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2 1세기 직업전망에 따른 전문대학의 전공 개편방안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2 1세기 직업전망에 따른 전문대학의 전공 개편방안"

Copied!
206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기본연구 0 1 - 2 2

Restructuring Junior College Programs based on the Employment Outlook for the 21st Century

2 1세기 직업전망에 따른 전문대학의 전공 개편방안

한 국 직 업 능 력 개 발 원

(2)

기본연구 0 1 - 2 2

Restructuring Junior College Programs based on the Employment Outlook for the 21st Century

2 1세기 직업전망에 따른 전문대학의 전공 개편방안

연구 책임자 : 최 지 희 공동 연구자 : 정 완 섭

한 국 직 업 능 력 개 발 원

(3)

머 리 말

21세기 일의 세계는 그 복합성으로 인해 학교에서의 학습 내용이 일터에 서 필요로 하는 능력을 습득할 수 있도록 노동시장과 보다 밀접한 연관 속 에서 짜여질 것을 요구한다. 고등직업교육기관으로서 전문대학은 90년대 이 후에 들어서서 도약을 거듭하며 직업세계의 변화에 맞춰 학과의 구성과 교 육과정을 재구성하는 노력을 기울여 왔다. 이제 이러한 노력은 21세기의 빠 른 기술 변화와 노동시장의 변화, 그리고 대학 정원의 자율화 등 전문대학의 교육 환경의 변화 등으로 인해 새로운 국면을 맞게 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배경에서 향후의 직업세계의 변화를 살펴보고, 이를 반 영하여 전문대학이 어떠한 학과들을 개설하고 그에 따라 전공을 개편해 나 갈 수 있는가를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국내외 21세기 직업전망을 분석 하고 그 중 전문대학 학위자를 위한 유망직종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최근 전 문대학의 환경 변화와 전문대학 교육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전국의 158 개 전문대학을 대상으로 향후 설치를 희망하는 학과와 확대 및 축소를 희망 하는 학과 등 전문대학 유망학과에 대한 요구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밖에도 외국 전문대학의 신설학과에 관한 사례를 분석하여 참고로 하였다. 마지막으 로 설문조사 결과와 국내외 직업전망 결과, 해외 전문대학의 사례 분석 등의 결과를 종합하여 향후 전문대학 신설학과 개설의 방향과 전공 개편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는 향후 전문대학이 환경 변화에 맞추어 어떠한 학과 들을 개설하는 것이 유리하며 가능한가에 대한 좋은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 리라 기대한다. 아울러, 함께 제시된 전공 개편방안은 각 대학이 새로운 학 과의 개설과 전공 개편과 관련하여 해결해야 할 문제점들과 가능한 해결책 을 찾아내는 데 참고자료가 되리라 믿는다.

본 연구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도움을 주신 관련 전문가 여러분과 바쁜 일 정에도 불구하고 설문조사에 협조해 준 전문대학의 실무자 여러분께 감사를

(4)

드린다. 또한, 연구과정에 걸쳐 자문을 수행해 준 명지전문대 이관춘 교수와 자료정리를 도와 준 이화여자대학교의 이주현과 김민정에게도 고마움을 전 한다. 끝으로 본 보고서에 수록된 내용은 연구자들의 견해이며, 한국직업능 력개발원의 공식적 견해가 아님을 밝힌다.

2001년 12월

한 국직 업 능력 개 발 원

원 장

(5)

【 연 구 요 약 】

1990년대 이후 양적 성장을 거듭해 온 전문대학은 90년대 후반에 들어서 면서 신기술의 발달과 이에 따른 노동시장의 변화를 교육과정에 반영하여야 하는 과제와 대학 정원의 자율화, 실고 졸업생의 감소로 인한 전문대학 교육 대상의 감소라는 두 가지 문제를 동시에 해결해야 하는 과제를 안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전문대학이 이와 같은 사회경제적 환경 변화와 교육적 환 경 변화에 대처하여 향후 어떠한 학과들을 개설해 나가는 것이 유리하며 또 한 가능한가를 방안으로서 제시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1세기 직업세계의 주요 변화와 직업전망 결과에 기초하여 유망산업과 직업 들을 살펴보고, 최근 전문대학의 교육환경 변화와 전문대학 교육에 대한 수 요 변화를 분석하였다. 또한, 국내 전문대학을 대상으로 실시한 향후 설치를 희망하는 학과에 대한 요구조사 결과를 분석하고, 호주와 미국, 일본 등 해 외 전문대학의 신설학과 개설 동향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그 분석 결과들을 기초로 향후 국내 전문대학에 개설이 가능한 유망학과들을 분야와 계열별로 제시하였으며, 동시에 이러한 학과들을 개설하기 위해 고려해야 할 사항들과 학과 개설에 수반된 여러 문제점의 해결방안을 전공 개편방안으로서 제시하 였다.

본 연구는 크게 다섯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우선, Ⅱ장에서는 21세기 유망 직업 전망을 살펴보고 이 중 전문대학 학위자를 위한 유망직종을 살펴보았 다. 21세기 산업동향에 따른 직업전망은 첫째, 디지털 기술의 진보가 모든 분야에서의 혁신을 촉진할 것으로 예측되며 동시에 기반으로 한 제조업과 관련 서비스 분야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둘째, 지식사회의 도래로 지식 을 중심으로 한 산업이 발달하게 될 전망이며 셋째, 서로 다른 산업간의 융 합이 빠르게 진전되면서 이제까지와는 다른 모습의 기술과 산업 분야, 즉 신 기술을 사용하는 분야가 확장되게 된다. 이러한 신기술의 침투는 제조업 분 야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비스 분야를 포함한 다양한 종류의 산업에

(6)

서 이루어지고 있다. 마지막으로 21세기 산업동향의 특징으로 뽑을 수 있는 것은 급속한 경제 발달로 인하여 인간다운 삶과 환경・생명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이와 관련된 산업의 성장이 예상된다.

위의 유망산업 분야들에는 대부분 전문가 집단, 관리직, 기술공 및 준전문 가 집단의 직종에 집중되어 있으며 이들은 높은 숙련도를 요구하는 직종들 이다. 또한 교육훈련 수준에 따라 유망직종을 분석하였을 때 전문학사 학위 이상의 고학력을 요구하는 직종이 단일 교육훈련 요건에서 높은 빈도를 보 여주는데, 이는 지식사회로의 진입에 의해 전문가 집단의 성장과 함께 전문 가를 보조하는 직업집단(administrative support & technical support)의 급속 한 성장이 이뤄지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향후 취업자수 증가 면에서 가장 큰 공헌을 할 것으로 예측되는 두 집단은 전문가 집단과 서비 스 직종으로 숙련도 측면과 학력에 있어서 수요의 양극화 현상을 보여준다.

Ⅲ장에서는 전문대학의 교육적 특성을 분석하고, 전문대학에 대한 교육 수 요의 변화 요소를 살펴보았다. 여기서 살펴본 전문대학의 특성은 대체교육적 특성을 지닌 4년제 대학과 대비적인 측면에 중점을 둔 것이다. 상대적으로 전문대학은 직업교육을 목적으로 현장실무에 적응할 수 있는 능력배양과 현 장에서의 문제점 해결, 직무 수행시의 응용능력 개발 등에 교육 내용의 주안 점을 두고 있다. 전문대학의 이러한 특성에 따라 개설학과도 현장 실무에 직 결된 학과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론 중심의 학문적 특성이 최소화된 특정 의 기술 분야로 교육의 범위를 좁힘으로써 전공내의 특정 분야를 지향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향후 전문대학의 교육 수요는 전문대학 진학자와 대학 진학자의 비중이 모두 늘고 있어 고학력화 현상을 나타내고는 있지만, 일반계 고등학교 졸업 자의 전문대학 진학률은 20.4%에서 17.1%로 오히려 줄어들고 있고, 전문대의 주 수요자층인 실업계 고등학교 졸업자의 비중 또한 1981년 43.9%에서 2000 년에 이르러서는 38.1%로 감소하면서 전체 고등학교 졸업자의 전문대학 진 학률의 감소가 예상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전문대학 교육 수요 대상자의 감소에도 불구하고 앞서 살펴본 21세기 직업전망에 의하면 전문대학 교육

(7)

이수자에 대한 노동시장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음을 고려할 때, 향후 전문대 학 교육의 방향이 이러한 환경 변화를 고려하여 노동시장에 첫 진입하는 사 람들만이 아닌 다양한 대상들을 포용할 수 있는 방향으로의 전환이 필요하 다 할 수 있다.

