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목재의 미생물 열화 -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목재의 미생물 열화 -"

Copied!
34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목재의 미생물 열화

- 제 2 장 -

1. 목재의 구성과 생물열화(부후, 충해)

○ 목재의 구성: 미세한 원통상의 세포 + 다수의 공극 ▫ 세포(세포벽, 유기물): 균류, 곤충의 영양원 ▫ 공극: 수분과 산소의 공급처, 서식처

침 · 활엽수재의 3단면

제1절 목재의 부후현상

(2)

○ 자연계에서의 목재 부후 - 미생물 遷移 현상을 보임

포자안착

수분, 온도조건 충족 포자발아, 균사 신장생장

(영양원: 수용성 추출성분, 당, 전분,아미노산 등)

균사 신장생장 지속

(영양원: 세포벽 구성성분-셀룰로오스, 헤미셀룰로오스, 리그닌 → 저분자화) 부후재 - 물리, 화학, 강도적

성질 변화

담자균류에 의한 목재 부후

3. 목재 부후현상과 인간생활

○ 삼림 내에서의 부후: 자연계의 물질순환에 기여 ○ 식용버섯의 발생

○ 목구조물, 목제품에서의 부후 – 목재보존학 분야 4. 목재 부후에 관한 연구 역사

가. Robert Hartig: 독일 뮌헨대학 식물학 교수 ▫ “목재부후에 관한 연구” 발표(1878년) - 미생물에 의한 변질현상임을 최초로 밝힘 - 균류 관여→ “목재부후균”이라 명명 - 세포벽의 분해형태 제시

나. R. Hartig 이후의 연구 - 부후의 주역: 담자균류

- 세균, 방선균, 접합균, 자낭균, 불완전균류 등도 목재 부후에 관여

(3)

다. J. G. Savory: 영국, 임산물연구소 ▫ 軟腐朽(Soft rot) 현상 구명

- 목재: 다습환경 하에 장기간 노출 → 재 표면 연화 - 이전: 풍화현상(물리적인 현상)으로 간주

- 연구과정: 목재편 현미경 관찰 → 자낭균류, 불완전균류 분리 → 목재성분 분해 사실 발견

- “연부후” 명명

연부후재

참 고

○ 용어의 정의 1) 부패(Putrefaction)

▫ 세균류에 의한 단백질의 혐기적 분해현상

▫ 분해산물: 황화수소, 아민류 등 유해하고 악취가 나는 화합물 2) 발효(Fermentation)

▫ 세균류, 효모에 의한 탄수화물의 혐기적 분해현상 - Lactobacillus, Streptococcus

- Saccharomyces

▫ 분해산물: 인간에게 유용한 화합물(알코올, 유산 등) 3) 부후(Decay)

▫ 식물 遺體의 고등미생물(담자균류)에 의한 호기적 분해현상 ▫ 분해산물: 탄산가스-대기 중으로 소실

(4)

○ 목재 가해 미생물의 분류학적 위치

생물계

바이러스 일반 생물계

원생생물 (미생물) 동 물 식 물

하등미생물: 세균류, 방선균류, 濫藻類(Cyanobacteria) 고등미생물

일반조류

균 류

원생동물 眞菌類: 藻菌類, 자낭균류, 담자균류 불완전균류, 접합균류, 효모

粘菌類

○ 목재의 미생물 열화

- 부후: 담자균류, 열화작용이 强

- 연부후, 변색, 오염: 자낭균류, 불완전균류, 접합균류, 열화작용이 비교적 弱

1. 갈색 부후(Brown rot) – 갈색부후균(Brown rot fungi) 가. 갈색부후균의 특징

1) 세포벽 성분의 분해 특징

- Cellulose, Hemicellulose: 선택적 분해

- Lignin: 蓚酸(Oxalic acid) 분비, 용해 제거 → C와 HC 분해를 위한 前과정

2) 가해목재: 침엽수 > 활엽수, 건축재 > 토목용재

제2절 목재 부후의 종류

○ 목재부후균: 갈색부후균, 백색부후균, 연부후균 ▪ 편의적인 분류법

(5)

Microfibril 모델(Fengel)

E : Elementary fibril - Cellulose 분자 집합체 H : Hemicellulose L : Lignin

※ 왜 lignin을 용해 제거해야 하나?

