를 설정하였다. 이에 따라 총 5차시의 교수・학습 과정안 및 수업 자료를 개발하고 2명의 가정교과 전문가(23년 경력의 가정과 수석 교사, 16년 경력의 가정과 박사학위 소지 교사)에 게 타당도와 추가 의견을 물어 수정 및 보완 작업을 거쳤다. 이 과정에서 5차시에 해당하는 수업 내용이 50분 안에 학습하기에 는 다소 많으며, 5차시 전체 수업에 대한 개별 실천 활동은 별 도의 차시로 다루는 것이 좋겠다는 전문가의 의견을 수용하여

5차시 수업을 5~6차시로 확장하였다. 이렇게 개발된 총 6차시 의 수업 자료는 각 차시별 교수・학습 과정안(6개, 총 6페이지) 과 학생 활동지(6개, 총 14페이지), 교사용 참고자료(6개, 17페 이지), 수업용 ppt 자료(6개, 총 121장)이다.

3. 파일럿 테스트 및 수정 단계

개발된 6차시의 교수・학습 과정안을 고등학교 2개 학급에서 실행한 후 수업 실행 교사와 수업에 대한 학생 의견 조사 결과 를 바탕으로 현장 적합성이 떨어지는 부분은 수정 보완하여 최 종적인 데이트폭력 예방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하였다.

수업은 2018년 10월 15일~11월 2일 사이에 강원도 소재 남 녀공학 인문계 고등학교 가정과학 수업 시간에 경력 4년의 가 정과 교사의 협조로 실행하였다. 수업 실행교사에게 전화통화 로 수업 흐름의 적절성, 동기 유발 자료의 효과성, 학생 활동지 내용의 적절성, 수업 내용의 난이도 적절성, 기타 의견의 다섯 가지 항목을 개방형 질문을 통해 파악하였다. 수업에 참여한 학 생들에게는 수업 전 수업 참여 및 설문 응답에 대한 동의와 협 조를 받았다. 차시별 수업 설문지의 내용은 다음 <Table 1>과

Contents

① ② ③ ④ ⑤

Strongly

disagree Disagree Neutral Agree Strongly agree

understanding lesson contents

1. I became more knowledgeable about sexual self-determination.

① ② ③ ④ ⑤

2. I became to know it necessary to distinguish sexual desires

from sexual behavior.

① ② ③ ④ ⑤

3 I became to know how to express it When I have to exercise

my sexual self-determination.

① ② ③ ④ ⑤

4. I became to think I must obtain consent first When I ask for

sexual behavior.

① ② ③ ④ ⑤

5. I've come to grasp the extent of my sexual self-determination.

① ② ③ ④ ⑤

6. I became to get to set my own rules for dating.

① ② ③ ④ ⑤

lesson satisfaction

7. What I learned today was interesting and intriguing.

① ② ③ ④ ⑤

8. What I learned today was not too difficult or too easy, but

appropriate.

① ② ③ ④ ⑤

9. I think what I learned today will help me in my life.

① ② ③ ④ ⑤

10 I think this class is suitable for high school students' prevention

of dating violence.

① ② ③ ④ ⑤

(open- ended questionnaire

11. What I liked about today's lesson 12. what I don’t liked about today’s lesson

Table 1. Example of questionnaire survey on the 1

st

lesson for students

(7)

같이 수업 내용 이해도(6문항), 수업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4 문항), 수업에서 좋았던 점과 아쉬웠던 점(주관식 각 1문항)의 12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수업 내용 이해도 문항은 각 차시 수업 내용을 토대로 구성하였기 때문에 각 차시별로 문항 내용이 다 르며, 수업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는 6차시 모두 동일한 내용 으로 구성하였다.

Ⅲ. 연구 결과

1. 내용 분석 및 내요 요소 선정 결과

1) 2015 개정 교육과정 및 교과서 내용 분석 결과

2015 개정 중학교 실과(기술・가정), 고등학교 기술・가정 및 가정과학에서 데이트폭력과 연관되는 ‘인간발달과 가족’영역의 핵심개념인 ‘관계’, 그리고 ‘가정생활과 안전’ 영역의 ‘안전’ 핵 심 개념을 중심으로 교육과정 내용 요소 및 교육과정 성취기준, 평가기준을 분석하였다. 본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에서는 데 이트폭력과 관련하여 어떠한 내용이 다루어지고 있는지 파악하 기 위해 중학교와 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외에 고등학교 가정과학 교과서도 출판하고 있는 C 출판사의 중학교 기술・가 정, 고등학교 기술・가정, 고등학교 가정과학 교과서 내용을 분 석하였다(<Table 2>). 이와 더불어 C 출판사를 제외한 중학교 11개 출판사의 교과서, 고등학교 11개 출판사의 교과서는 데이 트폭력의 내용을 다루고 있는지, 다루고 있다면 어떤 내용인지 그 유무를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중학교 기술・가정 교육과정에서는 청소년기의 발 달 특징, 청소년기 성과 친구 관계, 성폭력과 가정 폭력 예방의 내용요소가, 고등학교 기술・가정 교육과정에서는 사랑과 결혼, 가족의 생애주기별 안전의 내용요소가, 고등학교 가정과학 교 육과정에서는 개인 생애주기 및 가족생활주기에 따른 발달과업 의 내용요소가 가장 관련이 높다고 판단되었다. 특히 중학교 기 술・가정 교육과정에서는 데이트폭력이라는 단어의 언급은 없었 으나 청소년기의 성적 발달, 건강한 성 가치관, 분노 조절 장애