Ⅳ장에서는 국내 전문대학이 희망하는 향후 신설학과에 대한 요구조사를 통해 각 대학이 향후 설치를 희망하는 유망학과에 관해 분석하였다. 설문조 사의 주요 내용은 각 대학의 주력 및 인기학과에 관한 사항 외에, 각 대학의 학생 모집 및 취업과 관련된 문제의 성격과 해결방안, 그리고 그들이 설치를 희망하는 학과에 관한 사항들을 포함하고 있다.

각 전문대학의 신설학과 설치 및 전공 개편과 관련 중요한 두 가지 요소 는 졸업생의 취업과 학생 모집에 관련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우선 전문대 학 졸업생의 취업이 그 대학이 터한 지역사회의 중소기업체에 집중되어 있 음을 고려할 때 지역사회의 주요 산업분야와 해당 전문대학의 전공 편성・

향후 산업분야와의 발전가능성과 이들의 주 취업처인 중소업체에서의 노동 시장의 특징에 대한 고려가 동시에 이루어져야 하며 둘째, 전문대학 학생모 집의 어려움이 학과 전반적인 사항이 아니라 특정 전공 및 학과의 문제로 나타나면서 전공 및 학과 편성의 중요성이 강조된다. 이와 관련하여 각 전문 대학은 향후 학생 모집 문제점의 주요 돌파구로 학생과 고용업체의 수요를 만족시킬 수 있는 세분화되고 전문화된 전공의 개설을 계획하고 있다. 한편 설문조사 결과에 나타난 전문대학의 전공 개편동향을 살펴볼 때 각 계열 안 에서 새로운 분야의 개발과 서로 다른 분야간의 융합을 통하여 이뤄지고 있 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조사에 나타난 각 대학의 설치 희망학과 및 유망학과 에 관한 분석 결과는 VI장에서 다시 국내 학과 개편의 방향이라는 제목 아 래 종합적으로 요약・제시되었다.

한편 IV장에 나타난 설문조사 결과는 Ⅱ장에 제시된 산업수요의 변화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음을 볼 수 있는데 우선 인기학과와 최근 개설된 학과 들의 경향, 그리고 각 계열 내에서 세부적으로 선호되고 있는 학과들을 살펴

(8)

보면 유망 산업분야와 대체로 일치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둘째, 각 계열별 로 제시된 주력학과 또는 인기학과들은 하나의 분야로 이뤄지기보다는 대부 분이 다른 분야와의 융합을 통해 이뤄져 있다. 셋째, 새로운 기술 및 새로운 분야가 모든 계열 인기학과와 신설학과를 구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즉 공업계열 분야로 알려진 디지털, 정보 및 컴퓨터 분야가 각 계열에 침투함으로써 21세기 산업 트렌드에서 제시되었던 신기술과 신분야가 각 분 야의 전공과 융합되어 나타나고 있는 현상을 보인다.

Ⅴ장에서는 외국 전문대학의 신설학과 동향을 살펴보았다. 이는 우리 나라 와 다른 직업교육제도를 가진 각 나라들이 어떻게 노동시장의 변화에 대응 하고 있는가를 살펴봄으로써 우리에게 어떠한 시사점을 제공하는가를 살펴 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외국 전문대학은 제도적으로 교육과정 편성에 관련 산업체가 관여함으로 써 사회경제적 변화에 따라 교육과정의 변화 또한 즉각적으로 이루어진다.

교육과정 또한 교육연한의 다양성과 개방형 평생 직업교육기관의 성격을 가 지고 있기 때문에 교육 시스템이 개방적이고 탄력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호주・미국・일본에서 신설되고 있는 과정들은 각국의 환경에 따라 세부적 으로 차이를 보이고는 있지만 사회적 수요에 대한 민감한 반응에 의한 고용 중심적 운영을 한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이들의 교과과정 개설은 앞으로의 산업동향과 함께 이에 대한 적절한 대응을 예시해 줄 수 있을 것이다. 외국 전문대학과 한국 전문대학의 인기・신설학과 등의 개설 추이는 대체로 일치 하는 경향을 보이지만, 호주의 항공 관련 학과나 미국의 포장학과와 같이 앞 으로 한국 산업동향과의 연관 속에서 적절한 예측의 문제와 함께 미국과 일 본이 정보・첨단산업 등의 실용적 학문 중심의 분위기에도 불구하고, 기초 인문사회과학 분야를 지속적으로 개설하고 있는 현상은 한국 전문대학에게 이 둘의 조화를 어떠한 방향으로 이끌어 가야 할 것인가에 관한 과제를 남 겨준다.

마지막으로, Ⅵ장에서는 각 장의 내용을 요약・정리하고 국내 전문대학의

(9)

학과 개설동향의 특성과 외국 전문대학 신설학과 경향을 재고찰한 후 이를 종합하여 향후 전공 개편방향을 제시하였다. 이 중 핵심이 되는 것은 향후 개설이 가능한 신설학과들에 관한 제안 부분이지만 전공 및 학과의 개설과 관련 고려해야 할 점과 문제점들을 담은 개편방안의 제시도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신설학과 개설과 관련 제시된 전공 개편방안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향후 전문대학의 기능과 대상을 다양화의 필요성이다. 전문대학이 향후 변화하는 환경에 적응하려면 전문대학은 노동시장으로의 이행기에 있 는 연령층뿐 아니라 초기교육을 이수한 성인 재교육기관으로서 다양한 연령 층과 집단을 수용할 수 있도록 기능 변화가 필요하다. 둘째, 학과과정의 재 편을 위해서 학교와 사회가 속한 특수한 교육환경과 사회경제적 배경을 고 려하지 않을 수 없으므로 국가적 지역적 다양성을 고려한 학과 개편이 이뤄 져야 한다는 점이다. 셋째, 새로운 학과 개설을 포함한 학과 개편에서 전공 분야에 대한 장단기적 수요를 동시에 고려해야 한다. 전문대학의 학과개편시 단기적 수요를 무시할 수는 없겠지만 장기적 수요의 고려를 배제한다면 노 동시장에 나간 졸업자가 이직과 경력형성에서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을 것이다. 넷째, 학과 개편에 있어서 각 학교별 특성을 고려한 학과 개편 계획 을 수립해야 한다. 각 대학의 특성과 처한 상황이 모두 상이하므로 각 대학 별로 대학의 중장기 발전계획이 수립되어야 하고 이에 근거한 학과의 개발 신설이나 개편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다섯째, 학과 개설 및 개편과 관련 된 재정 지원의 문제, 운영상의 문제, 그리고 노동시장의 수요 등 현실적 여 건을 고려한 학과 개편이 이뤄져야 한다. 사학이 90%를 이루는 특수한 여건 을 지닌 우리 나라 전문대학의 경우 학과의 개폐를 포함한 학과 개편은 재 정적인 문제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을 수 없다. 또한 이러한 재정상의 문제 는 학과개편과 관련된 전문대학의 인적・물적 자원의 운영상의 문제와 직결 된다. 이러한 현실적인 문제들의 성격을 기술하고 그들을 어떻게 해결해야 할 것인가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IV장의 마지막은 향후 신설학과에 관한 제안으로 이뤄져 있다. II-V장을 통해 얻어진 결과를 종합하여, 유망하고 개설을 고려해 볼 만한 학과들을 선

(10)

정하였고, 이렇게 선정된 학과들을 공업, 농수산, 간호보건, 가정, 사회실무, 예체능의 6개 계열로 나누고, 각 계열을 다시 유망 분야를 중심으로 세부분 야로 나눈 후 각 세부분야별로 해당하는 학과들을 제시하였다. 신설학과 제 안에서 중심이 되는 것은 계열보다 계열내의 세부분야이다. 이 세부 유망 분 야는 각 계열마다 중복적으로 포함되어져 있는 경우가 많아 계열보다 세부 분야를 참조하여 제안된 학과에 관한 자료를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11)

연구요약

I. 서 1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3

3. 연구의 제한점 및 한계 7

II. 21세기 유망직업 전망과 전문대학 학위자를 위한

유망 직종 9

1. 21세기 직업전망에 따른 유망직종 9

2. 전문대학 학위자를 위한 유망직종 32

Ⅲ. 전문대학의 교육적 특성 및 교육 수요 고찰 49

1. 전문대학의 교육적 특성 49

2. 전문대학의 취업 실태 및 문제점 66

3. 향후 전문대학의 교육 수요 전망 75

IV . 전문대학 유망학과에 대한 요구조사 85

1. 조사의 개요 85

2. 설문조사 결과 89

3. 요약 및 주요 시사점 110

(12)