A proposed metabolic mechanism for the oxalate biosynthesis in the wood-rotting basidiomycete F. palustris.

(6)

Fig. Relationship between glucose consumption and oxalate and fungal biomass production accompanied by pH reduction during the cultivation of F. palustris. Circles, glucose; squares, pH; triangles, oxalic acid; diamonds, biomass.

나. 갈색부후재의 특징

1) 재색 변화 : 암갈색 ~ 적갈색

- 변색 원인: C, HC 비율 감소, Lignin 비율 상승 - 갈색부후, 갈색부후균

2) 재질 변화

- 건조에 의한 수축 심함, 목리 직각방향으로 깊은 할렬 발생 - 부후 초기: Cellulose 중합도 급격히 저하 → 강도 저하 심함

(7)

갈색부후재(Brown-rotted wood)

◇ 리그닌의 분해와 발색

 리그닌: Phenylpropane(구성단위)의 탈수 중합체 – 복잡(불명확)

(분해)

Protolignin의 화학구조

-C=O-

(Carbonyl 기)

(O-quinone 기)

Lignin 구조 변질 (발색단 함유)

가시광선 발색

흡수, 반사

Lignin의 발색 과정(추정)

(8)

다. 갈색부후균의 종류

1) 부후개떡버섯(Fomitopsis palustris, FYP) - 자실체: 엷은 황색~흙색, 革質

- 균사체: 백색, Clamp connection(협구) 존재 - 부후력이 强, 인공배양이 용이

▷ KS, JIS, JWPA의 목재 내후성 시험, 목재방부제의 방부효력시험의 표준균

【Clamp connection】

• 담자균류의 2차 균사 隔壁部에 존재하는 작은 돌기물 • Clamp connection이 없는 담자균류도 있음

• 2차균사: 담자포자 발아 → 1차 균사 → 접합 → 2핵성 균사

(9)

Formation of Clamp Connections: a. Terminal cell of hypha. Growth only takes place at hyphal tips; b. Hyphal tip elongating. c. Synchronous division of nuclei and the beginning of hyphal branch that will become the clamp connection. One nucleus (b) migrates into the new clamp. d.

Septum forms at base of the clamp trapping nucleus b. Nuclei a' and b' migrate to the hyphal tip, while nucleus a migrates away from the tip. e. Septum forms below clamp forming new cell at hyphal tip. Fusion of the clamp to the adjacent cell releases nucleus b to the adjacent cell.

Now both the terminal and subterminal are biucleate, each with a compatible pair of nuclei

Clamp connection formation

2) 버즘버섯(Serpula lacrymans, SEL) - 자실체: 갈색 또는 흑갈색, 革質

- 균사체: 초기 백색 → 담황색, Clamp 존재 - 특징: 굵은 균사속을 형성

▷ 乾腐 발생

▷ 일본 북해도 지방에서 피해가 심함(일본 JWPA 규격균) 3) 기타

① 실버섯(Coniophora puteana)

② 전나무조개버섯(Gloeophyllum trabeum) - 흰개미 유인물질 분비

③ 잣버섯(Lentinus lepideus)

- 크레오소오트유에 대한 저항력이 큼

(10)

Serpula lacrymans

☞ 건부(乾腐, Dry rot)

① 건조 목재에서 부후가 발생하는 현상 ② 菌絲束을 형성하는 균에 의해 발생

③ 수분 공급 방법: 균사속을 이용하여 땅속 또는 인접 습윤재로부터 공급 → 수분은 반드시 필요

④ Coniophora puteana, Serpula lacrymans - 갈색부후균

(11)

