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저작자표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저작자표시"

Copied!
75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Legal Code)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비영리.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2)

2012년 2월

교육학석사(무용교육)학위논문

우리춤체조가 초등학생의 한국무용 인식변화에

미치는 영향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무용교육전공

신 유 리

(3)

우리춤체조가 초등학생의 한국무용 인식변화에 미치는

영향

Change of Elementary Students in their Awareness of Korean Dance through Korean

Dance-oriented Gymnastics

2012년 02월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무용교육전공

신 유 리

(4)

우리춤체조가 초등학생의 한국무용 인식변화에 미치는

영향

指導敎授

김 미 숙

이 論文을 敎育學碩士(舞踊敎育)學位 請求論文으로 提出함

2011년 11월

朝鮮大學校 敎育大學院

舞踊敎育專攻

(5)

申庾理의 敎育學 碩士學位 論文을 認准함

審査委員長 朝鮮大學校 敎授 박준희 인 審査委員 朝鮮大學校 敎授 김미숙 인 審査委員 朝鮮大學校 敎授 임지형 인

2011년 12월

朝鮮大學校 敎育大學院

(6)

목 차

ABSTRACT

Ⅰ. 서 론 ···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2. 연구의 제한점 ··· 4

3. 연구의 가설 ··· 4

Ⅱ. 이론적 배경 ··· 5

1. 우리춤체조 ··· 5

1) 우리춤체조의 개념 ··· 5

2) 우리춤체조의 특성 ··· 6

3) 우리춤체조의 교육적 가치 ··· 7

2. 한국무용 ··· 8

1) 한국무용의 개념 ··· 8

2) 한국무용의 특성 ··· 8

3) 한국무용의 교육적 가치 ··· 10

(7)

Ⅲ. 연구의 방법 및 절차 ··· 11

1. 연구대상 ··· 11

2. 조사도구 ··· 11

3. 자료처리방법 ··· 12

Ⅳ. 연구 결과 ··· 13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사항 ··· 13

2. 한국무용에 대한 초등학생의 인지도 ··· 14

3. 한국무용에 대한 초등학생의 기대도 ··· 22

4. 한국무용에 대한 초등학생의 관심 및 참여도

··· 26

Ⅴ. 결론 및 제언 ··· 31

1. 결론 ··· 31

2. 제언 ··· 33

참고문헌 ··· 34

부록 ··· 36

(8)

표 목 차

<표-1> 응답자의 일반적 사항 ··· 13

<표-2> 시기에 따른 한국무용에 대해 들어본 경험차 이 ··· 14

<표-3> 시기에 따른 한국무용을 매체로 통해 본 경 험 차이 ··· 15

<표-4> 시기에 따른 한국무용을 직접 본 경험 차이 ··· 16

<표-5> 시기에 따른 한국무용 공연에 대한 소감 차 이 ··· 17

<표-6> 시기에 따른 한국무용에 대해 (실기, 이론) 교육받은 적 차이 ··· 18

<표-7> 시기에 따른 교육받은 곳 차이 ··· 19

<표-8> 시기에 따른 한국무용을 접한 적이 있다 면 접하게 된 계기 차이 ··· 20

<표-9> 시기에 따른 한국무용이라는 용어와 함께 가장 먼저 머릿속에 떠오르는 단어 차이···

··· 21

<표-10> 시기에 따른 한국무용 공연에서 가장 중요

한 가치 차이 ··· 22

(9)

<표-11> 시기에 따른 한국무용을 일반 대중들에게

널리 알리는 데에 중요한 요소 차이 ··· 23

<표-12> 시기에 따른 한국무용이 앞으로 대중적으로 확산될 것이라 전망 차이 ··· 24

<표-13> 시기에 따른 한국무용에 대한 관심 차이 ··· ··· 26

<표-14> 시기에 따른 우리춤체조를 접하고 난 후 한 국무용에 대한 관심 차이 ··· 27

<표-15> 시기에 따른 한국무용 공연의 관람기회가 생긴다면 차이 ··· 28

<표-16> 시기에 따른 한국무용을 배울 기회가 생긴 다면 차이 ··· 29

<표-17> 시기에 따른 주변 사람들에게 한국무용을 권유 차이 ··· 30

<표-18> 발 기본자세 ··· 37

<표-19> 팔 기본자세 ··· 37

<표-20> 발 기본동작 : 보통걷기 ··· 38

<표-21> 발 기본동작 : 머물러걷기 ··· 39

<표-22> 발 기본동작 : 곱디딤걷기 ··· 39

<표-23> 발 기본동작 : 앞찍음걷기 ··· 40

<표-24> 발 기본동작 : 한 발 들기 ···

(10)

<표-25> 발 기본동작 : 좌우머물기 ··· 41

<표-26> 발 기본동작 : 건드렁걷기 ··· 41

<표-27> 팔 기본동작 : 허리감기 사위 ··· 42

<표-28> 팔 기본동작 : 니은 사위 ··· 42

<표-29> 팔 기본동작 : 디귿 사위 ··· 43

<표-30> 팔 기본동작 : 리을 사위 ··· 43

<표-31> 팔 기본동작 : 휘영청 사위 ··· 44

<표-32> 팔 기본동작 : 여밈 사위 ··· 44

<표-33> 팔 기본동작 : 나들이 사위 ··· 45

<표-34> 팔 기본동작 : 물결 사위 ··· 45

<표-35> 팔 기본동작 : 학 사위 ··· 46

<표-36> 팔 기본동작 : 손뼉 사위 ··· 46

<표-37> 팔 기본동작 : 올림 사위 ··· 47

(11)

ABSTRACT

Changes of Elementary Students in their Awareness of Korean Dance through Korean

Dance-oriented Gymnastics

Shin Yoo-ri Advisor : Prof. Mi-sook Kim

Major in Dance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hosun University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Korean dance-oriented gymnastics on elementary students’

awareness of Korean Dance. It focused on expl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the Korean dance-oriented gymnastics and how they think about Korean Dance. For this purpose,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71 students from 3rd, 4th, 5th, and 6th grade at an elementary school in Yeosu City. A learning plan for each activity were made by restructuring the Korean dance-oriented gymnastics learning program according to the teaching plan by session in the curriculum and this Korean dance-oriented gymnastics learning plan was applied to the students. The pretest was performed when students had never learn the Korean dance-oriented gymnastics and after the experiment, the posttest was performed.

According to the test, it showed the awareness of Korean Dance had increased but the Korean dance-oriented gymnastics was still a bit challenging for the elementary students. Therefore, we need the various

(12)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경제가 발전하고 교육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예술에 대한 대중의 인식 이 매우 높아지고 있으며 예술이 대중에게 미치는 효과는 이미 여러 문 헌을 통해 증명이 되었다. 또한 과학과 의료기술의 발달로 인간의 수명 이 늘어남과 동시에 현대인이 짊어져야 할 신체적, 정신적 빈곤은 증가 하는 추세다.

예술은 자기표현을 통해 만족감과 쾌감을 느낄 수 있게 해 주고 질병 예방 및 건강증진에도 큰 도움을 주어 삶을 더욱 윤택하게 하는데 기여 한다.

그러나 무용은 타 예술분야에 비해 대중의 이해도가 낮고 전문화 되었 다는 인식이 강하다. 예술로서의 무용의 존재와 가치를 이론적으로는 인정하나 실제적인 관련은 없다고 생각하여 일반인들은 무용에 쉽게 접 근하기 어려워하거나 편견을 갖는다. 무용의 발전과 성장에 비해 대중 화와 활성화를 위한 노력이 부족했기에 이러한 결과가 나온 것이다. 무 용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대중이 무용을 쉽게 접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 공해야 하고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동기부여를 해야 한다.