Ⅴ. 외국 전문대학 신설학과 사례 분석 113

1. 서 론 113

2. 외국 전문대학 교육과정 변화의 사회경제적 배경 115

3. 외국 전문대학의 신설학과 사례 분석 119

4. 한국 전문대학에의 시사점 138

V I. 21세기 직업전망에 따른 전공 개편방안 143

1. 21세기 유망직업 전망의 시사점 143

2. 국내・외 학과 개편 동향 145

3. 전공 개편방안 및 신설학과 제안 156

참 고 문 헌 167

A BSTRA CT 173

부 표 175

부 록 183

(13)

표 차 례

<표 Ⅱ- 1> 21세기 주요 산업 트랜드와 특징 11

<표 Ⅱ- 2>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1999) 13

<표 Ⅱ- 3> 성장률로 본 유망산업 20종 14

<표 Ⅱ- 4> 유망산업 분야별 유망직종 17

<표 Ⅱ- 5> 산업별 취업자수 증가 및 증가율(대・중분류) (1998~2008) 20

<표 Ⅱ- 6> 직종별 취업자수 증가 및 증가율(대・중분류) (1998~2008) 24

<표 Ⅱ- 7> 직업(대분류)별 취업자수 추이 및 전망(1988~1998~2008) 28

<표 Ⅱ- 8> 미 노동부 통계청(BLS) 발표 유망직종 30 : 1998~2008 31

<표 Ⅱ- 9> 교육훈련수준별 직종 및 취업자수 분포 35

<표 Ⅱ-10> 성장률로 본 교육훈련수준별 유망직종(1996~2006) 37

<표 Ⅱ-11> 고성장, 고임금, 저실업률 기준으로 본 교육훈련수준별 유망직종 39

<표 Ⅱ-12> 교육수준(학력)별 경제활동인구 분포추이(한국) 41

<표 Ⅱ-13> 교육훈련수준별로 본 취업자수 성장전망(미국) :1996~2006 42

<표 Ⅱ-14> 교육훈련수준별로 본 취업자수 성장전망(미국) :1998~2008 42

<표 Ⅱ-15> 21세기 유망직업 50종 (고성장, 고소득, 저실업률 기준) 45

<표 Ⅱ-16> 전문학사 학위소지자를 위한 유망직종 (1999~2000) 47

<표 Ⅱ-17> 연령집단별・기준별 전문학사 학위소지자를 위한 유망직종 48

<표 Ⅲ- 1> 전문대학의 역사와 변천과정 51

<표 Ⅲ- 2> 설립별 전문대학수 및 학생정원(2001학년도) 52

<표 Ⅲ- 3> 4년제 대학과의 주요 교육적 특성 비교 54

<표 Ⅲ- 4> 전문대학과 4년제 대학과의 교육과정 비교 56

<표 Ⅲ- 5> 계열별 개설학과수 분석 58

<표 Ⅲ- 6> 계열별 학생정원 분석(입학정원 기준) 60

<표 Ⅲ- 7> 전문대학의 계열별 교사 기준면적 61

<표 Ⅲ- 8> 전문대학의 계열별 교지 기준면적 61

<표 Ⅲ- 9> 전문대학 교원산출 기준 62

(14)

<표 Ⅲ-10> 실험 실습설비 계열별 기준단가 63

<표 Ⅲ-11> 실험 실습비 계열별 교육비 계수 63

<표 Ⅲ-12> 특정 기술분야의 학과명칭 사례 65

<표 Ⅲ-13> 전문대학 졸업생의 연도별 취업률 66

<표 Ⅲ-14> 전문대학의 계열별 취업률 67

<표 Ⅲ-15> 전문대학의 취업률 상위학과 현황 68

<표 Ⅲ-16> 전문대학 졸업생의 취업 산업체 규모 69

<표 Ⅲ-17> 산업체 규모별 취업현황 69

<표 Ⅲ-18> 전문대학 졸업자의 전공분야별 취업인원 현황 70

<표 Ⅲ-19> 졸업생 취업 산업체의 성격 - 전공과의 관련성 70

<표 Ⅲ-20> 우리 나라의 학력별 임금 격차 71

<표 Ⅲ-21> 기업의 전문대학 졸업자에 대한 인사제도상의 대우정도 72

<표 Ⅲ-22> 전문대학과 대학의 전공별 입학생 분포 (2000년) 75

<표 Ⅲ-23> 최근 5년간 전문대학 및 대학 입학자의 전공분포 추이 77

<표 Ⅲ-24> 고교 졸업자의 진로 현황 (1996~2000) 79

<표 Ⅲ-25> 일반계 및 실업고 졸업예정자 추이(1981~2000) 81

<표 Ⅲ-26> 일반계 및 실업계 졸업자수 전망(2000~2010) 82

<표 Ⅲ-27> 입학정원 및 주야간 비중변화 83

<표 Ⅳ- 1> 설문 응답자의 소속부서 89

<표 Ⅳ- 2> 설문조사 응답자 직위 90

<표 Ⅳ- 3> 기관 유형 91

<표 Ⅳ- 4> 대학별 소재지 분포 91

<표 IV- 5> 전문대학 및 학생정원의 지역별 분포 92

<표 Ⅳ- 6> 전국 전문대학 개설학과의 계열 분포 93

<표 Ⅳ- 7> 전문대학의 주력계열 및 인기계열과 학과 분포 95

<표 Ⅳ- 8> 대학별 지역사회의 규모 98

<표 Ⅳ- 9> 졸업생 고용업체의 규모 99

<표 Ⅳ-10> 전문대학 인접 지역 사회의 주요 산업분야 100

<표 Ⅳ-11> 졸업생 취업업체의 전공과의 관련성 100

<표 Ⅳ-12> 졸업생 주요 취업업체의 거리 및 규모 101

<표 Ⅳ-13> 학생모집 현황 102

(15)

<표 Ⅳ-14> 학생모집 관련 문제점의 특성 103

<표 Ⅳ-15> 학생모집 문제점의 주요 원인 103

<표 Ⅳ-16> 학생모집 문제의 해결방안 104

<표 Ⅳ-17> 신설・설치 희망・확대 및 축소 희망 학과의 계열별 분포 106

<표 Ⅳ-18> 학과의 개설을 희망하는 이유 108

<표 Ⅴ- 1> 미국의 성장직업 25선 118

<표 Ⅴ- 2> NSW주 TAFE의 학과 계열 121

<표 Ⅴ- 3> 2001년도 TAFE 신설학과(Course) 123

<표 Ⅴ- 4> 시드니 기술전문대학의 신설학과 및 교육과정 125

<표 Ⅴ- 5> Lansin g Community College의 신설 및 유망학과 128

<표 Ⅴ- 6> Austin Community College의 신설 및 유망학과 129

<표 Ⅴ- 7> kin gsborou gh community college의 신설 및 유망학과 130

<표 Ⅴ- 8> Cabrillo Community College의 신설 및 유망학과 130

<표 Ⅵ- 1> 계열-세부 분야별 국내 인기・신설 및 설치 희망학과 148

<표 Ⅵ- 2> 분야별 해외 신설학과 및 유망학과(호주・미국・일본) 152

<표 Ⅵ- 3> 전문대학 전공 개설을 위한 향후 신설학과(안) 164

(16)

I. 서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고등직업교육기관으로서의 전문대학은 1990년대 이후 정부의 행・재정적 지원에 힘입어 양적 성장을 거듭하여 왔다. 이러한 양적 성장과 함께 90년대 후반에 들어서면서 전문대학은 노동시장의 변화를 교육과정에 반영하는 과 제와 대학정원의 자율화와 입학대상 인원의 감소의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과제를 안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이제 전문대학은 21세 기의 교육환경과 경제・사회적 변화에 맞춰 스스로를 갱신하고 개선해 나갈 필요에 접하고 있다.