등 데이트폭력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는 내용을 다루도록 제시 되어 있었다. 이에 따른 C 출판사의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에서는 청소년기 성역할의 발달, 정서적 사회적 발달, 건강한 성 가치관 형성, 건강한 친구 관계의 형성, 성적 의사결정의 중 요성 및 성폭력의 예방과 대처 방법 등을 다루고 있었다. 그러 나 C 교과서를 포함한 총 12종의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모 두 데이트폭력이라는 용어가 제시된 경우는 없었다.

고등학교 기술・가정 교육과정에서는 사랑과 결혼, 가족의 생 애주기별 안전이라는 내용요소에서 사랑과 결혼의 의미, 성폭 력, 가정 폭력 등의 원인과 영향을 다루도록 하고 있었으나 중 학교 교육과정과 마찬가지로 직접적으로 친밀한 이성 관계 속 에서의 폭력에 대한 내용은 언급되지 않고 있었다. 총 12종의 교과서가 모두 ‘가족생애주기별 안전’ 내용요소에서 성폭력의 문제를 다루고 있었으나 데이트폭력을 다룬 교과서는 6종에 지 나지 않았다.

데이트폭력을 비교적 깊이 있게 다룬 교과서는 SY출판사의 교과서로, 데이트폭력의 정의와 원인에 대한 설명을 포함하여 데이트폭력이 정당화될 수 있는지에 대한 토의 과제와 데이트 폭력의 피해자나 가해자가 되지 않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 지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써보는 활동과제가 총 1페이지 분량 으로 제시되어 있었다. KH출판사는 가족 내 신변 안전사고의 종류로 아동학대, 노인 학대, 배우자 학대와 더불어 데이트폭력 을 제시하고 데이트폭력의 개념을 설명하였다. 가정 폭력 사례 와 함께 데이트 폭력 사례를 제시하여 이에 대한 대처방안을 모 둠별로 토의하고 발표해보는 활동 과제도 포함하고 있었다. B 출판사의 경우에는 본문에 신변 안전사고의 하나로 부부폭력, 노인학대, 아동학대와 함께 데이트폭력과 성폭력이 제시되어 있었다. SM출판사는 생애주기별 안전사고에서 ‘데이트성폭력’

을 제시하고 있었으나, ‘데이트폭력’을 성폭력에 한정하여 지칭 하고 있었으며 청소년기가 아닌 청·장년기에 발생하는 안전사 고로 제시하고 있었다. E출판사는 데이트폭력이라는 단어는 사 용하지 않았지만 ‘알고 지키는 나의 성’이라는 탐구 활동을 통 해 데이트 중인 남녀가 등장하는 드라마의 장면을 보고 ‘남자의 행동이 성폭력이라고 생각하는지, 그렇다면(혹은 그렇지 않다 면) 왜 그렇게 생각하는지’ 그 이유를 적어보도록 하고 있었다.

K출판사도 데이트폭력이라는 단어는 사용하지 않았지만 활동

과제로 ‘여성 폭력 금지 프로젝트’ 포스터를 제시하고 여성 폭

(8)

력을 멈추기 위한 포스터를 그려보는 활동을 제안하고 있었다.

D출판사의 경우 본문에서는 데이트폭력이 언급되지 않았지만 활동과제를 통해 청소년기에 일어날 수 있는 안전사고 사례로 데이트폭력의 예시를 제시하고 이에 대한 개인, 가족, 사회적 차원의 방안을 모둠별로 토의해보도록 하고 있었다. C출판사의

경우 데이트폭력이라는 단어가 언급되지 않았으며 그 내용 역 시 다루어지고 있지 않았다.

고등학교 가정과학 교육과정의 ‘인간발달과 가족’ 영역에서 는 개인생애주기 및 가족생활주기에 따른 발달과업으로 청소년 기에 건강한 성적 정체성을 확립하는 것을 다루도록 하고 있었 content

elements and learning elements in 2015 Home Economics curriculum

domain key

concept

middle school TechnologyHome Economics

high school TechnologyHome Economics

high school H.E Science

human development

and family

develop ment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adolescenc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adolescence, self-esteem, self-identity, adolescent peer culture, problems and solutions in friendship

[Love and marriage]

meaning of love and marriage

[Developmental task according to individual life cycle and family life cycle]

relations hip

[Adolescence and friendship]

healthy sex and friendship, adolescent sexual development, healthy gender values

[Marriage culture and happy marriage]

family life and safety safety

[Prevention of Sexual Violence and Domestic Violence]

various causes(stress, anger control disorder, depression, addiction, suicide) and preventive measures, sexual decision making, cause and effect of sexual violence, sexual violence prevention and countermeasures