지금까지 무용예술의 대중화를 위해 선행연구 되었던 사례를 살펴보면

‘무용에 대한 인식도 실태 연구 (조수정, 1993)’, ‘고등학교 학생들의 무용에 대한 관심도 및 이미지에 관한 연구 (조영둘, 1994)’, ‘무용교육 경험이 무용의 인식도에 미치는 효과 (안지영, 2000)’, ‘탈춤수업이 여 중생의 한국무용 인식에 미치는 영향 (박선옥, 2003)’, ‘교양무용수업 경험이 무용의 인식도에 미치는 영향 (유지영, 2006)’, ‘대학 교양무용 경험 전후에 따른 무용 인식도 (한선숙, 2004)’, ‘통합적인 교양생활무 용 수강이 무용인식도와 여가활동에 미치는 영향 (홍미성, 2006)’ 등이

(13)

칠 뿐 아니라 일반 대중들이 긍정적 인식과 함께 적극적인 참여의사를 보이고 있음을 증명하고 있다.(신홍주,2004).

그러므로 기존의 순수예술 뿐 아니라 각종 생활무용은 많은 성인들에 게 다가감으로써 대중화된 여가프로그램으로 활용되어지고 있다. 하지 만 한국무용은 많은 문화센터 및 종목의 기능교육에 일변을 그대로 답 습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강선미, 2005).1)

이에 서울대 의학연구원 체력과학 노화연구소에서 1999년도에 ‘우리 춤체조’를 개발하여 전통 춤사위를 대중적인 생활무용의 일환으로 자리 잡도록 노력하고 있다. 춤체조의 개발에만 머무르지 않고 대중에게도 소개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지도자를 육성하고, 지도자 과정을 수료 한 사람들을 중심으로 자원봉사자를 구성하여 여러 곳에 방문해 춤체조 를 소개하고 시범을 통하여 전파하고 봉사하고 있다.

반면, 성장기 아동들을 위한 춤체조는 아직 개발이 되어있지 않다. 물 론 특기·적성 교육활동이나 방과 후 교육활동 등에 무용이 포함되어 있 기는 하지만 한국무용의 활성화에 영향을 미칠 정도는 아니다. 성장기 아동에게 무용교육은 신체적, 정서적인 발육을 도모할 뿐만 아니라 예 술적 소질도 계발하면서 창의적이고 지적인 발달을 가져오게 한다. 그 와 더불어 기본적인 움직임 능력의 향상과 다른 사람에 대한 배려와 사 회성을 길러주며 표현력과 정서적 생활의 기틀을 마련해준다. 그리하여 최근에는 ‘무용을 위한 교육이 아닌 무용을 통한 교육’이라 하여 전문 무용인 양성 뿐 아니라 인격 형성에 목적을 두고 교육적 대응을 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동을 위한 한국무용의 접근은 더디기만 하 다.

본 연구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한국무용의 인식과 선호도를 조사 함으로서 한국무용이 현재 우리나라의 초등학생들에게 어느 수준까지 인식되어 있는지를 연구하고 한국무용에 뿌리를 둔 맞춤형 프로그램인 우리춤체조의 경험을 통하여 한국무용 인식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14)

그 차이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러한 접근을 통해 그 관계를 이해하고 근거를 마련하여 한국무용에 관한 초등학생의 올바른 이해를 도모하고 자 한다. 또한 무용인들에게 새로운 한국무용 활성화 방법과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참고할 수 있는데 그 필요성이 있다.

이러한 필요성을 바탕으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 은 연구문제를 제시한다.

가. 초등학생들의 한국무용에 대한 인지도는 어떠한가?

나. 초등학생들의 한국무용 대한 기대도는 어떠한가?

다. 초등학생들의 한국무용에 대한 관심도와 참여도는 어떠한가?

(15)

2. 연구의 제한점

본 연구는 우리춤체조가 초등학생의 한국무용 인식변화에 미치는 영 향에 대한 조사로서 다음과 같은 제한점이 있다.

가. 본 연구의 대상은 문화의 혜택이 비교적 적은 여수지역의 초등학 생 71명으로 한정하였다. 따라서 우리나라 초등학생 전체에게 일 반화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나. 설문 항목은 일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것으로 심도 있 는 지식정도를 측정하는 것은 피하고 초등학생들의 관심도와 인식 도, 그리고 인식의 변화에 비중을 높여 작성하였다.

다. 우리춤체조는 노인들을 위한 장수춤이지만 초등학생의 한국무용 인식변화를 위한 연구로 초등학생에게 쉽게 향유되고 공유될 수 있는 것에 초점을 맞추었다.

라. 초등학생의 한국무용 대중화를 위한 구체적이고 획기적인 대안을 제시할 수는 없으나 기초자료로서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둔 다.

3. 연구의 가설

1. 우리춤체조를 접한 후 초등학생은 한국무용에 대한 인지도가 높아질 것이다.

2. 우리춤체조를 접한 후 초등학생의 한국무용에 대한 기대도가 높아 질 것이다.

4. 우리춤체조를 접한 후 초등학생의 한국무용에 대한 관심도와 참여도 가 높아질 것이다.

(16)

Ⅱ. 이론적 배경

1. 우리춤체조

1) 우리춤체조의 개념

고령자를 위한 건강체조는 안전하고 낮은 강도의 프로그램으로서 심폐 지구력, 근력, 유연성, 협응력, 평형감을 향상시킬 수 있어야 한다. 대부 분의 고령자는 관절염, 골다공증, 당뇨, 심장기능 저하와 같은 위험요인 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운동시에는 안전에 유의하고 위험요인에 대비하 는 등의 특별한 관심이 요구된다. 또한 고령과 함께 일어나기 쉬운 사 회적 고립과 심리적 우울상태가 야기되는 신체적인 건강상실을 극복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우리춤체조에서는 심리적인 효과도 신체적인 효과 이상으로 필요하기 때문에 사회참여의 기회와 사교의 기회가 될 수 있도록 고려한다. 우리 춤체조란 우리의 전통가락과 춤사위를 바탕으로 몸과 마음의 건강과 기 쁨을 동시에 느낄 수 있도록 우리 인체에 맞게 잘 짜여진 체조이다. 특 히 노화와 관련된 여러 연구를 해 온 체력과학노화연구소에서 개발한 체조인 만큼 심신을 향상시키는 과학적인 단계로 구성되어있다.

춤을 통해 노인들의 심폐 기능과 관절에 부담을 주지 않도록 고안되었 고 운동보다는 춤에 관심을 갖는 노인들의 기호에 맞추어 심폐기능과 관절에 부담을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고안된 춤을 만든 것이다.

(17)

2) 우리춤체조의 특성

우리춤체조는 우리 전통가락을 바탕으로 한 우리춤체조 해맞이를 개 발하였다. 동작의 구성은 기본 1·2·3 형으로 나누고 이러한 기본 춤 체 조를 바탕으로 한 응용형이 계속적으로 개발될 수 있도록 배려하였다.

기본형에서는 사람과 대자연과의 만남을 주제로 하였다. 기본 1형 해 맞이 춤체조 에서는 땅에서부터 솟아 오르는 생명력이 떠오르는 태양을 기다리다가 맞이하는 땅의 기쁨을 표현한다. 해맞이 동작에서는 아침에 일어나 마루에 앉아 밝아오는 하늘을 향해 편하게 몸을 이완시킨다. 동 작은 숨쉬기, 목운동, 팔운동, 가슴운동, 옆구리 운동, 다리운동 등으로 이어지며 신체의 모든 관절들을 유연하게 풀어주고 마음을 차분하게 정 돈한다.