기술 변화와 사회구조의 변화에 따라 산업의 구조와 내용이 빠르게 변화 할수록 교육은 이에 맞춰 교육의 내용과 함께 교육과정을 바꾸어 나갈 필요 에 직면하게 된다. 특히 학교에서 일로의 이행이 이뤄지는 단계의 교육을 담 당하는 직업교육기관의 경우 이러한 직업세계의 변화를 교육과정과 전공편 성에 반영하는 것은 더욱 더 중요하다. 고등교육기관인 동시에 직업교육기관 으로서 전문대학은 교육의 일차적 수혜자인 학생들이 졸업 후 노동시장으로 무난히 진입할 수 있도록 노동시장이 요구하는 기술과 능력을 배양시키는 임무를 담당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들 전문대학 교육 이수자의 졸업 후 취 업과 직업이동 여부는 전문대학 교육의 성과를 측정하는 중요한 척도가 된 다. 또한 고등교육기관으로서 전문대학은 교육이수자의 졸업 직후 직장으로 의 단기적인 이행을 고려할 뿐 아니라 졸업 후 이직을 포함한 장기적인 진 로까지를 포함시켜 교육과정을 변화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전문대학이 이와 같이 교육수요자의 장단기적 수요를 충족시키려면 향후 노동시장의 동향과 교육환경의 변화를 예측하고 이에 대비해 나가야 할 것 이다. 본 연구를 추진하게 된 배경으로는 다음과 같은 사회경제적 및 교육적 환경의 변화를 들 수 있다.

(17)

첫째, 21세기 기술의 발달과 사회구조의 변화로 인한 사회경제적 환경의 변화를 들 수 있다. 신기술이 발달하고 사회의 수요가 변화하면서 산업구조 및 직업구조의 변화 등 노동시장의 전반적 변화가 일어나게 되었다. 노동시 장은 항상 변화와 변천을 거쳐왔지만 신기술의 발달과 지식정보화 등 신산 업 분야의 등장으로 최근의 노동시장은 직업혁명(Job Revolution)이라는 표 현이 어울릴 만큼 커다란 변화를 겪고 있다. 따라서 직업교육기관으로서 전 문대학은 어떠한 교육기관보다도 이러한 변화를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이를 교육과정에 장단기적으로 반영해야 할 필요성에 접하게 되었다.

둘째, 최근 전문대학의 교육환경 변화를 들 수 있다. 교육환경의 여러 변 화 중 중요한 것으로 최근 대학정원의 자율화와 실고 졸업생의 감소 등 전 문대학 교육대상의 감소를 들 수 있다. 우선 대학정원의 자율화와 전문대학 설립의 자유화는 제도적인 변화로서 선진국의 경향에 맞추어 대학의 정원을 자율화하고 전문대학 설립을 자유화하여 고등교육을 자유경쟁 하에 두겠다 는 것이 최근 정부의 방침이다. 또한 실고 졸업생과 고등학교 졸업자의 감소 등 전문대학 교육대상의 감소를 들 수 있다. 전문대학 교육의 수요자인 고등 학교 학생과 특히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수가 감소하면서 전문대학의 교육은 보다 다양한 교육수요자를 대상으로 그 교육의 내용과 범위를 변화시켜 나 갈 필요에 직면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교육환경의 변화는 전문대학이 향후 어떠한 방향으로 교육을 이끌어가야 할 것인가에 대해 중요한 영향을 미친 다고 볼 수 있다.

이상의 사회경제적 환경과 교육환경의 변화로 전문대학의 교육은 이제 중 요한 전환점을 맞게 되었다. 한편 전문대학이 이와 같은 환경변화에 대처하 려면 전문대학 스스로 변화하려는 노력도 필요하지만 정부의 행정적・재정 적 지원도 필요하다. 전문대학은 이와 같은 환경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무엇 보다 교육 대상자의 수요를 파악하여 이를 교과과정에 반영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게 되었다.

전문대학이 이러한 경제사회적 그리고 교육적 환경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 응하려면 여러 가지 사회의 제도적 지원도 필요하겠지만 전문대학이 환경의 변화에 대처할 수 있도록 새로운 학과들을 발굴하여 개설하고 현실적 여건

(18)

에 맞는 프로그램을 개발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새로운 학과들을 개 설하자면 동시에 기존의 학과와 전공과정들을 어떻게 개편해 나갈 것인가에 대한 방안이 필요할 것이다. 이러한 전공과정의 개편과정에서 때로는 기존의 학과들을 재구성하여 새로운 학과와 전공과정을 개설해 나가는 것도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전문대학의 요구에 초점을 두고 전문대학이 이상에서 언급한 경제・사회적 그리고 교육적 환경변화에 대응하여 향후 어떠한 학과 들을 개설해 나가는 것이 가능하고 필요한가를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 다. 그리고 이와 같은 환경변화에 대처하여 학과들을 개설해 나가는데 있어 서 함께 해결해야 할 문제들과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전공개편 방안으로 제 시하였다.

이 연구의 일차적 목적은 경제사회적 환경변화와 노동시장의 변화를 고려 하여 각 대학에 설치하는 것이 유리한 학과들을 계열별로 제시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새로운 전공을 개설하기 위해서는 주변의 학 과나 전공의 개편 등 전체적 교육과정의 재편성이 수반되므로 본 연구의 제 목을 전공개편 방안 으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 제시된 전공개편 방안의 참 고는 이러한 맥락 속에 이뤄질 필요가 있을 것이다.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가. 연구의 내용

본 연구는 전문대학이 향후 개설할 학과들을 도출하기 위한 과정으로서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쳤다. 첫째 21세기 국내외 직업전망결과를 분석하여 이 결과가 전문대학 이수자의 직업전망에 갖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둘째, 전문대학의 전반적인 교육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셋째, 전국의 전문대학 실 무자를 대상으로 향후 설치를 희망하는 유망학과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 였다. 넷째, 외국의 전문대학의 신설 및 유망학과 설치 사례를 분석하였다.

(19)

마지막으로 앞의 결과들을 종합하여 전문대학의 향후 신설학과를 제안하고 신설학과 개설과 관련된 전공개편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상의 내용들을 각 장별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II장에서는 21세기 유망직업 전망을 살펴보고 그 중 전문대학 학위자 를 위한 유망직종을 살펴보았다. 유망산업과 유망직업과의 유관성으로 인해 먼저 유망산업분야를 살펴보고 그 밖에 국내외 직업전망에 의한 유망산업분 야와 유망직업분야를 살펴보았다. 이러한 유망직업분야의 관찰을 통해 드러 난 것 중 하나는 유망직종과 그 직종의 교육훈련요건(자격요건)과의 유관성 이고, 또 하나는 교육훈련수준 중에 전문대학 학위자를 위한 유망직종의 증 가이다. 따라서 교육훈련수준과 유망직종의 관계를 살펴보고, 최근에 노동시 장에서 전문대학 학위자를 위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현상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유망직종에 관한 전망 중에서 특히 전문대학 학위자를 필요로 하는 직종들에 대해 알아보고 그 특징을 살펴보았다.

III장에서는 전문대학의 교육적인 특성을 분석하고 전문대학에 대한 교육 적 수요의 변화요소를 살펴보았다. 전문대학의 교육적 특성에서는 전문대학 의 주요 교육적 특성 즉 학습목표, 교육과정 편성, 강의 구성 및 시설 설비 상의 특성을 살펴보고 이를 4년제 대학의 특성들과 비교하였다. 또한 전문대 학의 계열별 특성을 계열별 학과구성과 계열별 운영상의 특성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밖에도 전문대학의 취업실태와 현황을 분석하고 전문대학 취 업의 주요문제점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향후 전문대학의 교육수요 전망 을 살펴보았다. 전문대학과 대학의 전공분포의 특성을 비교하고, 향후 전문 대학에 대한 교육수요에 관한 전망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살펴보았다.

앞에서 살펴본 노동시장의 변화 외에 최근 고졸자의 고등교육기관 진학추이, 향후 고등학교 졸업인원의 감소, 실고 인원의 감소 등 향후 전문대학에 대한 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살펴보았다.