Coniophora puteana

(12)

Gloeophyllum trabeum

Gloeophyllum trabeum rotting log deck railing

Gloeophyllum trabeum rotting painted porch railing

Lentinus lepideus

(13)

2. 백색 부후(White rot) - 백색부후균(White rot fungi) 가. 백색부후균의 특징

- 세포벽 구성성분의 분해 특징 : 2 type

① 선택 분해형(Preferential white rot): Lignin을 우선적으로 분해 이용 ② 동시 분해형(Simultaneous white rot): C, HC, L 성분을 동시에 분해 이용 → 健全材 類似腐朽

- 가해목재: 활엽수 > 침엽수, 토목용재 > 건축재 - Laccase 생산: Lignin 분해효소, 갈색부후균에는 없음

<참고> 목재 세포벽 주성분의 비율 • 침엽수: C 40~45%, HC 11~20%, L 27~30%

• 활엽수: C 45~50%, HC 15~20%, L 20~25%

나. 백색부후재의 특징 1) 재색 변화 : 퇴색 또는 백색

- 퇴색: 건전재 유사부후(동시분해형)

- 백색: Lignin을 우선 분해 이용(선택분해형), Cellulose 비율 증가 → 백색부후균, 백색부후

2) 재질 변화

- 갈색부후재에 비하여 수축 및 강도저하 작음

▷ Cellulose의 중합도 저하가 갈색부후에 비하여 작기 때문

(14)

백색부후재(White-rotted wood)

A split section of a pine tree with white-pocket rot caused by Phellinus pini.

The white areas are delignified zones where the fungus has removed lignin but not the cellulose. White-pocket rot fungi cause a selective attack on lignin and hemicellulose in wood.

A cross section of wood from a white-pocket area of decayed wood showing delignified wood cells.

These cells have no middle lamella (this is the area between cells that has high lignin concentration).

Only the cellulose-rich secondary walls remains after advanced decay.

(15)

다. 백색부후균의 종류

○ 식용 또는 약용버섯이 많음 1) 구름버섯(Trametes versicolor, TRV)

- 자실체: 갈색 또는 흑색, 다채로운 環紋이 있으며 반원형, 革質 - 균사체: 백색, Clamp 존재

- 인공배양이 용이

▷ KS, JIS, JWPA의 백색부후균 표준균 2) 기타

① Asterostroma apalum

- 다습 환경 하에서 건축재 가해 ② Lenzites betulina

③ Pycnoporus coccineus - 침엽수재에 대한 부후력 大

Trametes versicolor

(16)

Lenzites betulina

Pycnoporus coccineus

(17)

Brown-rotted wood White-rotted wood

갈색 및 백색부후재의 차이

목재 부후의 진행과정

(18)

3. 연부후(Soft rot) - 연부후균(Soft rot fungi) ○ 자낭균류, 불완전균류

가. 연부후균의 특징

① 고함수율 목재(준 혐기성 상태)에서 생장하며 재표면을 가해, 연화 - 냉각탑재, 수중 목재, 습한 토양과 접한 목재 등

② 가해목재: 활엽수 > 침엽수

- 활엽수 lignin이 쉽게 분해되기 때문

③ 목재방부제에 대한 내성: 연부후균 > 갈색, 백색부후균 - CCA 처리 부두 방책 목재에서 연부후 발생

④ 세포벽 분해 특징

- 2차벽 중층(S2층)의 마이크로피브릴 배열방향을 따라 空洞 형성 - 공동(Cavity)의 형태: 양끝이 뾰쪽한(원추상) 원통형

리그닌의 구성 단위

♦ Ligin의 기본 단위: I

♦ 침엽수 lignin의 기본 단위: II(방향족 수산기의 meta위에 메톡실기 1개)