기본 2 형 두둥실 춤체조에서는 몸을 훌훌 털고 일어나 하늘을 향해 마음을 열고 상쾌하게 일상을 시작한다. 특히 본 동작에서는 몸과 마음 이 두둥실 떠올라 하늘을 맞는 기쁨이 표현되도록 하고자 두 팔과 두 발의 동작을 강조한다.

기본 3 형 어울림 춤체조에서는 사람들이 함께 만나 어우러졌을 때의 기쁨을 주제로 한다. 따라서 건드렁 사위, 물결사위, 손뼉사위 등과 같 이 보다 다양한 손동작과 발동작을 통해 사람들이 만나고 어울리는 기 쁨을 표현하게 한다.

이러한 기본 1·2·3 형의 동작들은 하늘, 땅과 사람이라는 주제로 사람 이 대자연 속에서 살아가는 기쁨, 그리고 멋지고 건강하게 살아갈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갖길 바라며 개발되었다. 본 춤체조의 모든 동작들은 우리나라 고유한 전통의 춤사위들을 응용하여 새롭게 정형화시켜 누구 나 쉽게 할 수 있도록 단순화하고자 노력했다.

응용 1 형인 나들이 춤체조는 나들이 나간 사람들의 어울림과 기쁨을 주제로 하여 우리춤의 포크댄스화의 가능성이 일부 시도되어졌다. 응용

(18)

2 형인 어화 좋을시고 춤체조에서는 남자노인들을 주 대상으로 하여 부채 하나를 들고 멋들어지게 한량무가락으로 춤을 출 수 있게 되어있 다. 특히 우리나라 남자 노인들의 문제점인 은둔 칩거와 의욕상실을 벗 어나게 하기 위해서 마음을 훌훌 털고 한바탕 춤을 벌여보는 것이 정신 적, 육체적으로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와 같은 응용 1 형이나 2 형의 춤 체조는 기본형 춤체조와는 달리 춤에 가깝게 고안되어 기본형 춤 체조를 배운 사람들이 손쉽게 우리 춤 을 즐길 수 있게 배려되었다.

3) 우리춤체조의 교육적 가치

우리춤체조의 경우 중, 노년 여성들의 흥미를 고려한 뱃노래, 도라지 등 다양한 프로그램에 대한 선호 및 관심도가 높게 나온 것으로 보인 다. 또한 김혜정(2001)의 연구에서 교육무용경험기간이 길수록 무용흥 미도가 높을 수 있음을 증명한 바 있다.

무용은 다른 프로그램보다 대중들의 직접적인 참여기회가 부족하기 때 문에 무용을 통해 신체적, 정신적인 만족을 얻기 위해서는 장기간의 연 습과 노력이 필요하다. 기간이 너무 짧으면 무용을 제대로 인식하기 어 렵고 무용의 단편적인 면만 배우게 될 수 있으므로 무용을 배우는 기간 을 지속시켜 무용에 대한 인식과 흥미를 높이는데 무용인들의 노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결과는 성인 뿐 아니라 초, 중, 고등학교에서도 무용 수업을 의무화하는 것이 중요하리라고 생각이 된다. 임숙자(2000) 연구 결과에 따르면 무용경험이 없는 여자중학생들 경우에 평소 무용에 대해 별 관심을 가지고 있지 않다고 보고되었다. 이에 성인들을 초점으로 한 우리춤체조가 청소년들의 기호에 맞추어 한국무용에 뿌리를 둔 프로그 램을 개발하여 학생들이 무용예술에 직접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 한다면 무용의 흥미와 선호도를 높이고 친근한 대중예술로 인식하게 도 리 것이고 나아가 평생 즐기고 싶은 여가활동 중 하나가 될 수 있을 것

(19)

2. 한국무용

1) 한국무용의 개념

한국무용이란 민족의 사상과 감정을 생활 속에 수용한 우리 민족의 몸 짓이며 감성이라 할 수 있는 우리의 춤이다. 전통무용은 물론 전통적인 것을 결합시킨 신무용, 그리고 창작 한국무용인 현대 한국무용 또한 한 국무용에 속한다. 한국의 전통무용은 춤의 목적이나 기원 등에 근거하 여 이루어지는데, 크게 궁중무용과 민속무용, 의식무용, 향토무용으로 분류된다. 이들은 서로 영향을 주고받아 이루어졌다. 다시 말해 현재의 한국무용은 전통을 바탕으로 한 정적인 움직임과 동적인 움직임을 동시 에 갖고 있다. 시대의 흐름에 따라 한국무용 역시 끊임없이 발전되고 변화되며 새로이 생성되어지고 있다.

2) 한국무용의 특성

민속무용과 향토무용은 신앙적인 의식과 생활 행사에서 시작 되었는 데, 단군 이후 각 지방에서 소도회를 개설하고 매년 정월과 10월 상달 에 부락민들이 함께 모여 신단에 제사하고 춤과 음악으로 즐기던 풍속 이었다. 이 때 무용은 전체적이고 집단적인 의식이나 행사의 절차로 행 하던 원시적 집단 가무였다. 모든 나라의 춤도 신과 연관되어 시작된 것과 같이 우리 춤의 시초도 주술과 의식에 의해 만들어 진 것으로 보 인다.

그 후 3세기 경에 기록된 삼국지 위지 동이전과 중국 사적의 기록들 에 의하면, 한반도의 여러 부족들이 1년에 1회 또는 2회의 제천 대회 를 열고, 제천과 아울러 부족 의식을 연마하며, 가무 백희를 연행하였

(20)

다고 되어 있다. 이들 중 부여의 영고, 고구려의 동맹, 예의 무천, 마한 의 춘추제, 가락의 계욕이 등은 거족적인 행사였다. 또한 마한에서는 5 월 하종이 끝났을 때와 10월 농사일을 끝마쳤을 때 신에게 제사를 지 내고 많은 백성들이 모여 주야로 가무 음주를 하였다. 이 때 여러 사람 이 일제히 장단에 맞추어 추었던 춤은 중국의 탁무와 비슷했다고 기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춤은 아직 완전히 격식이나 형태를 갖춘 것 은 아니었다.

춤은 인간 생활의 모든 면과 결합되어 왔다. 특히 우리의 춤은 굿, 놀 이, 노동 등과 예술을 연결시켜 일치시킨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런 일들이 수세기 동안 반복되며 점점 틀이 접혀가기 시작했고, 의 식의 한 절차로 발전되고 정착되어갔다. 그 후 왕권 정치의 본격적인 틀이 잡힌 삼국시대 이후로 오면서 오늘날과 같은 무용 본래의 개념으 로 시작했고, 궁중에서는 전문 무용가를 두어 국가적 행사와 의식 또는 경축 등에 춤을 추게 하여 연례용으로 쓰이게 했다. 삼국시대와 고려시 대, 그리고 조선시대를 통하여 외래 문물의 교류에 따라 무용도 이입이 많이 이루어졌으나, 모두 우리의 정서에 맞게 재구성되어 수십 종의 무 용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이들 무용에는 궁중을 중심으로 추어지던 춤 인 정재와 민간에서 전해져 오는 민속무를 통틀어 근대 무용의 대칭으 로 전통무용이라 부르고 있다.

근대무용은 1900년대 이후 서구 문화의 수입에 힘입어 서양식 극장 무대가 생기면서부터 본격적인 외국 무용이 소개되었다. 이 때 신무용 과 더불어 발레, 러시아춤 등이 공연되고, 전통무용도 무대에 맞게 재 구성하여 올려졌다. 한국 전통 예술의 발생은 이토록 의식적이고, 종교 적인 행사를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지고 창제되었으나 세월이 흐름에 따 라 본래적의 목적인 의식 절차와 행사는 약화되고, 독립적인 발전이 이 루어져 오늘에 이르게 되었다.