[Safety by Family Life Cycle]

causes and effects of daily life safety and personal safety accidents (sexual violence, domestic violence, child abuse, elder abuse, etc.) by life cycle, preventing and coping with accidents at individual, family and social level

dating violence not mentioned not mentioned not mentioned

contents presented in the Home Economics

textbooks (C publisher)

domain key

concept

middle school textbook of TechnologyHome Economics

high school text book of TechnologyHome Economics

high school text book of Home

Economics Science

human development

and family

develop ment

growth spike, secondary growth, positive body image formation, development of gender roles, emotional development, social development, self-esteem, positive self-identity

meaning of love, meaning and value of marriage, stereotypes about choice of spouse, considerations when selecting a spouse, planned pregnancy

personal life cycle, adolescent development, pre-marital education program

relations hip

sexual development, fertilization and pregnancy, formation of healthy gender identity, formation of healthy friendships, importance of sexual decision making, causes and effects of sexual violence, prevention and coping with sexual violence, cause and effect of domestic violence, coping and supporting domestic violence

family life and safety safety

importance of sexual decision making, causes and effects of sexual violence, prevention and coping with sexual violence, cause and effect of domestic violence, coping and supporting domestic violence

personal safety accidents by life cycle, personal safety accident, prevention and coping sexual violence

dating violence not mentioned

not mentioned

not mentioned

Table 2. Analysis of elements related to dating violence in Home Economics curriculum and Home Economics textbooks

(9)

고, 결혼문화와 행복한 결혼생활, 부부간 원만한 갈등 해결 등 의 내용을 다루고 있었으나 데이트 폭력에 대한 직접적인 내용 은 없었다. 이에 따른 C 출판사의 고등학교 가정과학 교과서에 서는 청소년기 발달과업과 예비 부부 교육 프로그램의 내용을 다루고 있었다. 가정과학 교과는 기술・가정 과목군의 고등학교 진로 선택 과목으로 가정과 교육과 관련된 분야에 관심을 가지 고 있는 학생들이 가정학의 주요 영역으로 인간의 삶을 구성하 는 의생활, 식생활, 주생활, 소비생활, 아동 및 가정 생활에 대한 내용을 비교적 깊게 배울 수 있도록 하는 선택 과목이다. 그러 나 의외로 결혼 전에 반드시 거치게 되는 이성교제에 따른 실질 적인 문제점과 데이트폭력의 위험성이 전혀 다루어지지 않은 채 곧바로 예비 부부 교육 프로그램 내용만 다루고 있는 것은 교육과정 및 교과서 내용 구성의 한계점으로 파악된다.

이상의 교육과정과 교과서 분석 결과 중등학교 기술・가정 교 과에서는 데이트폭력 예방과 연관성이 높은 청소년기의 신체적 (성적) 발달, 건강한 성 가치관, 분노 조절 장애, 생애 주기별 신 변 안전사고, 성폭력 등의 내용을 다루고는 있지만 데이트폭력 문제를 별도의 내용요소로 깊이 있게 다루고 있지는 않은 것을 알 수 있었다.

2) 데이트폭력 관련 선행 연구 고찰 결과

선행 연구는 데이트폭력과 관련된 변인에 대한 연구와 데이 트폭력 예방 프로그램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데이트폭력과 관 련된 변인은 크게 성장과정에서의 가정폭력 경험 유무(Kim &

Om, 2010; Yoon, Yang & Park, 2012), 성 고정관념(Lee &

Lee, 2005; Kim & Om, 2010; Song, 2014), 스트레스 요인 (Ahn, 2006) 으로 좁힐 수 있었다.

Kim과 Kim(2001)은 학교와 가정에서 청소년의 건전한 이성 교제를 도와주고 교제 폭력을 방지하기 위해 폭력에 대한 민감 성을 제고하고 폭력에 대한 뚜렷한 의식과 태도의 정립, 남녀 간 의 성역할 이해, 효과적인 의사소통 기술, 자신에 대한 이해와 감정표현, 대인 간 갈등관리 기술 등의 내용이 포함되어야 한다 고 하였다. Suh(2009)는 데이트폭력 예방 프로그램의 주요 내용 으로 상대에게 공격적으로 행동하게 하는 성역할에 대한 고정관 념에 변화를 주고, 데이트폭력을 정당화하는 신념을 논박하며, 긍정적 관계를 맺는 사회성 기술을 습득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청소년을 대상으로 개발된 데이트폭력 예방 프로그램은 거의 없는 실정으로, Jung과 Min(2013)이 개발한 중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데이트폭력 예방 프로그램은 자아 찾기, 성과 건강, 사춘기 의 신체 심리 발달, 이성교제, 성역할 태도 및 양성평등, 성적 자 기결정, 임신 피임 낙태, 성매매, 미혼모, 분노와 공격성, 분노와 공격성 다스리기, 폭력, 데이트 폭력이라는 총 13개의 주제로 구 성되어 있었다. 프로그램의 구성 내용을 살펴본 결과 13개 주제 중에서 ‘데이트 폭력’을 제외한 나머지 주제들은 전통적으로 가 정과 교육과정에서 다루어온 내용과 공통된 내용이 많았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은 교과의 핵심 개념을 중심으로 학교급 별 연계성을 높이고 내용의 중복성을 낮춘 것이 특징이다. 한정 된 가정교과 수업 시수를 고려하여 본 교수・학습 과정안에서는 데이트폭력과 관련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중학교 교육과정의 내용요소인 ‘청소년기 발달의 특징’, ‘청소년기 성과 친구관계’

에서 다루어진 주제는 중복하여 다루지 않았다.