♦ 활엽수 lignin의 기본 단위: III(방향족 수산기의 meta위에 메톡실기 2개) ☼ Lignin: 이들 기본단위가 여러 결합양식으로 탈수 중합한 중합체

p-coumaryl alcohol

(p-hydroxyphenyl propane) coniferyl alcohol

(guaiacyl propane) sinapyl alcohol (syringyl propane)

I II III

참 고

(19)

리그닌의 화학구조

참 고

마이크로피브릴의 回旋

○ 목재 세포벽의 구성

• 세포간층(Intercellular layer, I층)

• 1차벽(Primary wall, P층)

• 2차벽(Secondary wall, S층) - 외층(S1), 중층(S2), 내층(S3)

○ 마이크로피브릴의 回旋方向

• Z 나선형: 우선회(a), S 나선형: 좌선회(b)

• 1차벽: 불규칙한 망상구조

• 2차벽

- 외층(S1): S+Z나선(교차구조)

○ 가도관, 목섬유 세포벽 Microfibril의 배열

참 고

(20)

나. 연부후재의 특징 1) 재색 변화 : 암갈색 2) 재질 변화

① 표층부 : 연화

② 내부: 건전한 상태 유지

- 부후 부위와 건전 부위의 경계가 뚜렷

- 표층부의 부후 부위가 탈락하면 부후는 내부로 진행

Transmission electron micrographs showing soft rot cavities within transverse sections of cell walls from objects in the Museum of Fine Arts, Boston.

(21)

다. 연부후균의 종류 1) 자낭균류

• Ceratocystis, Chaetomium 등 2) 불완전균류

• Gliocladium, Phialophora,

Phoma 등 Ceratocystis Chaetomium

Gliocladium Phialophora Phoma

연부후재(Soft-rotted wood)

연부후재 갈색부후재

(22)

43

□ 목재의 변색현상

① 균 이외의 원인

- 재중 색소의 이동 침착

- 형성층 및 형성층 부근의 세포 상해

② 부후균의 침입

- 갈색, 회갈색, 흑갈색으로 변색

- 균의 산화효소에 의해 페놀성 화합물의 산화 → 착색물질 생산

③ 부후균 이외의 균의 침입 - 변재 변색

- 표면 오염

1. 목재의 변재 변색(Sap stain)

제3절 목재의 변색과 오염

가. 원인 균류

① 변재 변색균: 자낭균류 > 불완전균류 ② 대표적 변재 변색균

- Ophiostoma, Ceratocystis, Aureobasidium(Pullularia), Cladosporium, Hormiscium, Diplodia, Fusarium

나. 변재 변색균의 특징 1) 영양원 - 추출성분

▷ 추출성분(당류, 전분 등) : 변재부에만 분포 → 변재 변색균 ▷ 주요 침입 부위: 방사조직, 가도관, 수지구 등

▷ 일부 변색균: Ophiostoma spp.

- Lipase 분비 : triglycerides, 지방산, 레진산 등을 이용 → 펄프공정에서 생물학적 수지 제거에 이용

(23)

45

2) 세포벽 구성성분 – 분해 이용 불가능

▷ 피해 목재의 강도저하 발생은 거의 없거나 미미 3) 목재의 상품가치 저하

다. 변재 변색균의 침입경로 1) 횡단면으로 침입 - 木口形 변색균

2) 수간으로 침입 – 蟲形 변색균(ambrosia 균) ① 養菌性 穿孔蟲(ambrosia beetle)에 의하여 매개 ② 천공충이 천공한 孔道에 번식하며 변색을 일으킴 ③ 수입 열대산 활엽수재에서 많이 발견

④ 주요 충형 변색균

- Diplodia pinea, Verticiadiella corsicana : 소나무 청변균 - Ceratocystnaris clavata: 가문비나무 청변균

(24)

47 Platypus quercivorus

충형 변색 및 양균성 천공충

라. 변색의 종류 1) 청변

① 균이 분비하는 청흑색의 멜라닌계 색소에 의한 염색현상 ② 청변균(Blue stain fungi)

③ 현장: “청 먹었다”

2) 갈변

① 갈색색소에 의한 염색현상

② 산화효소에 의한 재중의 페놀성 물질의 산화 착색현상 3) 녹변, 적변

① 색소에 의한 염색현상

(25)

49

마. 변색균의 생리 및 특성

 생장조건: 부후균에 비하여 범위가 비교적 넓다.