한국무용은 기와지붕, 버선발, 소맷자락, 자연 등의 곡선의 미를 살려

(21)

우아하면서도 섬세하고 움직임 하나하나에 의미를 부여하여 민족의 삶 과 애환을 드러낸다. 버선발의 디딤새로 우리 춤이 시작되고 하늘 높이 나는 학이나 백조가 된듯한 감정으로 춤을 추게 된다. 여성들의 춤을 보면 긴 치마 속에 발이 감추어져 춤을 추는데 이것은 발을 감추고 나 는 새의 형태로 해석되어 자연과 동화되어 합일화 한다고 할 수 있다.

한국무용은 아무리 뛰어난 젊은 무용수가 추더라도 노인이 추는 춤 한가락에 당하지 못하듯 정신적으로 그 깊이에 도달하지 않으면 제대로 된 춤을 출 수가 없고 감상도 할 수가 없다. 내면에서 나오는 힘을 이 용하여 한과 흥이 어우러져 조이고 푸는 긴장과 이완이 바로 한국무용 의 묘미이다.

한국무용은 누구나 춤을 출 수 있다는 인본적인 면을 가지고 있고 이 것은 예술가와 대중 사이의 신뢰감은 물론 공감대를 형성시켜 작품 속 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만든다. 예술이란 생활에서 느끼는 감흥과 신명을 집약시켜 표현한 것이므로 누구나 자신의 삶의 경험을 통해 예 술행위에 참여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한국인이라면 누구나 한국무 용에 쉽게 다가갈 수 있다.

3. 한국무용의 교육적 가치

한국무용은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문화전승의 측면에서 교육적 가치 를 갖고 있다. 한국무용을 통해 몸의 움직임으로 운동의 효과를 가져옴 과 동시에 신체를 통한 자기표현의 기회를 마련하여 스트레스 해소에도 도움을 준다. 이를 통해 긍정적인 자아가 형성되어 전인적 인간으로 성 장할 수 있는 발판이 마련되고 함께 춤을 춤으로써 동질성과 사회성, 협동심이 길러진다. 예술은 그 지역 환경과 역사를 공유하는 삶의 결정 체로서 고유한 생명력과 특징을 지니는데 한국무용을 통해 우리나라의 사회적 특성과 풍습을 알고 민족적 긍지를 느끼게 될 것이다.

(22)

Ⅲ. 연구의 방법 및 절차

본 연구는 선행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무용과 우리춤체조의 개념을 정리하고 설문 연구를 통하여 초등학생에게 한국무용이 어떤 모습으로 인지되고 있는지에 대해 조사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여 우리춤체조를 접 한 이후의 한국무용에 대한 초등학생의 인식변화에 대해 연구해 보고자 한다.

1. 연구 대상

본 연구의 대상은 여수 나진 초등학교 3,4,5,6학년 71명을 대상으로 우리춤체조를 접하기 전과 후를 설문조사하여 그 결과를 비교하도록 하 였다. 그리하여 한국무용에 대하여 어떠한 인식을 가지고 있는지 설문 을 통하여 초등학생에게 적용되는 정확한 데이터를 얻고자 하였다.

2. 조사도구

본 연구에서는 한국무용에 대한 초등학생의 인식도를 조사 연구하기 위하여 여러 문헌과 선행 연구된 자료에서 발췌하여 본 연구의 목적에 부합되게 수정, 보완하여 제작된 설문지를 조사도구로 사용하여, 여수 지역의 일반(무용 전공자가 아닌 학생들)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하 였다. 설문 내용에 대한 충분한 설명을 한 후 학년별로 설문지를 나누 어주고 조사가 모두 이루어진 후 되돌려 받았다.

(23)

사전 설문지 구성항목은 기초적인 조사항목으로 성별, 학년을 묻는 문 항 2문항과 한국무용에 대한 초등학생의 가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문항 3문항, 한국무용에 대한 초등학생의 인지도를 알아보기 위한 문항 8문항, 한국무용에 대한 초등학생의 이해도를 알아보기 위한 문항 8문 항, 한국무용에 대한 초등학생의 기대도를 알아보기 위한 문항 3문항, 한국무용에 대한 초등학생의 관심 및 참여의사를 알아보기 위한 문항 4문항으로 구성하여 조사하였다. 사후 설문지 구성항목은 기초적인 조 사항목인 성별, 학년을 묻는 문항 2문항과 한국무용에 대한 가치 인식 을 알아보기 위한 문항 3문항, 한국무용에 대한 초등학생의 인지도를 알아보기 위한 문항 10문항, 한국무용에 대한 초등학생의 기대도를 알 아보기 위한 문항 3문항, 한국무용에 대한 초등학생의 관심 및 참여의 사를 알아보기 위한 문항 5문항으로 구성하여 조사하였으며 수거된 설 문지는 71부였다.

3. 자료처리 방법

첫째, 응답자의 일반적 사항에 대해 살펴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 하였다.

둘째, 사전 검사- 사후 검사에 따른 한국 무용에 대한 인식 차이를 살 펴보기 위하여 카이스퀘어 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은 모두 유의수준 p<.05, p<.01, p<.001 에서 검 증하였으며, 통계처리는 SPSSWIN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 였다.

(24)

Ⅳ. 연구 결과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사항

본 연구의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설문 항목 1번과 2번에 해당하는 것으로 아래 표와 같다.

<표-1> 응답자의 일반적 사항

빈도 퍼센트

성별 남 35 49.3

여 36 50.7

학년

3학년 15 21.1

4학년 17 23.9

5학년 21 29.6

6학년 18 25.4

합계 71 100.0

<표-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응답자의 일반적 사항에 대해 살펴보면 전체 71명 중 성별은 남자가 35명으로 49.3%, 여자가 50.7%로 나타 났으며, 학년은 5학년이 29.6%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6학년이 25.4%, 4학년이 23.9%, 3학년이 21.1% 순으로 나타났다.

(25)

2. 한국무용에 대한 초등학생의 인지도

<표-2> 시기에 따른 한국무용에 대해 들어본 경험 차이

전체 χ 2 df p

있다 없다

사전 검사

57 14 71

15.53 1

***

1 .000 80.3% 19.7% 100.0

%

사후 검사

71 0 71

100.0% .0% 100.0

%

전체

128 14 142

90.1% 9.9% 100.0

%

***p<.001

<표-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시기에 따른 한국무용에 대해 들어본 경 험 차이에 대해 살펴보면 전체적으로 한국무용에 대해 들어본 경험이 있다는 응답이 90.1%, 한국무용에 대해 들어본 경험이 없다는 응답이 9.9%로 나타났다.

시기에 따른 한국무용에 대해 들어본 경험 차이는 χ 2=15.531, p<.001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p<.001)

(26)

<표-3> 시기에 따른 한국무용을 매체를 통해 본 경험 차이

전체 χ 2 df p

있다 없다

사전 검사

49 22 71

.000 1 1.00 0 69.0% 31.0% 100.0

%

사후 검사

49 22 71

69.0% 31.0% 100.0

%

전체

98 44 142

69.0% 31.0% 100.0

%

<표-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시기에 따른 한국무용을 매체를 통해 본 경험 차이에 대해 살펴보면 전체적으로 한국무용을 매체를 통해 본 경 험이 있다는 응답이 69.0%, 한국무용을 매체를 통해 본 경험이 없다는 응답이 31.0%로 나타났다.

시기에 따른 한국무용을 매체를 통해 본 경험 차이는 p>.05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27)

<표-4> 시기에 따른 한국무용을 직접 본 경험 차이

전체 χ 2 df p

있다 없다

사전 검사

36 35 71

.028 1 .867 50.7% 49.3% 100.0

%

사후 검사

37 34 71

52.1% 47.9% 100.0

%

전체

73 69 142

51.4% 48.6% 100.0

%

<표-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시기에 따른 한국무용을 직접 본 경험 차 이에 대해 살펴보면 전체적으로 한국무용을 직접 본 경험이 있다는 응 답이 51.4%, 한국무용을 직접 본 경험이 없다는 응답이 48.6%로 나타 났다.