IV장에서는 국내 전문대학의 신설학과에 대한 요구조사를 실시하였다. 전 국 전문대학을 대상으로 각 대학이 향후 설치를 희망하는 학과와 계열에 대 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의 내용은 각 대학의 소재지와 규모 등 일반적인 사항에 관한 문항, 각 대학 졸업생의 주요 취업업체, 졸업생의 취업업체의

(20)

성격과 규모, 대학이 속한 지역사회의 규모 등 졸업생의 취업과 관련된 사항 에 관한 문항, 각 대학이 지닌 학생모집과 관련된 문제점의 성격과 해결방안 에 관한 문항, 그리고 본 조사의 중심을 이루는 각 대학이 설치를 희망하는 학과에 대한 요구조사부분으로 나누어진다. 이중 향후 희망설치학과에 관한 요구조사 부분은 다시 각 대학의 주력학과 및 계열과 인기학과 및 계열에 관한 문항, 각 대학이 최근 2~3년간 신설한 학과들 및 소속계열, 그리고 각 대학의 직업전망 등 여러 가지 요소를 고려하여 향후 개설을 희망하는 학과 들 및 소속계열에 관한 조사로 나눠진다. 이밖에도 각 대학이 향후 증원 또 는 축소를 희망하는 학과와 계열에 대해서도 함께 조사하였다. 이와 같은 조 사결과는 국내 전문대학들이 현재 어떠한 학과에 주력하고 있으며, 어떠한 학과들이 세칭 인기학과로 인식되고 있는지 그리고 이들의 최근 신설학과 개설동향과 향후 어떠한 방향으로 학과를 개설하고 전공을 개편해 나갈지에 관한 중요한 자료를 제공해 준다.

V장에서는 외국 전문대학의 신설학과 동향을 살펴보았다. 사실 앞에서 살 펴본 유망직업 전망은 외국의 직업 전망결과가 주로 뒷받침이 된 것이다. 이 러한 직업전망에 터하여 외국의 전문대학들은 어떠한 학과들을 개설하고 어 떠한 방향으로 교육과정을 편성하고 있는지에 대해 호주, 미국, 일본 등 주 요선진국 전문대학들의 사례를 통해 살펴보았다. 외국의 유망직업에 관한 전 망결과는 해당국뿐 아니라 국내 전문대학의 인기학과와 신설학과 개설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분석결과에서도 드러나고 있다. 따라서 우리 나라와 다른 직업교육제도를 가진 각 나라들이 어떻게 직업세계의 변화에 대응하고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특히 전문대학의 교육과정 편성에 있어서 관련 산업체 의 관여도가 높고, 교육과정의 운영이 상대적으로 개방적이고 탄력적인 이들 국가에서 전문대학이 산업구조의 변화에 대응하여 어떻게 교육과정을 편성 해 나가는가는 우리에게 중요한 시사점을 준다고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VI장에서는 이상에서 살펴본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전문대학이 향후 개설해 나가는 것이 유리하고 가능한 학과들을 제시하고 관련된 사항을 전공개편 방안으로 제시하였다. 이 전공개편 방안의 중심은 앞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새로운 학과 개설에 참고가 될 각 계열별 유망분

(21)

야와 유망학과에 관한 자료의 제안이다. 그러나 이와 함께 새로운 학과의 개 설과 관련된 여러 문제점들과 함께 고려돼야 할 사항들, 그리고 학과개설에 부수되는 전공개편과 관련된 사항들을 함께 묶어 전공개편 방안으로서 제시 하였다.

나. 연구의 방법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문헌분석과, 국내외 통계자료의 수집, 면접조사, 설문조사, 해외사례조사를 거쳤으며 또한 연구결과에 대해 전문가 협의회를 통한 의견수렴의 과정을 거쳤다.

우선 국내외 통계자료를 수집하고 문헌을 분석하였다. 21세기 직업전망 자 료를 분석하기 위해 해외 유망직업자료 특히 전문대학 학위자를 위한 유망 직종 등의 자료를 분석하여 참고하였다. 마찬가지로 국내 유망직업 및 산업 전망에 관한 자료와 직업전망 자료 및 통계자료를 분석 정리하였다. 이밖에 도 전문대학의 교육환경 변화와 관련 교육통계연보와 한국전문대학협의회 자료 등 통계자료를 참고로 하였다.

둘째로, 전문대학이 향후 설치를 희망하는 학과에 대한 요구조사를 위해 전국 158개 전문대학을 중심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108개의 전문대학 이 응답한 이 조사에서는 각 대학의 주력계열 및 학과, 각 대학의 인기계열 및 학과 등에 관한 사항과, 각 학교의 졸업생 취업 및 입학생 모집과 관련된 문제점에 관한 사항, 그리고 각 대학이 향후 설치를 희망하는 학과 등에 관 한 사항이 주요문항으로 포함되었다.

셋째, 해외 전문대학의 전공개편 동향과 관련된 외국사례를 조사하기 위해 관련문헌분석과 함께 방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호주, 미국, 일본의 전문대학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기 위해 문헌분석을 하는 한편 특히 호주의 경우는 현지 방문조사와 면담을 통해 신설학과 사례를 조사하였다.

넷째, 전문대학 교육현장의 의견을 반영하기 위해 관련 실무자와의 면담조 사를 실시하였다. 각 대학에 대한 요구조사를 실시하기에 앞서 2차례의 출장

(22)

였다.

마지막으로, 전문대학 관계자와 전문가를 통해 연구결과에 관한 의견수렴 의 기회를 마련하였다. 연구과정에서도 관련 전문가와 관계자의 자문을 거쳤 으나 특히 연구결과에 대한 관계자 및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여 그 결과를 연구에 반영하였다.

3. 연구의 제한점 및 한계

여기서는 본 연구결과를 참고함에 있어 몇 가지 고려해야 할 사항을 제시 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의 범위 내지 목적과 관련된 것으로서 본 연구에서 중점을 둔 것은 향후 노동시장의 직업전망과 관련하여, 전문대학이 앞으로 개설하는 것이 가능하고 개설하는 것이 유망한 학과들의 제시이다. 그리고 향후 전문 대학의 신설학과 개설과 관련 고려해야 할 사항과 문제점을 함께 전공개편 방안으로 묶어 부수적으로 제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제목에 제시된 전 공개편 방안 은 이러한 맥락에서 이해돼야 할 것이다. 연구의 제목에 충실하 자면 전문대학의 전공개편과 관련된 모든 세부적 사항들을 전부 취급해야 하겠지만 본 연구에서는 앞 연구의 목적부분에서 언급한바와 같이 전문대학 의 향후 신설학과 제시와 관련된 전공개편 방안의 제시로 연구의 범위를 제 한하였다.

둘째, 본 연구에서 자주 사용된 유망학과, 인기학과 등의 용어와 관련된 것으로 무엇이 유망 한가 또는 무엇이 인기 인가는 보는 사람의 입장과 시 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사용된 유망학과 , 인기학 과 는 그 용어가 쓰인 맥락에 한정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유망학과 라 는 용어와 관련 본 연구에서는 각 전문대학의 해당부서 관계자가 향후 설치 를 희망하는 학과를 유망학과 로 제시하였으며, 여기서 중심이 된 것은 전문 대학 실무자의 입장에서 본 유망 학과이다.

셋째, 본 연구의 제한점의 하나는 전문대학 교육의 주요 수요자인 산업체

(23)

의 요구를 직접적으로 반영하지 못했다는 점이다. 본 연구가 산업체의 수요 를 직접적으로 반영하지 못한 것은 첫째 연구기간의 제한상의 이유도 있으 나 실제로 산업체를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할 경우라도 개별 학과에 대한 수 요를 구체적으로 추정해내기 힘든 것도 큰 이유를 차지한다. 또한 단기적인 직업수요에 대한 자료는 그 분야가 제한되어 있어 포괄적으로 향후 학과설 치를 다루는 본 연구에서 활용하기에는 적합치 않은 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거시적인 직업전망자료를 통해 산업체의 수요를 반영하는데 그 분석을 제한하였다.1)

마지막으로 전공개편 방안으로 제시된 자료에 관해 언급하고자 한다. 전공 개편 방안에 제시된 향후 신설학과들의 경우 기존에 접할 수 있는 학과들과 새로운 학과들이 함께 제시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이는 각 대학들이 각자 처한 형편에 따라 새로운 전공과정을 개설하거나 기존의 전공과정을 폐지 또는 변경하고자 할 때 참고로 할 수 있는 자료로서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따라서 이 자료는 그러한 범위에서 활용되어져야 할 것이다.