- 온도, 습도, pH, 약제에 대한 내성 등 1) 온도: 최적 온도 18~29℃

 4℃ 이하 35℃ 이상에서는 생장 정지 2) 습도: 함수율 30~130%

 고함수율: 생장 둔화 – 호기성 변색균의 산소 요구성때문 3) pH: 5.5 ~ 6.5

4) 방부제에 대하 내성이 큼  방부처리 목재에서 발생

 방지: 防腐劑에 防黴劑 혼합하여 처리

가. 원인 균류

 불완전균류 > 접합균류 나. 표면 오염균의 특징

 영양원: 재 표면의 추출성분, 손때, 먼지 등

 균사의 생장: 재 표면에 국한(내부 침입 없음) – 제거 가능 다. 표면 오염균과 오염

가) 불완전균류

 Alternaria – 흑색, Aspergillus – 황색, 녹색, 흑색, Trichoderma – 녹색 Penicillium – 담청녹색, Cladosporium - 청녹, 흑녹색, Fusarium – 홍색, 자색 나) 접합균류

 Mucor – 백색~유색, Rhizopus – 갈색~흑색

2. 목재의 표면 오염

(26)

51

1) 습도

 공중 습도:RH 95% 이상(매우 중요)  목재 함수율: 60% 이상

2) 온도

 생장 가능 온도: 20~40℃

 고온에 대한 내성이 큼

- 저온 스케줄에서 인공 건조시킨 목재에서 피해 발생 3) pH

 pH에 대한 내성이 큼(강산성 ~ 강알칼리성) - Aspergillus niger : pH 1.5 ~ 9.8

- Penicillium cyclopium : pH 2 ~ 10 4) 호흡기 질환의 원인

 포자: 알레르기, 기관지염, 천식 등  Aspergillus 계통 : 만성 호흡기 질환 - Aspergillus fumigatus : aspergillosis

Trichoderma viride

Aspergillus fumigatus + Alternaria altanata

Rhizopus stolonifer

Alternaria altanata + Penicillium expansum 표면 오염균의 발생

(27)

53

1. 목재 가해 세균의 특징

가. 진균류보다 악조건의 환경 하에서 목재를 가해 ◦ 고함수율 목재(장기간 수중 저목재)

나. 방부처리 목재 가해 ◦ 방부제에 내성을 나타냄 ◦ Creosote유, CCA, PCP 등 다. 세포벽 구성성분 분해 ◦ 다당류, 리그닌

제4절 세균에 의한 목재의 열화

2. 목재 가해 세균의 종류

◊ 목재 세포벽의 공격 부위에 따라 분류 가. 벽공벽 분해 세균

◊ 수중 저목재에서 흔히 발견

◊ 침엽수 유연벽공의 토루스 분해 → 목재의 흡수성 증가 ◦ pectin 분해 효소

◦ 목재의 건조, 보존처리에 응용 ◦ 강도 감소는 크지 않음

◊ 종류: 대부분 杆菌, 그람음성세균 ◦ Salmonella subspecies 등

(28)

55

나. 세포벽 분해세균

◊ 주로 수침 고목재, 출토목재, 방부처리 목재에서 광범위하게 관찰 ◊ 세포벽 분해효소

◦ 섬유소(다당류) > 리그닌

◊ 피해: 세포벽 표면에 한정(2차벽에 국한) ◊ 분해형태에 따른 분류

① 침식형(erosion)