시기에 따른 한국무용을 직접 본 경험 차이는 p>.05로 나타나 통계적 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28)

<표-5> 시기에 따른 한국무용 공연에 대한 소감 차이

전체 χ2 df p 매우

재미 있었 다

재미 있었 다

보통 이다

재미 없었 다

매우 재미 없었 다 사전

검사

16 18 16 5 3 58

3.25

2 4 .51 7 27.6

% 31.0% 27.6% 8.6% 5.2% 100.

0%

사후 검사

13 14 6 1 2 36

36.1

% 38.9% 16.7% 2.8% 5.6% 100.

0%

전체

29 32 22 6 5 94

30.9

% 34.0% 23.4% 6.4% 5.3% 100.

0%

<표-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시기에 따른 한국무용 공연에 대한 소감 차이에 대해 살펴보면 전체적으로 재미있었다는 응답이 34.0%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매우 재미있었다는 응답이 30.9%, 보통이 23.4%, 재미없었다는 응답이 6.4%, 매우 재미없었다는 응답이 5.3%로 순으로 나타났다.

시기에 따른 한국무용 공연에 대한 소감 차이는 p>.05로 나타나 통계 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29)

<표-6> 시기에 따른 한국무용에 대해 (실기, 이론) 교육받은 적 차이

전체 χ2 df p 둘다

있다

둘다 없다

실기 교육만 받았다

이론 교육만 받았다 사전

검사

24 29 14 4 71

43.7 54

***

3 .00 0 33.8% 40.8% 19.7% 5.6% 100.

0%

사후 검사

24 0 43 4 71

33.8% .0% 60.6% 5.6% 100.

0%

전체

48 29 57 8 142

33.8% 20.4% 40.1% 5.6% 100.

0%

***p<.001

<표-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시기에 따른 한국무용에 대해 (실기, 이 론) 교육받은 적 차이에 대해 살펴보면 전체적으로 실기 교육만 받았다 는 응답이 40.1%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둘 다 있다는 응답 이 33.8%, 둘 다 없다는 응답이 20.4%, 이론 교육만 받았다는 응답이 5.6%로 순으로 나타났다.

시기에 따른 한국무용에 대해 (실기, 이론) 교육받은 적 차이는 χ2

=43.754, p<.001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p<.001)

(30)

<표-7> 시기에 따른 교육받은 곳 차이

전체 χ 2 df p

초등학교 문화센터 기타

사전 검사

40 1 3 44

.502 2 .77 8 90.9% 2.3% 6.8% 100.0

% 사후

검사

67 1 3 71

94.4% 1.4% 4.2% 100.0

%

전체

107 2 6 115

93.0% 1.7% 5.2% 100.0

%

<표-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시기에 따른 교육받은 곳 차이에 대해 살 펴보면 전체적으로 초등학교가 93.0%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타가 5.2%, 문화센터가 1.7%로 순으로 나타났다.

시기에 따른 교육받은 곳 차이는 p>.05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미 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31)

<표-8> 시기에 따른 한국무용을 접한 적이 있다면 접하게 된 계기 차이

전체 χ2 df p 본인

의 자발 적인 의사

에 의해

친구들 의 권유로

무용인 의 권유로

신문, 잡지, TV, 인터넷

등 대중 매체를

통한 정보를

통해

학교에 서 수업을 통해서

배움

사전 검사

6 3 6 6 50 71

.000 4 1.0 00 8.5% 4.2% 8.5% 8.5% 70.4% 100.

0%

사후 검사

6 3 6 6 50 71

8.5% 4.2% 8.5% 8.5% 70.4% 100.

0%

전체

12 6 12 12 100 142

8.5% 4.2% 8.5% 8.5% 70.4% 100.

0%

<표-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시기에 따른 한국무용을 접한 적이 있다 면 접하게 된 계기 차이에 대해 살펴보면 전체적으로 학교에서 수업을 통해서 배운 경우가 70.4%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문, 잡 지, TV, 인터넷 등 대중 매체를 통한 정보를 통해서가 8.5%, 무용인의 권유로가 8.5%, 본인의 자발적인 의사에 의해서가 8.5%, 친구들의 권 유로가 4.2%로 순으로 나타났다.

시기에 따른 한국무용을 접한 적이 있다면 접하게 된 계기 차이는 p>.05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32)

<표-9> 시기에 따른 한국무용이라는 용어와 함께 가장 먼저 머릿속에 떠오르는 단어 차이

전체 χ 2 df p 전통

의상

전통 춤사

고전 무용

국악 음악

부채

춤 기타

사전 검사

25 17 7 14 7 1 71

3.69

4 5 .59 4 35.2

%

23.9

% 9.9% 19.7

% 9.9% 1.4% 100.

0%

사후 검사

19 16 12 14 10 0 71

26.8

%

22.5

%

16.9

%

19.7

%

14.1

% .0% 100.

0%

전체

44 33 19 28 17 1 142

31.0

%

23.2

%

13.4

%

19.7

%

12.0

% .7% 100.

0%

<표-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시기에 따른 한국무용이라는 용어와 함께 가장 먼저 머릿속에 떠오르는 단어 차이에 대해 살펴보면 전체적으로 전통의상이 31.0%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통 춤사위가 23.2%, 국악 음악이 19.7%, 고전무용이 13.4%, 부채춤이 12.0%, 기타 가 0.7%로 순으로 나타났다.

기에 따른 한국무용이라는 용어와 함께 가장 먼저 머릿속에 떠오르는 단어 차이는 p>.05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 다.

(33)

3. 한국무용에 대한 초등학생의 기대도

<표-10> 시기에 따른 한국무용 공연에서 가장 중요한 가치 차이

전체 χ 2 df p 관객

이 쉽게 이해 할 수

있어 야 한다

많은 관객

이 즐길

수 있어 야 한다

재미 있어 야 한다

높은 예술 성을 지녀

야 한다

춤에 대한 지식

을 얻게 해주 어야 한다

삶의 여유

와 휴식 을 주어 야 한다 사전

검사

14 13 19 13 9 3 71

5.42

4 5 .3 66 19.7

%

18.3

%

26.8

%

18.3

%

12.7

% 4.2% 100.

0%

사후 검사

15 13 12 12 9 10 71

21.1

%

18.3

%

16.9

%

16.9

%

12.7

%

14.1

%

100.

0%

전체

29 26 31 25 18 13 142 20.4

%

18.3

%

21.8

%

17.6

%

12.7

% 9.2% 100.

0%

<표-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시기에 따른 한국무용 공연에서 가장 중요한 가치 차이에 대해 살펴보면 전체적으로 재미있어야 한다는 응답 이 21.8%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관객이 쉽게 이해할 수 있 어야 한다는 응답이 20.4%, 많은 관객이 즐길 수 있어야 한다는 응답 이 18.3%, 높은 예술성을 지녀야 한다는 응답이 17.6%, 춤에 대한 지 식을 얻게 해주어야 한다는 응답이 12.7%, 삶의 여유와 휴식을 주어야 한다는 응답이 9.2%로 순으로 나타났다.