전체적으로 볼 때 21세기 직업세계의 변화는 너무도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고 그 변화를 전체적으로 수용하기에 개개의 전문대학은 단일 교육기관으 로서 일정부분 한계를 지니고 있다. 다만 각 대학이 전문대학 수준에서 이러 한 변화를 어디까지 수용할 수 있는가 하는 문제를 해결하려면 전문대학이 노동시장의 흐름을 읽는 것 못지 않게 전문대학이 처한 여러 가지 여건과 제도적 한계를 고려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1 한편 본 연구결과에서는 이러한 거시적 직업전망결과와 국내외 인기 및 유망학과들이

(24)

II. 21세기 유망직업 전망과 전문대 학위자를 위한 유망직종

1. 21세기 직업전망에 따른 유망직종 가. 21세기 유망산업 동향

1) 21세기 유망산업의 특성

유망직업을 논하기에 앞서 21세기의 유망산업을 이야기하지 않을 수 없는 이유는 바로 유망산업과 유망직종과의 관계 때문이다. 개인의 능력개발에서 중심이 되는 것은 직업이지만 이 직업에 대한 수요는 산업에 대한 수요에서 발생하는 파생수요이다. 따라서 여기서는 21세기 산업이 어떠한 방향으로 변 화할 것인가를 먼저 살펴보고자 한다.

21세기 산업의 흐름은 크게 제조업 분야의 고용감소와 서비스관련 분야의 고용증가로 요약될 수 있다. 이러한 산업 추이는 다시 산업 내에서 보다 세 분화된 산업분야간의 발달속도에 따라 다른 양상을 띠게 된다. 우선 서비스 관련 산업을 살펴보면 도소매 및 숙박 음식점업은 판매업체의 대형화 추세 와 함께 고용증가가 예상되는 분야이고, 운수 창고 통신업종의 경우 특히 항 공운송업과 지하철 관련직종의 고용증가가 예상된다. 또한 금융 및 보험업의 경우 일렉트로닉 뱅킹, 전자 화폐의 등장 등 은행업계의 구조조정 등으로 단 순 수신업무 종사자의 고용은 감소하나, 개방경제의 진전, 금융시장의 개방 등으로 외환 딜러 및 증권중개인 등의 고용은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부동산 관련업은 중개나 개발에서 발전의 여지가 많아 취업이 증가할 것으 로 예상되며, 정보처리 및 컴퓨터관련 산업은 앞으로 대폭적 산업비중의 증 가와 함께 고용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정보통신과 유전공학 등 첨단기술의 발달로 관련기술을 사용하는 IT

(25)

(정보통신)관련 산업과 BT(생명공학)관련 산업의 발달이 두드러지고 있다. 이 들 산업분야의 발달은 관련 첨단기술의 발달뿐 아니라 사회가 복잡하고 다 양해지면서 사람들의 신속하고 풍부한 정보에 대한 요구가 증대하고 건강에 대한 관심의 증가 등 수요측면의 영향을 많이 받고 있다. 특히 인구의 노령 화와 함께 국민의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의료보건산업의 발달은 우리 나라 뿐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21세기 산업의 두드러진 추세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의료보건산업의 발달은 관련기술의 진보와 함께 더욱 빠르게 이뤄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IT, BT 등 첨단기술분야의 성장은 반드시 그만큼의 대규모 고용 증대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첨단기술 분야의 경우 새로운 분야가 많고 따라서 그 산업의 중요성에 비해 고용규모 자체가 아직 크지 않기 때 문에 많은 인원을 필요로 하기보다는 필요한 고도의 기술을 습득한 사람을 요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첨단산업 분야의 성장은 일반적으로 눈 에 띄는 고용증대로 나타나기보다는 관련직종에 종사하는 사람의 고소득 형 태로 나타나고 있다.

한편 비슷한 숙련수준의 직종 내에서도 개별직종에 따라 전망추이가 다르 게 나타난다. 일반적으로 저숙련 직종에 대한 수요는 감소하지만 저숙련 직 종 내에서도 생산사무원과 같은 단순노무직이나 전화교환원과 같은 단순 조 작원에 대한 수요는 기계화의 진전에 따라 감소되나 건물차량청소원, 보안서 비스직, 비서와 같은 특정영역 종사자의 수요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 다. (노동부, 1999)

(26)

<표 Ⅱ-1> 21세기 주요 산업 트랜드와 특징

트랜드

1. 디지털 정보산업의 고성장

・디지털 기술의 진보가 모든 분야의 혁신을 촉진

・디지털 정보화를 기반으로 한 제조 및 서비스업의 고성장 예상

・정보통신서비스, 인터넷 비즈니스, 파생금융 등 관련서비스 분야 확대

2. 지식산업시대의 도래와 서비스산업의 부상

・지식이 가장 중요한 생산요소로 인식

・지식산업에 종사하는 기업일수록 시장가치가 높음

・제조업 내 첨단기술 및 지식산업의 비중 증가(38.5% 49.5%)

・제조업의 개념이 제품과 서비스의 복합가치 제공으로 변화

3. 산업간 융합화 진전과 신기술 및 신산업의 확산

・혁신의 가속화와 범산업적 확산 및 산업간 융합화 (예: 기계+전자=메카트로닉스)

・신기술의 각 산업별 침투는 기존 산업의 혁신과 함께 국내 업계의 우위요소를 붕괴시킴

4. 신제품 개발력과 마케팅 력이 기업경쟁 우위

・욕구의 다양화와 유연 생산체계의 확산으로 제품개발력 및 마케팅력이 강조

・스포츠 마케팅의 역할 강화, 인터넷 유통이 강조

5. 환경과 생명존중이 산업발전의 화두

・생명현상 등 인간자체가 주된 연구테마가 될 예정

・환경 친화적, 인간다운 삶은 체험할 수 있는 감상적 가치추구

자료: 삼성경제연구소(2000)

<표 Ⅱ-1>은 삼성경제연구소가 발표한 21세기 산업 트랜드의 주요 특징을 정리한 것으로서 21세기의 산업동향을 잘 대변해 주고 있다. 그 핵심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디지털 기술의 지속적 발달과 진보가 결국 모든 분야에서의 혁신을 촉진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즉 디지털 정보화를 기반으로 한 제조업과 서 비스업이 성장할 전망이고 이와 함께 정보통신서비스, 인터넷 비즈니스, 파 생금융 등 관련 서비스 분야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둘째, 지식기반산업의 도래로 지식을 중심으로 한 산업이 발달하게 될 전 망이다. 즉 지식이 중요한 생산요소로 인식되면서 지식산업에 종사하는 기업 의 시장가치가 증가하고, 제조업 내에서도 첨단기술의 비중이 높아지며, 제

(27)

조업의 개념이 제품과 서비스의 복합가치를 제공하는 산업으로 변화하게 된 다.

셋째, 서로 다른 산업간의 융합화가 빠르게 진전되면서 이제까지와는 다른 모습의 기술과 산업분야 즉 신기술을 사용하는 신산업분야가 확장되게 된다.

이러한 산업간 융합화 현상의 예로 제조업 내에서 기계와 전자를 융합한 메 카트로닉스와 같은 신분야의 탄생을 들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신기술의 침투 는 제조업 분야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비스분야를 포함한 다양한 종 류의 산업에 신기술이 침투하여 다양한 산업분야의 탄생이 이뤄지게 될 것 이다. 그리고 이러한 신기술의 각 산업별 침투는 기존의 산업에 기술 혁신을 불러옴과 동시에 관련기술을 사용하는 업체의 경쟁우위를 보장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21세기 산업동향의 특징으로 뽑을 수 있는 것이 환경과 생명 존중이다. 급속한 경제발달과 자원의 남용으로 환경이 피폐해진 반면 먹는 문제 가 해결되면서 인간다운 삶을 추구하고자 하는 욕구가 늘어나고 또한 환경과 생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관련산업의 성장 또한 높아지게 된 다.