◦ 세포벽의 S3층을 통해 침입하여 S2층을 분해

◦ 장기간 水浸 목재에서 많이 발견: 혐기성 세균으로 추정 ◦ S2층의 마이크로피브릴 주행방향을 따라 침식

◦ 2차벽을 주로 분해, 세포간층은 가해하지 않음 - 리그닌 분해 능력이 없거나 극히 미약한 것으로 추정

② 동굴형(tunneling)

◦ S2층 뿐만 아니라 S1층까지 공격

◦ 세포간 층도 가해하는 경우가 있음: 리그닌 분해능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추정

◦ CCA에 대한 저항성이 큼

◦ Myxobacteriales, Cytophagals로 추정

침식형 분해 침식형 및 동굴형 세균의

세포벽 분해 모식도

(29)

57

□ 그람 염색법(Gram staining) - 1884 C. Gram

- 세균 세포벽 구조의 판별

- 그람 양성세포(Gram-positive cell) - 그람 음성 세포(Gram-negative cell) - 세균의 동정

1. 육안적 특징 가. 부후균의 침입 1) 초기: 변색 발생

◊ 갈색, 회갈색, 흑갈색 등

◊ 원인: 균이 분비하는 효소에 의해 페놀성 성분의 산화, 착색 2) 중기: 帶線(zone line) 형성

◊ 갈색 또는 흑색의 띠

◊ 백색부후균에 의해 활엽수재에 많이 발생 ◊ 부후균 이외의 원인

◦ 재중 색소의 이동, 침착

◦ 형성층 및 형성층 부근 세포의 상해

Zone line

제5절 부후 목재의 재질 특성

(30)

① 갈변(갈색부후재)

◊ 부후재 전체 균일하게 갈변 → 종횡으로 할렬 발생 → 小片이 되어 탈락 → 갈색방형부후(褐色方形腐朽)

◊ 小片은 쉽게 粉末化 ② 백변(백색부후재)

◊ 부후재 전체 균일하게 백변 → 부드럽고 솜 같은 촉감 → 백색해면상부후(白色海綿狀腐朽)

◊ 부후 부위가 孔狀으로 되어 산재 → 백색공부후(白色孔腐朽) 나. 연부후균의 침입

◊ 재색이 퇴색(갈색 또는 청회색) → 재 표면 연화 → 건조에 의해 횡방향 으로 할렬 발생 → 부후층 탈락 → 내부로 연부후 진행

◊ 특징

◦ 표층 부후 부위와 내부 건전 부위의 구분이 명확

59

海綿動物(Porifera, 갯솜 sponge) 褐色方形腐朽

白色海綿狀腐朽 白色孔腐朽

(31)

2. 물리 및 기계적 특징 가. 비중

◊ 부후의 진행과 함께 비중 감소 ◦ 실험 예) 가문비나무(부후개떡버섯)

건전재: 0.44, 부후중기: 0.37, 부후말기: 0.31 ◊ 부후 정도의 척도: 중량감소율

◦ 비중이 정확하나 측정이 곤란

◦ 중량감소율(weight losses, %) = {(W1-W2)/W1}x100 W1: 부후 전 전건 중량, W2: 부후 후 전건 중량 나. 강도

◊ 중량감소율 증가 → 강도적 성질 감소

◊ 갈색부후재: 부후 초기에도 급격한 강도 저하 발생 ◦ 셀룰로오스의 중합도 감소

◊ 부후형 별 강도감소 경향 ◦ 갈색부후 > 백색부후 > 연부후

61

◊ 연부후재: 강도저하가 완만 ◦ 이유: 부후가 표층부에만 국한

◊ 부후재의 강도 종류 별 강도 저하의 크기

◦ 충격휨강도 > 휨강도 > 횡압축강도 > 종압축강도

계수나무 부후재의 휨강도 잔존율 계수나무 부후재의 횡압축 강도

(32)