(34)

시기에 따른 한국무용 공연에서 가장 중요한 가치 차이는 p>.05로 나 타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표-11> 시기에 따른 한국무용을 일반 대중들에게 널리 알리는 데에 중요한 요소 차이

전체 χ2 df p

무용 교과 목을 독립 시켜 공연 예술 의 이해

를 넓힌

직접 참여 함으 로서 공감 대를 형성 할 수

있도 록 한다

이색 적인 공연 장소 를 모색 하여 일상 에서 쉽게 접하

게 한다

작품 위주 의 관심 에서 무용

수 위주

의 관심 으로 전환

이 필요 하다

여러 가지 대중 매체 를 이용

한 홍보 효과 를 높인

티켓 의 가격 을 조절 하여 부담 없이 공연

을 접하 도록 해야 한다

사전 검사

43 7 13 5 2 1 71

.59

1 5 .9 88 60.6

% 9.9% 18.3

% 7.0% 2.8% 1.4% 100.

0%

사후 검사

43 7 11 6 2 2 71

60.6

% 9.9% 15.5

% 8.5% 2.8% 2.8% 100.

0%

전체

86 14 24 11 4 3 142

60.6

% 9.9% 16.9

% 7.7% 2.8% 2.1% 100.

0%

(35)

<표-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시기에 따른 한국무용을 일반 대중들에 게 널리 알리는 데에 중요한 요소 차이에 대해 살펴보면 전체적으로 무 용교과목을 독립시켜 공연예술의 이해를 넓힌다는 응답이 60.6%로 가 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색적인 공연장소를 모색하여 일상에서 쉽게 접하게 한다는 응답이 16.9%, 직접 참여함으로서 공감대를 형성 할 수 있도록 한다는 응답이 9.9%, 작품위주의 관심에서 무용수 위주 의 관심으로 전환이 필요하다는 응답이 7.7%, 여러 가지 대중매체를 이용한 홍보효과를 높인다는 응답이 2.8%, 티켓의 가격을 조절하여 부 담 없이 공연을 접하도록 해야 한다는 응답이 2.1%로 순으로 나타났 다.

시기에 따른 한국무용을 일반 대중들에게 널리 알리는 데에 중요한 요 소 차이는 p>.05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표-12 시기에 따른 한국무용이 앞으로 대중적으로 확산될 것이라 전망 차이

전체 χ2 df p 전혀

아니 다

아니 다

보통 이다

그렇 다

매우 그렇

다 사전

검사

8 3 25 22 13 71

.233 4 .99 4 11.3

% 4.2% 35.2% 31.0% 18.3% 100.

0%

사후 검사

7 3 25 21 15 71

9.9% 4.2% 35.2% 29.6% 21.1% 100.

0%

전체

15 6 50 43 28 142

10.6

% 4.2% 35.2% 30.3% 19.7% 100.

0%

(36)

<표-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시기에 따른 한국무용이 앞으로 대중적 으로 확산될 것이라 전망 차이에 대해 살펴보면 전체적으로 보통이 35.2%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렇다는 응답이 30.3%, 매우 그렇다는 응답이 19.7%, 전혀 아니다는 응답이 10.6%, 아니다는 응답 이 4.2%로 순으로 나타났다.

시기에 따른 한국무용이 앞으로 대중적으로 확산될 것이라 전망 차이 는 p>.05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37)

4. 한국무용에 대한 초등학생의 관심 및 참여도

<표-13> 시기에 따른 한국무용에 대한 관심 차이

전체 χ2 df p 전혀

없다

별로 없다

보통이

다 많다 매우

많다 사전

검사

9 8 28 19 7 71

.435 4 .98 0 12.7

% 11.3% 39.4% 26.8% 9.9% 100.

0%

사후 검사

7 8 27 21 8 71

9.9% 11.3% 38.0% 29.6% 11.3% 100.

0%

전체

16 16 55 40 15 142

11.3

% 11.3% 38.7% 28.2% 10.6% 100.

0%

<표-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시기에 따른 한국무용에 대한 관심 차이 에 대해 살펴보면 전체적으로 보통이 38.7%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 났으며, 많다는 응답이 28.2%, 별로 없다는 응답이 11.3%, 전혀 없다 는 응답이 11.3%, 매우 많다는 응답이 10.6%로 순으로 나타났다.

시기에 따른 한국무용에 대한 관심 차이는 p>.05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38)

<표-14> 시기에 따른 우리춤체조를 접하고 난 후 한국무용에 대한 관심 차이

매우 전체 관심이 생겼다

조금 더 관심이 생겼다

관심의 변화가

없다

관심이 없어졌다

사후 검사 5 38 22 6 71

7.0% 53.5% 31.0% 8.5% 100.0%

전체 5 38 22 6 71

7.0% 53.5% 31.0% 8.5% 100.0%

<표-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시기에 따른 우리춤체조를 접하고 난 후 한국무용에 대한 관심 차이에 대해 살펴보면 전체적으로 조금 더 관심 이 생겼다는 응답이 53.5%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관심의 변 화가 없다는 응답이 31.0%, 관심이 없어졌다는 응답이 8.5%, 매우 관 심이 생겼다는 응답이 7.0%로 순으로 나타났다.

(39)

<표-15> 시기에 따른 한국무용 공연의 관람기회가 생긴다면 차이

전체 χ2 df p 꼭

관람한 다

관람한 다

잘 모르겠

관람하 지 않는다

전혀 관람하 지 않는다 사전

검사

15 35 13 5 3 71

.292 4 .99 0 21.1

% 49.3% 18.3% 7.0% 4.2% 100.

0%

사후 검사

17 35 11 5 3 71

23.9

% 49.3% 15.5% 7.0% 4.2% 100.

0%

전체

32 70 24 10 6 142

22.5

% 49.3% 16.9% 7.0% 4.2% 100.

0%

<표-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시기에 따른 한국무용 공연의 관람기회 가 생긴다면 차이에 대해 살펴보면 전체적으로 관람한다는 응답이 49.3%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꼭 관람한다는 응답이 22.5%, 잘 모르겠다는 응답이 16.9%, 관람하지 않는다는 응답이 7.0%, 전혀 관람하지 않는다는 응답이 4.2%로 순으로 나타났다.

시기에 따른 한국무용 공연의 관람기회가 생긴다면 차이는 p>.05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40)

<표-16> 시기에 따른 한국무용을 배울 기회가 생긴다면 차이

전체 χ2 df p 전혀

아니다 아니다 보통이

다 그렇다 매우 그렇다 사전

검사

5 6 22 25 13 71

1.12

6 4 .89 0 7.0% 8.5% 31.0% 35.2% 18.3% 100.

0%

사후 검사

3 7 19 26 16 71

4.2% 9.9% 26.8% 36.6% 22.5% 100.

0%

전체

8 13 41 51 29 142

5.6% 9.2% 28.9% 35.9% 20.4% 100.

0%

<표-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시기에 따른 한국무용을 배울 기회가 생 긴다면 차이에 대해 살펴보면 전체적으로 그렇다는 응답이 35.9%로 가 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통이 28.9%, 매우 그렇다는 응답이 20.4%, 아니다는 응답이 9.2%, 전혀 아니다는 응답이 5.6%로 순으로 나타났다.

시기에 따른 한국무용을 배울 기회가 생긴다면 차이는 p>.05로 나타 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41)

<표-17> 시기에 따른 주변 사람들에게 한국무용을 권유 차이

전체 χ2 df p 전혀

아니 다

아니 다

보통 이다

그렇 다

매우 그렇

다 사전

검사

6 12 25 17 11 71

1.47

9 4 .83 0 8.5% 16.9% 35.2% 23.9% 15.5% 100.

0%

사후 검사

5 10 21 20 15 71

7.0% 14.1% 29.6% 28.2% 21.1% 100.

0%

전체

11 22 46 37 26 142

7.7% 15.5% 32.4% 26.1% 18.3% 100.

0%

<표-1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시기에 따른 주변 사람들에게 한국무용 을 권유 차이에 대해 살펴보면 전체적으로 보통이 32.4%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렇다는 응답이 26.1%, 매우 그렇다는 응답이 18.3%, 아니다는 응답이 15.5%, 전혀 아니다는 응답이 7.7%로 순으로 나타났다.