데이트폭력과 관련된 선행 연구들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성역할 고정관념 깨기’, ‘성적 자기결정권과 성적 동의’, ‘스트레스 및 분노조절 방법 습득’, ‘데이트폭력에 대한 인지 향상’, ‘데이트폭력 예방 및 대처방법 습득’, ‘데이트폭력 예방을 위한 사회적 참여’ 라는 여섯 가지 수업 주제를 도출하 였다. 교수・학습 과정안 구성에 있어서는 학생들이 흥미를 가지 고 수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현실성이 있는 다양한 사례를 중심 으로 내용을 조직하고 학생들이 주어진 자료나 사례를 분석하 여 문제를 인식하고 그 해결방안을 생각할 수 있도록 학생 활동 중심으로 구성하였다.

2. 교수・학습 자료 개발 결과

1) 차시별 주제와 수업 목표 설정에 따른 교수・학습 자료 개발

본 교수・학습 과정안은 이전 단계에서 나온 내용 요소들을

크게 두 가지로 부분으로 조직하였다. 첫 번째 부분인 1~3차시

는 데이트폭력 행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성역할 고정관념과 성

적 자기 결정권을 이해하고 분노상황을 객관적으로 바라봄으로

써 분노 표현을 줄이고 비폭력적 대화 방법을 익히도록 구성하

(10)

였다. 두 번째 부분인 4~6차시는 직접적으로 데이트폭력을 다 루는 부분으로, 데이트폭력에 대한 민감성을 키우고 데이트폭 력 상황에서의 대처법을 익히며 마지막 차시에서는 데이트폭력 을 없앨 수 있는 사회적 실천 방안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알리 는 실천 활동을 해보도록 구성하였다. 최종 개발된 총 6차시의 수업 자료는 각 차시별 교수・학습 과정안(6개, 총 6페이지)과 학생 활동지(6개, 총 14페이지), 교사용 참고자료(6개, 17페이 지), 수업용 ppt 자료(6개, 총 121장) 이다.

2) 전문가 타당도 검증

총 5차시의 교수・학습 과정안 및 수업 자료를 개발하고 이를 가정교과 전문가 A 교사(23년 경력의 가정과 수석 교사)와 B 교사(16년 경력의 가정과 박사학위 소지 교사)에게 e-mail로 발 송하여 검토를 부탁한 후에, 연구자와 두 전문가가 직접 만나 의견을 주고 받았다.

구체적인 타당도 검증 내용은 다음과 같다. 1차시 수업은 자 신이 가진 성역할 고정관념과 성차별적 행동을 인식하고 성 평 등한 생활 태도를 실천하도록 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도입부분에서 성역할 고정관념이라는 개념에 대한 설명으로 시 작하기보다는 우리 주변에서 ‘남자라면, 여자라면 이래야 한다.’

라는 표현들을 최대한 다양하게 떠올려 보고 이런 표현들이 갖 는 문제점이 무엇인지를 생각해봄으로써 성역할 고정관념이라 는 개념을 배우도록 하는 것이 좋겠다는 의견이 있었다. 따라서

활동지 내용의 순서를 교체하고 생각열기 내용을 수정하였다.

성적 자기결정권과 성적 동의를 이해하고, 건강한 이성교제의 원칙을 세워 실천하도록 하는 2차시 수업에 대해서는 두 전문 가 모두 특별한 수정 제안의견이 없었다. 3차시는 분노 감정의 원인을 파악하고 데이트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스트레스나 분노 상황을 비폭력 대화를 통해 적절히 해결하도록 하는 것이 다. 자신이 분노를 느낀 이유를 찾아 객관화하는 활동에 대해서 막연하게 ‘분노를 느낀 상황의 원인이 무엇인지 생각해보자’ 라 는 활동보다는 5Why 방법을 활용하여 학생들이 분노를 느낀 근본적인 원인을 몇 차례에 걸쳐 깊이 생각할 수 있지 않겠냐는 의견이 있었다. 연구자 역시 동의하는 내용이었기에 3차시 수업 활동에 5Why 방법을 적용하였다. 데이트폭력의 종류와 심각성 을 알고, 데이트폭력 인식의 민감성을 키우도록 하는 4차시 수 업에 대해서도 두 전문가 모두 특별한 수정 제안의견이 없었다.

5차시 수업은 데이트폭력 상황에서의 대처 행동을 알고, 데이트 폭력 없는 올바른 이성교제에 대한 원칙을 세워 데이트폭력 예 방을 위한 방안을 제안해 보는 것이었다. 5차시에 대해서는 두 전문가 모두 50분 안에 학습하기에는 수업 내용이 많으며, 데이 트폭력 예방을 위한 방안을 제안해 보는 활동은 실천적인 영역 이므로 별도의 차시로 다루는 것이 좋겠다는 의견을 주었다. 연 구자는 이 의견을 수용하여 5차시 수업을 5~6차시로 확장하여 6차시를 청소년 데이트폭력 예방 및 보호를 위한 사회적 제도 나 방안을 제안하는 실천 활동으로 구성하였다.