이상에서 살펴본 산업동향은 아직은 우리가 어디서나 접할 수 있는 현실 은 아니다. 그보다 이는 전세계적인 동향인 동시에 각 나라별로 단계적으로 서로 다른 발전단계에 있는 산업발전의 방향을 제시해 준다고 볼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산업동향은 최근 우리 나라에서 첨단기술을 사용하거나 관련산 업분야들로 구성된 벤처기업 설립현황을 통해서도 엿볼 수 있다. <표 Ⅱ-2>

는 1999년 현재 우리 나라에 설립돼 있는 벤처기업들을 업종별로 분류한 것 이다. 이들 벤처기업 창업분야를 분야별로 살펴보면 정보처리 및 컴퓨터 부 분이 전체의 26.6%, 숫자상으로는 1,820개 업체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고, 기계제조업, 전기 기기 및 장치제조업, 영상 및 통신장비 제조업 등의 비중 또한 높게 나타나며, 의료정밀 광학기기의 비중도 4.75%로 비교적 높게 나타나고 있다. 이들 벤처기업의 설립동향을 통해서도 디지털과 정보관련 산 업의 발달, 산업간 융합현상, 의료보건산업의 발달 등도 눈에 띄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28)

<표 Ⅱ-2>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1999)

(단위 : 개,%)

업종 코드 벤처기업수 (비율)

6,838 ( 100)

11 농수임어업 19 ( .28)

12 광업 7 ( .10)

21 음료식품, 섬유, 목재, 인쇄 336 ( 4.91)

22 석유화학 492 ( 7.20)

23 비금속 및 금속제품 제조업 578 ( 8.45)

24 기계제조업 951 (13.91)

25 전기기기 및 장치제조업 870 (12.72)

26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740 (10.82)

27 의료, 정밀, 광학기기 325 ( 4.75)

28 자동차 기타 128 ( 1.87)

29 가구 및 기타제조업 277 ( 4.05)

31 전기가스 및 수도사업 13 ( .19)

32 건설업 87 ( 1.27)

33 운수창고업, 통신업 16 ( .23)

34 정보처리 및 컴퓨터 1,820 (26.62)

35 연구 개발업 및 기타서비스업 114 ( 1.67)

36 교육보건 및 기타 공공서비스업 24 ( .35)

37 도소매 및 소비자용품 수리업 37 ( .54)

38 호텔업, 여행사업 4 ( .07)

자료: 중소기업청(1999), 『벤처기업에 관한 실태조사 결과 분석』

2) 21세기 유망산업 분야

이상에서 살펴본 산업동향은 향후 어떤 분야가 다른 분야보다 보다 높은 성장을 보일 것인가를 가늠케 해 준다. 이와 같은 산업동향을 보다 구체적으 로 파악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사회경제적 요소들을 고려하여 향후 산업

(29)

성장률을 예측하고 이를 비교해 볼 필요가 있다. <표 Ⅱ-3>에는 미국 BLS가 발표한 1996~2006년 기간 동안 성장률이 가장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20개의 세부 업종분야가 참조기간동안의 성장률 순위로 제시되어 있다. 이들 업종의 산업분야를 순위별로 살펴보면 1위가 컴퓨터 및 데이터처리 서비스업으로서 컴퓨터 및 인터넷 분야이고, 2위에서 4위까지는 의료보건 분야, 5위는 경영 및 PR로 재정 경영분야 등이다. 이 표에 나타난 산업들을 보면 제조업 부문 보다 서비스업 부문 쪽에 속하는 업종들이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표 Ⅱ-3> 성장률로 본 유망산업 20종

순위 1996~2006 성장률 (%)

1 컴퓨터 및 데이터처리 서비스 108

2 가정건강보건 서비스 90

3 자동차 서비스(수리제외) 80

4 물 공급 및 위생서비스 66

5 경영 및 PR 60

6 생활 보건 59

7 화물수송 56

8 대인공급서비스 53

9 개인 및 잡무봉사 50

10 내과의사 사무원(정골요법가 포함) 46

11 의료서비스 및 의료보험 40

12 스쿨버스 38

13 공공 보관 38

14 간호 및 대인보건 37

15 안전 및 편의 중개인 36

16 프로듀서, 오케스트라, 엔터테이너 35

17 치과의사 임상 34

18 저당 브로커 34

19 동화상 생산 및 배포 33

20 여객운송업 30

자료: J. Michael Farr(1998), 『America' s Fastest Growing Jobs』에서 정리

(30)

3) 유망직종과 유망산업의 연관성

위에서는 주로 유망산업 분야를 살펴보았다. 그러나 실제로 유망직업과 유 망산업간에는 유기적 관계가 존재한다. 따라서 유망산업을 논하지 않고 유망 직업을 논할 수가 없다. 예를 들어 직업이 전문가라 하더라도 어떤 분야의 전문가인가에 따라 유망의 정도가 달라질 수 있으며 같은 의사라도 어떤 분 야의 의사인가에 따라 소득수준과 직업수요에 차이가 날 수 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자신의 직업과 진로를 선택할 때 일반적으로 직업 쪽에만 관심을 기울이지만 어떤 산업분야를 선택하느냐에 따라 직업의 전망과 소득수준이 달라질 수 있다는 사실을 간과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직업을 선택할 때 직업뿐 아니라 산업분야에도 관심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 즉 무엇 이 되느냐 에만 관심을 가질 것이 아니라 어느 분야 에서 일하느냐가 소득이나 직업 만족도와 같은 주요 직업선택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임을 기억 해야 한다.

<표 Ⅱ-4>에는 미국 BLS의 산업 및 직업전망에 의한 유망직종이 유망산업 분야별로 정리되어 있다. 이 표에 나타난 유망산업분야를 보면 의료 및 보건 분야, 컴퓨터와 인터넷분야, 과학 및 공학분야, 재정 및 경영분야, 교육・법 률 및 정부 부문, 대중매체・예술 및 오락분야, 여행 및 숙박분야, 대인서비 스 및 운송분야 등 8개의 산업분야로 구성돼 있다. 이중 의료보건분야와 컴 퓨터 및 인터넷 분야는 앞에서도 지적한 바와 같이 21세기 유망산업 중 두 드러진 성장이 예상되는 대표적 분야이다. 이중 의료보건분야의 유망직종을 보면 치과의사, 내과의사와 같이 전문대학원(first professional degree) 자격 증을 이수해야 하는 직종이 있는 반면, 치위생사, 의료보조원, 등록간호사, 간호보조원, 호흡치료사 등과 같이 전문학사학위(associate degree)를 필요로 하는 직종도 다수 포함되어 있다. 컴퓨터와 인터넷 분야의 경우 컴퓨터 프로 그래머, 컴퓨터 과학자 및 컴퓨터 공학자, 시스템 분석가 등 눈에 익은 직종 이 올라 있고, 재정 및 경영분야에서는 회계감사원, 재무관리자, 노사관계전 문가, 경영분석가, 컨설턴트 등이 유망직종으로 제시되고 있다.

이밖에 교육,정부 및 법률 부문에서는 경찰, 형사, 교정사무원 등과 성인교 육교사, 카운셀러, 사회사업가 등이 유망직종이고, 예술 및 오락분야에도 다

(31)

수의 유망직종이 제시되어 있다. 한편 21세기는 정보의 이동과 함께 사람의 이동도 증가할 것이며 여가를 이용해 여행을 즐기는 사람들이 늘어날 것이 므로 여행 및 숙박분야도 유망산업분야로서 호텔직원이나 여행사 대리인도 수요가 많은 직종으로 제시되어 있다. 그리고 21세기에 수요가 늘어날 것으 로 예상되는 대인서비스와 운송분야의 경우 손해사정인, 조사원, 트럭운전사, 동물보호인 등이 유망직종으로 나타나 있다.

(32)

<표 Ⅱ-4> 유망산업 분야별 유망직종

유망 산업분야 유 망 직 종

1.의료 보건분야

지압사, 실험실 기술자, 치과 보조원, 치위생사, 치과의사, 영 양사, 전기신경진단 기술자. 응급의료기사, 가정건강보조원, 자격실무 간호사, 의료보조원, 의료기록 기술자, 간호보조원, 정신과 치료 보조원, 검안사, 약사, 물리치료사. 내과의사, 발 병치료사, 직업치료사, 방사선 기술자, 레크리에이션 치료사, 등록간호사, 호흡치료사. 언어청각 병리학자, 수의사

2.컴퓨터와 인터넷 분야 컴퓨터/ 사무기계 수리공, 컴퓨터 프로그래머, 컴퓨터 과학자, 컴퓨터 공학자, 시스템 분석가, OR 분석가. 웹마스터

3.과학 및 공학 분야

생물과학자, 의학자, 화학공학자, 화학자, 토목기사, 전기/ 전 자공학자, 지질학자, 지구물리학자, 산업공학자, 기계공학자, 기상학자, 과학 기술자

4.재정 및 경영 분야

회계감사원, 보험수리사, 현금출납원, 계산사무원, 재무관리자, 인적자원 훈련 및 노사관계전문가, 정보사무원, 경영 분석가, 컨설턴트, 마케팅, 광고, PR관리자, 부동산업자, 보험업자