시기에 따른 주변 사람들에게 한국무용을 권유 차이는 p>.05로 나타 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42)

Ⅴ. 결론 및 제언

1. 결론

본 연구는 여수 소재의 나진초등학교 학생 71명을 대상으로 한국무용 에 뿌리를 둔 맞춤형 프로그램인 우리춤체조를 경험하기 전과 후로 나 누어, 초등학생의 한국무용 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차이를 분석 했다. 초등학생들의 한국무용 인식조사 결과 대부분의 초등학생이 한국 무용에 대해 인지하고 있으나 관심도가 비교적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춤체조를 접한 후 다수가 만족감을 나타냈으나 난이도가 조금 높다 고 느꼈고 우리춤체조를 통한 한국무용에 대한 인식도 변화와 관심도 변화가 미미하게 나타나, 한국무용이 초등학생들에게 다가가기 위해서 더 많은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등의 많은 노력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 다. ⅒⅒⅒⅒⅒⅒⅒⅒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우리춤체조를 접한 후 한국무용에 대한 초등학생의 인지도 변화

초등학생의 57%가 한국무용을 인지하고 있었고 90%가 한국무용에 대한 경험이 있었다. 그 중 70.4%가 학교에서 수업을 통해 배웠고 신 문, 잡지, TV, 인터넷 등 대중매체를 통한 경험이 8.5%, 무용인의 권 유로 인한 경험이 8.5%, 본인의 자발적 의사에 의한 경험이 8.5%, 친 구들의 권유로 4.2%가 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무용에 대해 교육 받은 적의 차이를 보면 실기 교육만 받았다는 응답이 40.1%로 가장 높 았고 교육 받은 곳으로는 초등학교가 93.0%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한국무용’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은 31.0%로 전통의상이 가장 높았고, 전통춤사위가 23.2%, 국악음악이 19.7%, 고전무용이 13.4%, 부채춤이 12.0% 순으로 나타났다. 한국무용을 직접 본 경험이 초등학 생의 51.4%였고 한국무용 공연에 대한 소감차이는 전체적으로 재미있 었다는 응답이 34.0%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우리춤체조를 접한 후

(43)

2. 우리춤체조를 접한 후 한국무용에 대한 초등학생의 기대도 변화

한국무용 공연에서 가장 중요한 가치로 재미있어야 한다는 응답이 21.8%로 가장 높았고 한국무용을 일반 대중들에게 널리 알리기 위해 무용 교과목을 독립시켜 공연예술의 이해를 넓혀야 한다는 응답이 60.6%로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이색적인 공연장소를 모색하여 일상에 서 쉽게 접하게 해야 한다는 응답이 16.9%로 높게 나타났다. 한국무용 이 대중적으로 확산 될 것이라 전망 했을 때 ‘보통이다’가 35.2%로 가 장 높았고 ‘그렇다’가 30.3%, ‘매우 그렇다’가 19.7%로 높았다. 이처럼 한국무용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기대는 긍정적이었다. 우리춤체조를 접 한 후 한국무용에 대한 초등학생의 기대도는 유의미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3. 우리춤체조를 접한 후 한국무용에 대한 초등학생의 관심 및 참여도 변화

초등학생의 한국무용에 대한 관심 및 참여도는 ‘보통이다’가 38.7%로 가장 높았고 한국무용 공연의 관람기회가 생긴다면 49.3%가 관람하겠 다고 높은 관심을 보였다. 또한 한국무용을 배울 기회가 생긴다면 초등 학생의 35.9%가 배우겠다고 하였다. 주변사람들에게 한국무용을 권유 차이로는 ‘보통이다’가 32.4%, ‘그렇다’가 26.1%로 긍정적이었다. 우리 춤체조를 접하고 난 후 한국무용에 대한 관심이 조금 더 생겼다는 응답 이 53.5%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관심의 변화가 없다는 응답이 31.0%, 관심이 없어졌다는 응답이 8.5%, 매우 관심이 생겼다는 응답이 7.0%로 비교적 긍정적인 인식변화가 보임을 알 수 있다.

(44)

2. 제언

본 연구를 토대로 앞으로 초등학생들에게 한국무용에 대한 인식을 변 화시키고 더 나아가 한국무용을 널리 알리기 위해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의 연구대상이 여수소재 나진초등학교 3,4,5,6학년 학생 으로만 제한되어 다른 지역 초등학교 학생들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 으로 사료된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우리춤체조를 기능적인 면에 초점을 맞추어 수업 을 구성하였다. 따라서 후속적인 연구가 이루어 질 때는 인지적, 기능 적, 정의적 영역의 목표가 통합되어 달성될 수 있는 수업구성이 필요할 것이다.

셋째, 우리춤체조를 학습하기 전과 후로 비교할 뿐 아니라, 좀 더 세분 화 된 집단으로 구분하고 가능한 변수들을 고려하여 세밀한 분석이 이 루어져야 할 것이다.

넷째, 우리춤체조가 초등학생의 한국무용에 대한 인식도에 긍정적인 영 향을 준 것 만큼, 한국무용과 관련된 쉽고 재미있는 프로그램을 다양하 게 개발하여 초등학생들도 한국무용에 더 관심을 갖고 자발적으로 참여 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 주어야 할 것이다.

(45)

참고문헌

Ⅰ. 單行本

김두련, 『어린이들을 위한 무용교육』. 서울: 금광, 2001.

배진경, 『초등학생의 무용태도 조사』. 학술논문, 한국 스포츠 리 서치, 2004.

유지영, 『교양 무용수업 경험이 무용의 인식도에 미치는 영향 : ‘한국무용의 이해’ 수업을 중심으로』. 학술논문, 용인대 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06.

한혜리, 『무용교육이란 무엇인가』. 서울: 한학문화사, 1996.

Ⅱ. 繼續刊行物

김충한, “우리춤체조 경험 유무에 따른 한국무용 인식도 비교.”

한국무용학회지, 8, no.1 (2008), pp.65-77.

Ⅲ. 學位論文

김미아, “어린이 한국무용 춤사위 학습의 교육적 효과에 관한 연 구.” 석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2006.

김예진, “초등학교 한국무용교육의 실태와 개선방향에 관한 연 구.” 석사학위논문, 동덕여자대학교, 2007.

김정희, “은율탈춤 학습을 통한 초등학생의 전통문화 인식도 변 화.” 석사학위논문,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김행심, “초등학교 어린이 전통문화 교육의 민속학적 고찰.” 석사 학위논문, 중앙대학교, 2008.

(46)

김혜경, “아동 무용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석사 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1.

복미경, “한국무용 학습이 아동의 감성지능에 미치는 영향.” 석사 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2003.

송미숙, “우리 춤 교육을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박사학 위논문, 한국 교원대학교, 2000.

신홍주, “한국무용에 대한 대중의 인식도 연구- 서울지역의 성 인을 대상으로-.”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 원, 2004.

유현수, “한국무용에 대한 인식과 선호도 조사연구.” 석사학위논 문, 공주대학교, 2008.

이은아, “전통무용의 조기교육 필요성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 문, 숙명여자대학교, 2009.

이종만, “한국 장단 및 춤사위 학습이 아동의 무용 표현력 발달 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1992.

이해선, “초등학생의 무용특기적성과 사설 무용학원의 참여에 대 한 인식도와 만족도 조사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 대학교, 2005.

이현경, “덩더꿍 체조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1999.

조진희, “한국무용학습이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 문, 숙명여자대학교, 2003.