전문가 타당도를 거친 각 차시별 주제와 수업 목표는 <Table 3>

[subject] & lesson objectives

1st [Not being maleness and feminacy, but being myself.]

Students can recognize my gender stereotypes and gender discriminative behaviors and practice gender equality.

2nd [We are dating. Isn’t he/she want some sexual behavior?]

Students can understand sexual self-determination and sexual consent, and establish and practice healthy dating principles.

3rd

[Calming down anger inside me with NVC]

Students can analyze the situation in which they felt anger objectively and can settle down any stressful situation that may happen while dating properly through nonviolent communication.

4th [I don’t hit the girl(boy), but it's dating violence, too?]

Students can understand the type and severity of date violence and develop sensitivity to dating violence.

5th

[Dating through which both can grow & breaking up based on consideration]

Students are aware of how to cope with the situations of dating violence and can lay down rules about desirable relationship with no dating violence.

6th [For the world with no dating violence]

Students can suggest social systems or measures to prevent adolescents’ dating violence and protect them.

Table 3. subject and lesson objectives (after experts validity evaluation)

(11)

과 같다.

1차시는 ‘남자답게, 여자답게가 아니라 나답게’ 라는 주제로 성역할 고정관념을 인식하도록 하고, 2차시는 ‘서로 좋아하는데 상대방도 이정도는 원하지 않을까요?’ 라는 주제로 성적 자기결 정권을 이해하도록 하였으며 3차시는 ‘내안의 헐크 잠재우기- 비폭력 대화 사용하기’라는 주제로 스트레스 상황에서 비폭력 대화를 사용하는 방법을 익히도록 하였다. 4차시는 ‘때리지 않 았는데 이것도 데이트 폭력이라구요?’라는 주제로 데이트 폭력 을 정확히 인지할 수 있도록 하고, 5차시는 ‘서로를 성장시키는 만남, 배려가 있는 헤어짐’ 이라는 주제로 데이트폭력 상황에서 의 대처방법을 배우도록 하며 6차시는 ‘데이트폭력 없는 세상 을 위해’라는 주제로 청소년 데이트 폭력 예방 및 보호를 위한 사회적 제도나 방안을 제안하는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3. 파일럿 테스트 결과 및 최종 수정된 교수・학습 과정안

1) 파일럿 테스트 결과

파일럿 테스트를 위해, 개발된 6차시의 교수・학습 과정안을 고등학교 가정과학 수업 시간에 2개 학급을 대상으로 각각 1차 시씩 실행하고 수업 실행 교사와 수업에 대한 학생 의견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현장 적합성이 떨어지는 부분은 수정 보완하 여 최종적인 데이트폭력 예방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하였다.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에게는 1~6차시까지 차시별로 수업 내용 이해도(6문항), 수업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4문항), 이 수업에 서 좋았던 점(도움받은 점)과 별로였던 점(아쉬웠던 점)에 대한 개방형 질문 2문항을 묻는 총 6차례의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업 실행교사에게 전화통화로 수업 흐름의 적절성, 동기 유발 자료 의 효과성, 학생 활동지의 적절성, 학생 수준 적합성, 기타 의견 의 다섯 가지 항목을 개방형 질문을 통해 파악하였다. 이 결과 를 토대로 학생들이 어렵다고 응답한 활동은 학습자의 수준에 맞는 좀 더 쉬운 학습 자료로 대체하였고, 학습자 수준에 맞지 않는 사진 자료는 그 수준을 조절하였다. 또한 50분 수업에 비 해 그 분량이 많았던 차시들에 대해서는 개별학습지의 유사한 내용을 통합하고, 시간이 많이 걸리는 학생활동을 통합하거나 축소하는 방향으로 수정하였다. 그리고 수업 목표와 상관없이 단순한 흥미 위주의 동기 유발 전략으로 판단된 내용들은 삭제 하였다.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차시별 수업 설문은 5점 리커트 척도이며 수업 내용 이해도(6문항), 수업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 도(4문항)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수업에서 좋았던 점과 아쉬웠 던 점을 각각 개방형 질문으로 1문항씩 알아보았다. 수업에 참 여한 학생들의 설문 응답 결과는 <Table 4>와 같다.

Questionnaire understanding lesson contents Mean (SD)

Total Mean (SD)

lesson satisfaction Mean (SD)

Total Mean

No. 1 2 3 4 5 6 7 8 9 10 (SD)

lesson

1st 4.31 (0.87)

4.22 (0.87)

4.37 (0.70)

4.24 (0.72)

4.33 (0.68)

4.52 (0.86)

4.33 (0.78)

4.24 (0.76)

4.11 (0.69)

4.41 (0.60)

4.33 (0.86)

4.35 (0.77)

4.30 (0.73)

4.25 (0.76) 2nd 4.37

(0.85) 4.24 (0.68)

4.17 (0.67)

4.28 (0.72)

4.48 (0.65)

4.34 (0.77)

4.31 (0.72)

4.24 (0.70)

4.24 (0.68)

4.13 (0.78)