5.교육, 법률, 정부 부문

성인교육교사, 교정사무원, 카운셀러, 교육관리자, 수위, 장학 사, 변호사, 판사, 법률가, 경찰, 형사, 심리학자, 교사, 사회/

대인 서비스 조력자, 사회사업가

6.대중매체/ 예술/ 오락분야

배우, 감독, 프로듀서, 무용수, 안무가, 디자이너, 사진사, 카 메라 조작원, 라디오/ TV 뉴스 아나운서, 뉴스진행자, 비쥬얼 아티스트, 작가와 편집가

7.여행 및 숙박분야

비행기 조종사, 요리사, 비행 승무원, 음식료 서비스 근로자, 호텔 데스크 직원, 호텔 관리인, 티켓 예약 및 여행사무원, 음식서비스 관리자, 여행 대리인

8.대인서비스 및 운송분야 손해사정인, 조사원, 전기 담당자, 서비스 영업 대표자, 트럭 운전사, 수의사 보조원, 동물 보호인

자료: Krannich & Krannich (1998), 『Best Jobs for the 21st Century』

(33)

나. 직업전망 결과에 따른 국내외 유망직종

1) 국내 전망에 따른 유망산업 및 직종 가)국내 유망산업 전망

<표 Ⅱ-5>는 1998~2008의 대분류와 중분류 수준에서 국내 산업전망 결과 를 취업자수 증가와 주어진 기간동안의 취업자수 성장률에 따라 산업별로 정리한 것이다. 전망결과에 의하면 주어진 기간동안 전체 취업자수 증가는 23.6%수준에서 이뤄질 것으로 나와 있다. 대분류 수준에서 산업전망 결과를 보면 농림어업 등 1차 산업과 광업부분의 취업자수는 오히려 감소할 것으로 나타나 1998년 이전의 산업경향이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제조업의 경 우 주어진 기간동안 전반적인 고용증가율은 28.5%로 전체 평균치 성장률인 23.6%를 웃돌 것으로 예상되나 제조업 내 세분화된 산업분야에 따라 편차가 있을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 외 3차 산업은 전분야에 걸쳐 성장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그 중 도소매업(21.6%)과 운수창고업(18.6)은 성장을 보일 것으로 예상되나 전체의 평균 성장률에는 못 미칠 것으로 예측되고 있으며, 금융보험업, 전기가스업, 기타서비스업의 경우 각각 95%, 86.6%, 44.6%로 고 용증가율이 매우 높게 나타나 전체 평균치인 23.6%를 훨씬 웃도는 높은 수 치를 나타낼 것으로 예측됐다.

이러한 산업전망결과를 보다 세분화시켜 산업 중분류 수준에서 살펴보면, 제조업의 경우 기타(NEC) 기계 및 장비제조업, 기타(NEC) 전기기계 및 전기 변환장치 제조업, 자동차 트레일러 제조업, 기타운송장비 제조업, 재생재료 가공처리업 등이 높은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들의 특성을 살펴보면 기존의 전통적인 산업분야보다는 신기술을 사용하는 새로운 분야 가, 그리고 운송장비 등 이동을 담당하는 분야가 제조업 내에서도 각광을 받 을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한편 도소매업종 전반은 전체성장률보다 둔화된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예 상되나 업종 내에서 자동차판매 및 수리업 분야는 성장률 131.1%, 도매 및 상품중개업 등 분야는 60.2%로 평균보다 훨씬 높은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34)

100% 이상의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예상되며 취업자수 증가도 많을 것으로 예상되는 집단이다. 그리고 금융보험업 내에서는 보험 및 연금업의 성장률이 96.6%로 매우 높고, 취업자수 증가 역시 많을 것으로 예상되는 업종으로 나 타났다. 부동산업 및 공공행정을 포함하는 기타 서비스업은 업종의 성장률도 높고 금융보험업과 함께 취업자수 증가가 가장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직종 이다. 기타 서비스업 중에서도 특히 정보처리 및 기타컴퓨터 운용관련업 (578%), 연구 및 개발업(278.7%)은 성장률이 가장 높은 업종으로 나타났고, 다음으로 위생 및 유사 서비스업(82.8%), 보건 및 사회복지 사업(76.1%)이 높 은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예측됐으며, 이밖에 오락, 문화 및 스포츠 관련산 업(65.6%), 공공행정 및 사회보장행정(48.7%)이 기타서비스업 전체의 성장률 44.6%보다 높은 성장률을 보이는 업종들로 나타났다.

(35)

<표 Ⅱ-5> 산업별 취업자수 증가 및 증가율(대・중분류) (1998~2010)

(단위 : 천명, %)

(대분류)

취업자수

(중분류)

취업자수

증가 증가율 증가 증가율

1. 농림어업 -1,022.

9 (-46.0)

농업, 수렵업 및 관련 서비스업 -1000.1 (-47.4) 임업, 벌목 및 관련 서비스업 -2.9 (-58.8) 일반어업, 양식업 및 관련 서비스업 -20.0 (-18.5)

2. 광업 -10.3 (-37.0)

석탄광업 -3.9 (-98.9)

원유, 천연가스 채취 및 관련 서비스업 0.0 ( - )

우라늄 및 토륨 광업 0.0 (-11.0)

금속 광업 -0.8 (-96.2)

기타 광업 및 채석업 -5.6 (-24.2)

3. 제조업 1,170.6 (28.5)

음식료품 제조업 133.9 (36.6)

담배 제조업 -3.1 (-69.0)

섬유제품 제조업 -120.8 (-39.0)

의복 및 모피제품 제조업 -120.7 (-26.5) 가죽, 가방, 마구류 및 신발 제조업 -87.3 (-80.4)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가구 제외) -37.1 (-67.6)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32.0 (-43.7) 출판,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7.8 (4.0) 코크스, 석유 정제품 및 핵연료 제조업 -6.8 (-87.5) 화합물 및 화학제품 제조업 -24.3 (-16.9) 고무 및 플라스틱 제품 제조업 -4.4 (-3.2)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45.9 (-29.0)

제1차 금속산업 47.1 (43.1)

조립금속제품제조업(기계 및 장비제조업) -28.7 (-9.6) NEC 기계 및 장비 제조업 791.2 (170.2) 사무, 계산 및 회계용 기계 제조업 -5.4 (-14.4) NEC 전기기계 및 전기 변환장치제조업 168.6 (120.5)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19.1 (-6.3) 의료, 정밀, 광학기기 및 시계 제조업 1.5 (2.7)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235.9 (77.4)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64.8 (54.5)

가구 및 기타 제조업 -118.8 (-45.3) 재생재료 가공 처리업 374.4 (4231.3) 4. 전기가스 69.2 (86.6) 전기, 가스 및 증기업 65.1 (97.2)

수도사업 4.0 (31.4)

5. 건설업 -89.6 (-4.8) 건설업 -89.6 (-4.8)

6. 도소매 1,137.2 (21.6)

자동차 판매, 수리 및 차량연료 소매업 510.4 (131.1)

도매 및 상품중개업 676.9 (60.2)

소매 및 소비용품 수선업(자동차 제외) -312.2 (-13.7)

숙박 및 음식점업 262.1 (17.7)

(계 속)

참조

관련 문서

Metabolic syndrome patients suffer from more acute ischemic events for the same amount of atherosclerosis than the controls.. MetS

ㅇ 산업수요 맞춤형 고등학교 또는 특성화고등학교 과정 , 해양수산계의 대학 또는 전문대학의 전파전자통신기능사 과정 , 일반계 고등학교의 직업과정 ,

• 1) 각 직무의 명확한 직무성과 기대리스트를 중심으로 직무담당자에 대한 적격심사 후 자격요건의 각 요소별 편차제거하기 위한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

내인성 통증 조절 이론 (endogenous pain

 국내 과학기술 분야의 학술지를 대상으로, 학술지들이 얼마나 많은 논문들을 발간하 며 각 논문이 어느 정도 인용되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인용색인 DB.  국내

뇌활의 첫 부분은 뇌활다리(crus)라고 하며, 중간 부분 은 양쪽이 합쳐져 있고 뇌활몸통(corpus)이라고 한다.. 뇌활몸통은 전에서

❍ 국내 농산물 가격 국제가격보다 높은 현상 가공기업으로 하여금 수입농산물로 국내 원 료를 대체하게 만들었으며, 가격왜곡에 따른 수입량이 증대됨. 식량 등 주요

공이 공기 중에 회전하면서 날아가면 회전하는 공 때문에 공기의 속도가 달 라집니다.. 이 차이로 압력의 차이가 생기고 점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