(47)

부 록

<부록 1> 사진부록

<부록 2> 사전/사후 설문지

(48)

발 기본자세 1번 발 기본자세 2번 발 기본자세 3번

1번 : 뒷꿈치를 붙이고 자연스럽게

서는 동작

2번 : 한 발 넓이로 띄어서 서는 자세

3번 : 한 발이 다른 한 발의 앞에 겹쳐서 서는 자세

팔 기본자세 1번 팔 기본자세 2번 팔 기본자세 3번

1번 : 두 팔을 몸에서 20도 정도

2번 : 두 팔을 몸에서 45도 띄운

3번 : 두 팔을 몸에서 180도 띄운 해맞이 춤체조의 기본자세와 동작설명

<표-18> 발 기본자세

<표-19> 팔 기본자세: 팔 기본자세는 팔이 몸에서 떨어지는 각도에 따라 다섯 동작이 있다.

(49)

보통걷기

1박 한걸음으로 무릎 굴신과 함께 자연스럽게 걷는다.

팔 기본자세 4번 팔 기본자세 5번

4번 : 위로 45도 띄운 자세

5번 : 거의 어깨 넓이에 가까운 높이로 올린 자세

<표-20> 발 기본동작 : 보통걷기

(50)

머물러걷기

오른발(왼발) 한걸음 나가서 왼발(오른발)을 붙인 다음 왼발 나가서 오른발을 부치며 머무는 형식으로 걷는다.

곱디딤걷기

한 박에 오른발 나가며 왼발을 옆에 붙이고 두 박에 오른발을

<표-21> 발 기본동작 : 머물러걷기

<표-22> 발 기본동작 : 곱디딤걷기

(51)

앞찍음걷기

약간 뛰는 기분으로 한 발 앞으로 나가서 다른 발 앞꿈 치를 앞에 찍는다.

한 발 들기

한 발 나가서 다른 한 발을

<표-23> 발 기본동작 : 앞찍음걷기

<표-24> 발 기본동작 : 한 발 들기

(52)

좌우머물기

체중을 오른쪽 왼쪽으로 옮기며 머문다.

건드렁 걷기

오른발(왼발)을 왼쪽 사선으로 딛고 왼발(오른발)은 제 자리에 스텝한 후 몸을 오른쪽으로 돌리며 오른발(왼 발)을 뒤에 딛고 왼발(오른발) 제자리에 딛는다.

<표-25> 발 기본동작 : 좌우머물기

<표-26> 발 기본동작 : 건드렁 걷기

(53)

허리감기 사위

팔을 옆으로 펴서 허리 앞뒤로 감는 동작

니은 사위

한 팔을 3번 자세 옆, 다른 한 팔은 5번 자세 위로 올리고 위의

<표-27> 팔 기본동작 : 허리감기 사위

<표-28> 팔 기본동작 : 니은 사위

(54)

디귿 사위

앞찍음과 옆찍음에서 나오는 동작으로 한 팔은 3번 자세 옆으로 들고 다른 팔은 손바닥이

앞을 향하도록 하여 이마위로 팔을 굽혀서 드는 동작

리을 사위

팔을 3번 자세로 올린 다음 한 팔은 머리위에서, 다른 한 팔은

<표-29> 팔 기본동작 : 디귿 사위

<표-30> 팔 기본동작 : 리을 사위

(55)

휘영청 사위

리을사위의 변형으로 올라가는 팔의 반대쪽으로 몸을 굽혀서 하는 동작

여밈 사위

두 팔을 옆으로 벌린 다음 가슴 앞에서 여미는 동작

<표-31> 팔 기본동작 : 휘영청 사위

<표-32> 팔 기본동작 : 여밈 사위

(56)

나들이 사위

두 팔을 3번 자세 앞에서 오른쪽 (혹은 왼쪽)으로 보낸 다음 리을 사위를 하는 동작

물결 사위

2번 발 자세에서 두 팔은 3번 자세 옆으로 돌고 물결처럼 <표-33> 팔 기본동작 : 나들이 사위

<표-34> 팔 기본동작 : 물결 사위

(57)

학 사위

학처럼 두 팔을 천천히 옆으로 들어 올리는 동작

손뼉 사위

한 박에 두 손으로 허벅지를 치고 두 박에 손뼉을 친 다음 팔을

<표-35> 팔 기본동작 : 학 사위

<표-36> 팔 기본동작 : 손뼉 사위

(58)

올림 사위

두 팔을 굽혀서 손등부터 5번 자세로 올리는 동작 <표-37> 팔 기본동작 : 올림 사위

(59)

본 설문은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무용교육 석사학위 논문을 위해 수행되는 것으로서, 한국무용에 대한 초등학생의 인식을 조사하여 한국무용 전반에 그것을 반영시키는데 목적이 있습니 다.

본 설문지는 무기명으로 작성되며, 조사 결과는 통계적 분석 목적 이외에 다른 용도로는 사용되지 않을 것입니다.

번거로우시더라도 설문 내용을 잘 읽으신 후, 각 문항을 빠짐 없이 솔직하게 성의껏 응답해 주신다면 연구수행에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2011년 6월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무용교육전공

<부록 2>

사전설문지

한국무용에 대한 초등학생의 인식도 조사

기초적인 조사항목입니다.

(60)

≫≫≫≫≫≫≫≫≫≫≫≫≫≫≫2문항

설문1. 귀하의 성별은? ( ) ➀ 남 ➁ 여

설문2. 귀하의 학년은? ( )

➀ 3학년 ➁ 4학년 ➂ 5학년 ➃ 6학년

한국무용에 대한 가치인식

≫≫≫≫≫≫≫≫≫≫≫≫≫≫3문항

설문3. 귀하는 인간에게 한국무용이 꼭 필요하다고 생각 하십니까? ( )

➀ 전혀 아니다.

➁ 아니다.

➂ 보통이다.

➃ 그렇다.

➄ 매우 그렇다.

설문4. 귀하는 한국무용이 사회, 문화 발전에 기여한다고 보십니까? ( )

➀ 전혀 아니다.

➁ 아니다.

➂ 보통이다.

➃ 그렇다.

(61)

설문5. 귀하는 한국무용 공연의 관람이나 한국무용의 직접적인 참여가 개인에게 끼치는 영향과 이로움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순서대로 해당사항을 세 가지 선택할 수 있습니다.)

( ) - ( ) - ( ) ➀ 여가선용

➁ 아름답고 건강한 신체 ➂ 표현능력과 창의력의 발달

➃ 스트레스 해소를 통한 정서적 안정 ➄ 자기발전과 자아실현의 수단

➅ 전통문화의 경험으로 인한 자부심 ➆ 리듬감, 공간감각, 방향감각의 발달

한국무용에 대한 초등학생의 인지도

≫≫≫≫≫≫≫≫≫≫≫≫≫≫≫8문항

설문6. 귀하는 한국무용이라는 말을 들어 본 적이 있습니까?

( )

➀ 있다. ➁ 없다.

설문7. 귀하는 한국무용에 관계된 기사나 정보를 잡지, 신문, TV, 라디오, 인터넷 등에서 본 적이 있습니까?

( )

참조

관련 문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talize social music education according to these circumstances and for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of adult

Third, regarding the teaching-learning and assessment methods appropriate for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e music curriculum and learning

Therefore, judging that appreciation of contemporary art should be included in our school education, this study proposed a teaching and learning plan

The investigator categorized the capabilities just the way that they were presented by the publishers and used the learning objectives and activities according

First, based on his theory, I made a teaching plan which includes use of scaffolding, learning through language(oral) instruction, and some elements that

As a result, this study suggests some desirable teaching methods to gain knowledge of traditional Korean music in a familiar way, as well as a simple and effective teaching

Thirdly, when the contents of textbooks related with information-related society are classified by the field of activity for learning

Does the company emphasize including items such as SDL goal, activities, resources, SDL scheduling, assessment criteria, and achievement criteria in Learning Plan Form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