4.27 (0.81)

4.22 (0.74) 3rd 3.88

(0.81) 3.86 (0.80)

3.89 (0.68)

4.02 (0.77)

4.11 (0.81)

3.87 (0.89)

3.93 (0.79)

4.08 (0.71)

4.19 (0.80)

4.20 (0.74)

3.88 (0.75)

4.09 (0.75) 4th 4.41

(0.84) 4.45 (0.82)

4.27 (0.72)

4.33 (0.68)

4.12 (0.74)

4.26 (0.72)

4.30 (0.75)

4.17 (0.72)

4.24 (0.68)

4.35 (0.79)

4.38 (0.76)

4.28 (0.73) 5th 4.25

(0.85) 4.34 (0.86)

4.35 (0.77)

4.38 (0.68)

4.37 (0.69)

4.24 (0.85)

4.32 (0.78)

4.20 (0.71)

4.35 (0.86)

4.19 (0.80)

4.31 (0.89)

4.26 (0.82) 6th 4.24

(0.68) 4.37 (0.86)

4.19 (0.76)

4.22 (0.73)

4.21 (0.81)

4.30 (0.69)

4.25 (0.75

4.35 (0.84)

4.37 (0.86)

4.24 (0.68)

4.43 (0.90)

4.34 (0.82)

Total 4.20

(0.73) 4.30 (0.74)

4.24 (0.78)

4.27 (0.82)

4.25 (0.77)

Table 4. Students survey response results for each lesson(N=53)

(12)

각 차시별 수업 내용 이해도를 알아본 문항(1~6번)의 차시 별 응답 평균은 1차시 4.33점, 2차시 4.31점, 3차시 3.93점, 4차 시 4.30점, 5차시 4.32점, 6차시 4.25점으로 학생들은 전반적으 로 수업에서 다룬 내용을 잘 이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비폭력 대화를 통한 분노의 조절을 다루고 있는 3차시 수업에 대한 내용 이해도는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었다. 비폭력 대화(NVC)를 처음 접한 학생들의 경우 이 기법을 익히는 데 보 다 충분한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학생 활동지에 비폭력 대화 기법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핵심적이고 간략한 안 내자료와 비폭력 대화 사례를 추가하였다. 수업에 대한 전반적 인 만족도를 알아본 문항(7~10번)에서는 수업의 흥미도 4.20, 내용의 난이도 4.30, 생활에 도움이 되리라 기대하는 정도 4.24, 이 수업이 고등학생 대상 데이트폭력 예방 수업으로서 적절한 정도 4.27 에서 모두 4점 이상으로 응답하여 본 수업 내용에 대 해 대체로 높게 만족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외에 주관식 응답으로는 데이트폭력이 심각성을 알게 되 었다(32건), 일상적으로 하는 말속에 성차별적 표현이 많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26건), 흥미로운 동영을 봐서 좋았다(21건), 성적 자기결정권이 무엇인지 알게 되었다(15건), 나는 앞으로 의식적으로 노력해서 혐오 발언을 하지 않을 것이다(11건), 이 수업을 다른 학생들도 받았으면 좋겠다(6건) 등의 긍정적인 반 응이 주를 이루고 있었으며, 부족하거나 아쉬웠던 점에 대해서 는 동영상이 더 많았으면 좋겠다(3건), 수업 내용이 많다(2건) 등의 소수 의견이 있었다. 주관식 응답을 통해서도 수업 내용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가 높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파일럿 테스

트 결과를 반영한 교수・학습 과정안의 구체적인 수정 사항은

<Table 5>와 같다.

1차시에서는 여성혐오(misogyny)라는 단어 역시 성 차별적 인 내용이라는 남학생들의 의견에 따라 이를 ‘성차별적 행동’이 라는 용어로 바꾸었고 3차시에서는 비폭력 대화(NVC)를 구체 적으로 연습해 볼 수 있는 활동 과제를 추가하였다. 4차시와 5 차시에서는 수업 구성 순서와 동영상 자료, 학생들이 어렵게 느 끼는 문구 등을 교체하였으며 2차시와 6차시는 수정의견이 없 었으므로 수정하지 않았다.

2) 최종 수정된 교수・학습 과정안

파일럿 테스트 결과를 반영한 최종 교수・학습 과정안은 다음

<Table 6>과 같다.

1차시의 수업 목표는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성역할 고정관념 과 성차별적 행동을 인식하고 성평등한 생활 태도를 실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우선, ‘남자라면, 여자라면 이러이러 해야 한다.’ 와 같이 우리 사회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표현들을 최 대한 다양하게 떠올려 보고 이런 표현들이 갖는 문제점이 무엇 인지를 생각해봄으로써 성역할 고정관념이라는 개념을 익힌다.

성차별적 내용을 다룬 드라마 1편과, 남성다움에 대한 신화를 비 판하는 온라인상의 동영상 1편을 통해 성역할 고정관념이 강할 경우 남성과 여성에게 어떤 제약과 억압을 가져올지 모둠활동을 통해 정리한다. 이후 우리가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말 속에 내포 된 성별 혐오 발언과 성역할 고정관념을 찾아본 후, 자신이 가지

lesson modified contents of teaching-learning plan

1 - Replacing the word “Misogyny” with a “gender discriminative behavior”

- Adding related videos that can be referenced to the group activities that record the ripple effects of gender stereotypes 2 - Nothing modified

3 - Adding an activity task to practice a non-violent conversation (NVC) in detail before a role play

4

- The description of the type of dating violence moves from the development to the introduction.