3. 화학적 특징

가. 알칼리 추출물량(1% NaOH)의 변화

◊ 추출물: 당, 탄닌, 정유, 수지, 일부의 HC와 리그닌 ◊ 부후형에 따른 추출물량

◦ 갈색부후 > 백색부후 > 연부후 나. Hollocellulos양의 변화

◊ 부후형 별 분해율

◦ 갈색부후 > 연부후 > 백색부후 다. Lignin량의 변화

◊ 부후형 별 분해율

◦ 백색부후 > 연부후 > 갈색부후

63

계수나무 부후재의 Hollocelluse 잔존율 갈색 및 백색부후재의

추출물량의 변화 계수나무 부후재의

Lignin 잔존율

(33)

1. 정의: 부후균의 공격에 대하여 목재 자체가 가지고 있는 저항성 2. 내후성 인자

1) 목재의 조직구조

2) 주요성분(특히, lignin 함유율) 3) 추출성분: 최대 인자

3. 주요 내후성 성분 ◊ 페놀성 성분

◦ 안식향산(benzoic acid), vanillin, 몰식자산(gallic acid), 탄닌 등 4. 목재의 내후성: 심재 > 변재

◊ 심재: 변재에 비하여 추출성분이 많음

◇ 목재의 내후성(Decay resistance, Decay durability)

65

제6절 목재의 내후성

5. 주요 수종의 심재 내후성 가. 국산재

구 분 수 종

대 침엽수 편백, 화백, 측백나무, 낙엽송 등 활엽수 느티나무, 밤나무, 아까시나무 등

중 침엽수 삼나무, 스트로브잣나무, 젓나무 등

활엽수 상수리나무, 떡갈나무, 졸참나무, 가시나무 등

소 침엽수 소나무, 솔송나무, 독일가문비나무, 잣나무 등 활엽수 오리나무, 오동나무, 단풍나무, 피나무, 자작나무 등

(34)

나. 남양재

구 분 수 종

극대 티크, 흑단(에보니), 멀바우 등 대 기암, 파독, 카린 등

중 아피통, 카폴, 레드라왕, 레드메란티 등 소 화이트라왕, 옐로우메란티, 타미나리아 등 극소 젤루통, 라민 등

다. 러시아(시베리아)재

구 분 수 종

중 시베리아낙엽송 소 분비나무 극소 가문비나무

67

라. 북미재

구 분 수 종

대 미국삼나무(웨스턴레드시다), 미국 편백 중 미송(더글라스 훠)

소 캐나다솔송나무(이스턴헴록), 미국솔송나무(웨스텐헴록), 가문비 나무, 폰데로사소나무 등

마. 기 타

◊ 내후성 소: 라디에타소나무(뉴송, 칠레송)

【참고】목재의 내후성 평가 방법

○ KS F 2213 “목재의 내후성 시험방법”

참조

관련 문서

A tangential section of the common ivy, Hedera helix, shows some vasicentric tracheids to the left of the vessel, which is the white space at right.. A maceration of the wood

Power penetration depth as a function of mc for different dry wood densities at room temperature at a frequency of 2.45 GHz.. (출처 : Doctoral thesis by

Recognition of carbon storage in harvested wood products: A post-Copenhagen update.. Life cycle inventory analysis of Larch lumber and evaluation of greenhouse gas

In contrast, cells expressing wild-type form or constitutively active form of RapC (GFP-RapC and GFP-RapC G13V ) showed decreased cell area and cell adhesion, whereas rapC

 Often found connected to other molecules on the outsides of cells --- cellular recognition, cell signaling, cell

• Generation of different specialized kinds of cells from zygote (fertilized egg) or other precursor cells.. – Generate blood cells, muscle

- flux of solute mass, that is, the mass of a solute crossing a unit area per unit time in a given direction, is proportional to the gradient of solute concentration

Regulatory T (Treg) cells are a subset of CD4+ T cells whose function is to suppress immune responses and maintain self-tolerance, therefore they have a central