- Replacing a somewhat provocative video with an appropriate video - Adding two core sentences to the o.x quiz in the last stage

- Complementing a phrase amendment that is difficult for students to understand 5 - Changing the order of group activities

- Adding a method of coping with personal sexual damage 6 - Nothing modified

Table 5. Modified contents of teaching-learning plan

(13)

[subject] & class objectives   main contents

1st

[Not being maleness and feminacy, but being myself.]

Students can recognize my gender stereotypes and gender discriminative behaviors and practice gender equality.

Learning the meaning of the terms for gender roles

Checking my gender role attitude

Finding the gender discrimination in the scene of the TV drama.

Watching the video about "MAN BOX"

Writing down how strong gender stereotypes affect men and women(through branch mapping)

Writing down the gender role stereotypes that exist in our society

Making action plans that will change my gender discrimination into gender equality thoughts and behaviors.

2nd

[We are dating. Isn’t he/she want some sexual behavior?]

Students can understand sexual self-determination and sexual consent, and establish and practice healthy dating principles.

Describing the characteristics of my partner and the kind of love I think in mind map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sexual self-determination and learn about my sexual self-determination.

Trying to role-play specific words and behaviors in order to exercise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by watching videos

Watching the video on sexual consent and share your thoughts with your partner if you have sexual needs.

Watching the video on sexual consent and writing down the reason why you must ask the other person for consent

Describing your own principles of sexual self-determination in writing or drawing

3rd

[Calming down anger inside me with NVC]

Students can analyze the situation in which they felt anger objectively and can settle down any stressful situation that may happen while dating properly through nonviolent communication.

Checking my skills for anger control

Listening to what the teacher says and recognizing the cause of anger may differ by how I analyze the situation

Recalling the situation that aroused anger and then figuring out the ultimate cause that made me angry with the 5-why method

Understanding the situation that made me angry objectively

Coming up with ideas about how to cope with situations arousing anger after watching the video

Learning the method of Nonviolent Communication

Playing a role-playing game applying nonviolent communication to dating situations

4th

[I don’t hit the girl(boy), but it's dating violence, too?]

Students can understand the type and severity of date violence and develop sensitivity to dating violence.

Recognition of the type and scope of violence, such as verbal, emotional, physical, and cyber(digital) violence

Find dating violence from News and drama

Discover the media's problems and prejudices behind date violence

Consider why dating violence is not recognized as violence

Understand what ‘Gaslighting’ is and write down words and actions to deal with it.

develop sensitivity to dating violence through O and X quiz on awareness of dating violence.

5th

[Dating through which both can grow

& breaking up based on consideration]

Students are aware of how to cope with the situations of dating violence and can lay down rules about desirable relationship with no dating violence.

Watching the video about the aspects of how dating violence takes place, drawing a mind map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a person whom you must not go out with, and checking with your pair if there is anything in common

Reading the causes of dating violence and then having a group discussion and writing down what victims must do immediately

Watching the video about the damage of revenge porno to learn how to cope with it

Learning how to handle the situation in which you are exposed to dating violence

Formulating roles about relationship to prevent dating violence

6th

[For the world with no dating violence]

Students can suggest social systems or measures to prevent adolescents’

dating violence and protect them.

Introducing policies related to dating violence in Britain, the United States and Germany.

Having a pyramid discussion about social systems or measures needed to prevent adolescents’ dating violence and protect them

Organizing your final opinion with 200 words or so, writing comments on related articles or SNSs, and then sharing the results

Making a poster to enhance the level of sensitivity about dating violence and then putting it up in school

Table 6. The main contents of the developed teaching-learning plan

(14)

고 있었던 성차별적 말과 행동을 성 평등한 것으로 바꿔보고 이 를 위한 실천 계획을 세우고 실천해보도록 구성하였다.

2차시는 청소년들이 올바른 성적 자기 결정권을 행사하는 것 이 중요하다는 점을 인식하고 성적 자기결정권과 성적 동의에 바탕을 두고 자신의 성적 행동에 대한 원칙을 세워 실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먼저 자신이 원하는 데이트 상 대의 특성과 내가 기대하는 연애의 구체적인 모습을 마인드 맵 이나 그림으로 표현해 봄으로써 나의 욕구를 파악하도록 한다.

성적 자기결정권과 성적 동의의 개념을 이해하여 성적 자기 결 정권을 행사한다는 것은 자신의 성적 행동에 대한 책임까지도 포함한다는 점을 인식하도록 한다. 데이트 상황에 대한 예시를 보고 자신의 성적 자기 결정권을 온전히 행사할 수 있는 말과 행동을 역할극으로 연습해 보고 나의 성적 자기 결정권의 원칙 을 글이나 그림으로 표현해서 자신의 입장을 정리해보도록 구 성하였다.

3차시의 수업 목표는 자신의 분노의 원인을 파악하고 데이트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스트레스 상황을 비폭력 대화를 통해 적절히 해결하는 능력을 키우는 것이다. 먼저 자신의 분노 조절 능력을 체크해보고 화가 나는 상황에 대해서 분노 감정이 일어 나는 원인을 5why 방법을 통해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도록 한다. 분노 조절에 관련된 EBS 동영상(4분)을 보고, 이와 관련 하여 마셜 로젠버그 박사가 고안한 ‘비폭력 대화’의 네 단계를 데이트 과정에서의 갈등 상황에 적용시키는 대화를 연습해보도 록 구성하였다.

4차시의 목표는 데이트폭력의 종류와 심각성을 알고, 데이트 폭력 인식의 민감성을 키우도록 하는 것이다. 데이트폭력이 무 엇인지 그 개념과 범위를 알아보고 드라마에서 나타난 데이트 폭력을 찾아봄으로써 우리 주변의 미디어에서 미화되고 있는 데이트폭력의 문제와 편견을 찾아본다. 이성교제 중에 일어나 는 다툼 중에 언성을 높이면서 싸우거나, 상대방의 인격을 비하 하는 일, 상대방의 자존감을 깎기 위해서 상대방을 교묘하게 조 정하는 일 등도 모두 데이트폭력이라는 점을 학생들이 민감하 게 인지하고 이에 대응할 수 있는 말과 행동을 연습해본다. 폭 력이라는 것의 성격상 자주 노출될수록 그 민감도가 떨어지고 데이트폭력 경험이 이후에 가정폭력 경험으로 넘어가는 비율이 상당히 높다는 점을 보았을 때, 데이트폭력을 포함한 모든 종류 의 폭력에는 “무관용의 원칙”을 적용해야 한다는 점을 안내한

다. 마지막으로 온라인 퀴즈 프로그램(클래스 카드)을 통해 데 이트폭력에 대한 지식을 확인하고 자신의 데이트폭력 허용도를 체크리스트로 점검해 보도록 구성하였다.

5차시의 목표는 데이트폭력 상황에서의 대처 행동을 알고, 데 이트폭력 없는 올바른 이성교제에 대한 원칙을 세워보는 것이 다. 데이트폭력의 징후에 대한 동영상을 보고 이성교제 상대로 만나서는 안 될 사람의 특성을 찾아보고 데이트폭력 피해 사례 를 읽고 피해자가 당장 취해야 할 행동을 모둠별로 토의해서 적 어본다. 개인 간 성적 영상물 피해에 대한 동영상을 보고 이에 대한 대처 방법을 알아보고 데이트폭력에 노출되었을 때 취해 야 할 행동을 배운다. 마지막으로 데이트폭력을 예방하기 위한 이성교제 원칙을 세워보도록 한다.

6차시는 마지막 차시로, 미국, 영국, 독일 등 다른 나라의 데 이트폭력 예방을 위한 사회적 정책을 알아본 후 1~5차시에서 배운 내용을 바탕으로 청소년 데이트폭력 예방 및 보호를 위한 사회적 제도나 방안을 제안하기 위한 피라미드 토의를 진행한 다. 최종 의견에 대해 200자 내외로 정리하여 관련 기사나 SNS 에 댓글을 달거나 포스터, 인포그래픽 등 데이트폭력에 대한 인 식을 개선할 수 있는 자료를 제작해서 교내에 게시해보도록 하 였다.

3) 교수・학습 과정안 및 학생 활동지 예시

최종 개발된 교수・학습 과정안의 예시는 <Table 7>과 같다.

<Figure 3>은 이에따른 학생 학습 활동지 및 교사용 참고자료 의 예시본을 제시한 것이며, <Figure 4>는 수업에서 사용된 프 레젠테이션 자료(ppt)의 예시본이다.

Ⅳ. 요약 및 제언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된 청소년

데이트폭력을 예방할 수 있도록 고등학교 가정과 교과 수업에

서 활용할 수 있는 데이트폭력 예방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

하는 데 있다.

수치

Figure  1.  Development  process  of  dating  violence  prevention  teaching-learning  plan
Table  1.  Example  of  questionnaire  survey  on  the  1 st   lesson  for  students
Table  2.  Analysis  of  elements  related  to  dating  violence  in  Home  Economics  curriculum  and  Home  Economics  textbooks
Table  3.  subject  and  lesson  objectives  (after  experts  validity  evaluation)
+6

참조

관련 문서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investigate the background of revision, educational objectives, organization, contents of the high school earth science curriculum

proficiency level, they enjoyed English flipped learning. Based on the study findings teaching implications in order to improve English flipped instruction for middle

Second, in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difference in the cognition, preference and demand for the clothing chapter of the Middle School’s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Finally, on how to improve English education for special classes in high schools, it was found that communication-oriented teaching methods and direct

As a result, this study suggests some desirable teaching methods to gain knowledge of traditional Korean music in a familiar way, as well as a simple and effective teach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Korean EFL middle school students and teachers' perceptions about learning and teaching English punctuation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iddle school students' motivation, self-confidence and attitude toward English learning in a team-teaching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process and the features of corporate e-Learning as a form of informal learning. For this purpose, the concept o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